• 제목/요약/키워드: Cellulomonas sp.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Cellulomonas sp. KL-6의 증식에 미치는 열처리 및 항생물질의 효과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Antibiotics on the Growth of Cellulomonas sp. KL-6)

  • 권오진;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21-225
    • /
    • 1994
  • 농산폐섬유소 자원을 이용하여 세균 단세포단백질(single cell protein)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로서 부엽토에서 분리된 Cellulomonas sp. KL-6의 증식에 미치는 열처리 및 항생물질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KL-6 균주는 $65^{\circ}C$에서 5분, $75^{\circ}C$에서 1분 및 $85^{\circ}C$에서 15초까지 열처리시에는 증식하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처리시간에 관계없이 자라지 못하였다. $48^{\circ}C$에서 10분간의 예비 열처리는 본 균주의 열저항성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기질 중 casamino acid(1%), yeast extract(1%), xylose(5%)는 KL-6 균주의 열저항성을 증가시켰으나 cysteine(0.03 M), sodium citrate(1%), casein(1%)은 반대로 열저항성을 감소시켰다. KL-6 균주는 $penicillin-G(1.536\;{\mu}g/ml)$$ampicillin(3.125\;{\mu}g/ml)$에 감수성인 반면, kanamycin에 대해서는 $200\;{\mu}g/ml$ 이상에서도 강한 내성을 보였다. SDS 처리에 의해 kanamycin의 내성이 제거되었고 제거율은 $9.2{\sim}31.2%$로 각각 나타났다.

  • PDF

Cellulomonas sp. CS1-1으로 부터의 $\beta$-Glucosidase의 합성조절과 그의 효소학적 성질 (Biosynthetic Regul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beta$-Glucosidase from Cellulomonas sp. CS 1-1)

  • 이희순;민경희;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9-125
    • /
    • 1988
  • Cellulomonas sp. CS1-1 생성의 $\beta$-glucosidase는 cell-bound 효소이었으며, Avicelase와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는 extracellular 효소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Cellobiose나 CMC 최소배지에서의 균의 생장은 cellobiose보다 glucose 첨가시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Cellobiose나 CMC 최소배지에서의 $\beta$-glucosidase 생합성은 glucose 첨가로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CMC 최소배지에 cellobiose를 첨가하였을 경우, glucose에 의한 억제 효과와는 반대로, 효소의 생성은 오히려 촉진되었다. 그 외의 탄소원에 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CMC, 전분, maltose 등의 첨가도 glycerol, arabinose, xylose, trehalose의 첨가시 보다 효소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beta$-glucosidase 생합성은 glucose에 의하여 catabolite repression을 받았으며, cellobiose, CMC, starch등은 다른 당류보다 효소생성을 현저히 유도하였으므로, 이 효소는 inducible enzyme임을 알 수 있었다. 효소생성에 미치는 질소원을 조사한 결과는 yeast extract가 peptone이나 ammonium sulfate보다 효소생성을 증가시켰다.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50mM MgCl$_2$가 포함된 1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에서 효소의 역가가 증가하였고, 최적 pH는 6.0이었고 최적온도는 42$^{\circ}C$ 이었다. p-nitrophenyl-$\beta$-D-glucoside의 농도에 대한 glucose의 Km값은 0.265mM 이었고 $\beta$-D(+)-glucose에 대한 Ki값은 9.0 mM 이었다.

  • PDF

Cellulomonas sp. CS1-1이 미소결정성 섬유소로부터 생산한 Carboxymethyl Cellulase의 효소적 성질 (Characterization of Carboxymethyl Cellulase Produced by Cellulomonas sp. CS1-1 on Microcrystalline Cellulose)

  • 박종수;윤민호;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75-282
    • /
    • 1997
  • 섬유소분해세균 Cellulomonas sp. CS1-1을 미소결정성 섬유소(sigmacell)에서 배양하면서 생육 및 1,4-${\beta}$-glucanase의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배양 1일만에 최대이었지만 1,4-${\beta}$-glucanase의 활성도는 CMC 당화력으로 280 units/mL, 점도저하력으로 $3{\times}10^3units/mL$으로서 배양 5일째 최대이었으며, 이것은 가용성기질에 비하여 약 3배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배양여액으로 부터 황산암모늄침전, Ultro-gel Ac54 겔여과,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Con A-Sepharose 4B 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CMCase의 한분획을 순수정제하였다, 정제한 CMCase는 8.2%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당단백질이었으며 그 정제도는 배양여액에 비해 CMC 당화력으로 22배 증가한 것이었다. 분자량은 54,000 그리고 둥전점은 pI 5.4 이었으며, 작용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6.0 과 $45^{\circ}C$ 이었다. 정제효소의 CMC에 대한 Michaelis 상수 및 최대반응속도는 10 mg/mL, $6.25{\mu}mol/min$, 그리고 sigmacell에 대해서는 각각 30.3 mg/mL, $2.85{\mu}mol/min$으로 계산되었다 효소의 활성도는 $Ag^+$, $Zn^{+{+}}$, $Fe^{+{+}}$ 그리고 EDTA에 의해 부분적으로 저해되었고, 1mM의 $Cd^{+{+}}$$Hg^{+{+}}$ 이온에 의해서는 완전히 저해되었다.

  • PDF

Cellulomonas속 종간의 원형질체 형성조건의 차이에 대하여 (Interspecific Variation in the Protoplast Format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이은주;배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4-160
    • /
    • 1986
  • Cellulose분해력이 높은 Cellulomonas속 세균의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원형질체 형성조건을 조사하여 본 결과 같은 Cellulomonas 속인 Cellulomonas sp. C S 1- 1과 Cellulomonas flavigena NCIB 12901 균주일지라도 그 형성조건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CS1-l균주는 lysozyme농도 $100{\mu}g/ml$ 30분정도의 처리로 99.9%의 높은 원형질체 형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 C.flavigena 균주는 lysozyme 농도도 훨씬 높고 장시간이 소요되어 $600{\mu}g/ml$. 6시간 정도의 처리에 약80%의 원형질체 형성을 보였다. 또한 세균 배양기간이 미치는 영향도 CS1-l균주는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원형질체화 되었으나 C. flavigena균주는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대수증식기 중기의 세포가 말기의 세포보다 원형 질체가 잘 이루어 졌다. 원형질체 형성확인방법에서도 CS-1 균주는 osmotic shock을 주어 원형질체를 계수하거나 SEM으로 확인하거나 같은 결과를 얻었으나 C. flavigena 균주는 osmotic shock에 의한 원형질체의 계수결과와 SEM으로의 결과가 서로 달라 확인방법으로 두 방법이 병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주었다.

  • PDF

Cellulomonas속 원형질체 재생과 종간 융합조건 (Protoplast Regeneration and Interspecific Fus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배무;조보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3-309
    • /
    • 1988
  • Cellulose를 이용할 수 있는 Cellulomonas속 균주의 종간 세포의 융합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원형질체 재생 및 융합조건에 대해 검토하였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원형질체는 osmotic stabilizer를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유동성 한천배지로 중층하여 재생시켰고 재생 확인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항생물질 내성과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유전자 표지에 확인하였다. Lysozyme을 처리하여 형성된 C. flavigena 원형 질체의 세포벽 재생은 osmotic stabilizer로 0.4M sorbitol을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약 15% 수준이었으며 여기에 Polyvinyl Pyrrolidone(PVP) 3% 첨가로 재생율을 약 3배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변이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은 융합유도제로 PEG 6000을 취하여 최적농도 40% (w/v), 치적 처리시간 15분, Ca농도 25mM에서 약 2.0$\times$$10^{-4}$ - 4.0$\times$$10^{-4}$의 융합빈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섬유소 분해세균의 균학적 성질(제1보) -보존균주에 대한 배양적 성질 및 동정에 대하여- (Characterization of Aerobic Cellulolytic Bacteria Part 1.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Some Stock Cultures)

  • 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67-172
    • /
    • 1977
  • 스코트랜드 National Collection of Industrial Bacteria의 3개 섬유소 분해세균에 대하여 형태적, 생리적, 및 배양적성질을 검토한 결과 NCIB 8077은 Cellulomonas sp.로, NCIB 8633 및 NCIB 8634는 Pseudomonas sp로 각각 분류되었으며 기왕에 보고된 다른 섬유소 분해세균에 대한 분류학상의 문제점을 아울러 고찰하였다.

  • PDF

Ascorbic Acid와 Pyrophosphate로부터 Ascorbic Acid-2-Phosphate의 효소적 생산

  • 최현일;이상협;방원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3-618
    • /
    • 1996
  • Microorganisms capable of producing ascorbic acid-2-phosphate (AsA2P) from ascorbic acid (AsA) and pyrophosphate (PPi) were screened from the culture collection of this laboratory. Among them, Cellulomonas sp. AP-7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AsA2P.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sA2P from AsA and PPi with cell-free extract as an enzyme source were investigated. The reaction mixture for the maximal production of AsA2P consisted of 21 g protein of cell-free extract per liter as the enzyme source, 250 mM AsA, 200 mM sodium pyrophosphate, 150 mM sodium acetate buffer (pH 4.5). By using this reaction mixture, 31.9 mM of AsA2P, which corresponded to a 12.76% yield based on AsA, was produced after incubation of 48 hr at 33$\circ$C.

  • PDF

코코피트로부터 분리한 섬유소분해세균의 분리, 동정 및 특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degrading Microorganism from Cocopeat)

  • 장재은;김진환;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4호
    • /
    • pp.84-89
    • /
    • 2011
  • 퇴비 제조시 유용한 수분조절제로 각광받고 있는 코코피트를 대상으로 섬유소 분해능을 지닌 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각기 다른 코코피트를 시료로 하여 섬유소 분해세균을 분리한 결과 각 시료로부터 다양한 세균들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을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sp., Bacillu subtilis, Sphingomonas sp., Rhodotorula sp.를 비롯하여 여러 Pseudomonas sp. 등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4종류의 균주, 즉 B. subtilis, P. aeruginosa, P. stutzeri, P. luteola 를 선별하여 이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배양액을 대상으로 섬유소 분해효소의 일종인 CMCase의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CMCase의 활성비교를 위한 표준균주로 Cellulomonas sp.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결과 P. aeruginosa, P. stutzeri, B. subtilis, P. luteola 균주에서 각각 표준균주 효소활성의 83%, 40%, 8%, 6%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세포단백질 생산을 위한 혼합배양의 생육조건 (Growth conditions of symbiosis for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 이해경;정영건;권오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43-348
    • /
    • 1996
  • Mouse의 대장에서 분리된 E. coli LI-10 균주를 보조균주로 하여 Cellulomonas sp. KL-6과 혼합배양한 결과, 균체증식은 주균주와 보조균주를 1 : 1(v/v)의 비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혼합배양은 주균주 단독배양 보다 균체증식을 63% 정도로 증가시켰으며 두 균주의 분포도는 10 : 1 비율로 KL-6 균주가 주로 분포되어 있었다. 0.1%의 $CaCO_3$의 첨가는 무첨가에 비해 각 배양기간별로 pH를 상승시켜 어느정도의 균체증식을 가져왔다. Filter paper 배지에서 혼합배양시, 본 균주들은 cellobiose를 월등하게 많이 생산하였으나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균체증식 최적배지에서 4일간 혼합배양하였을 때, $1.0\;g/{\ell}$의 균체량을 생산하여 기본배지인 CMC 배지에서 생산한 균체량보다 53% 정도가 증가되었다.

  • PDF

섬유소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 및 그 이용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on Rice Straw and Their Utilities)

  • 정영건;권오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496-501
    • /
    • 1995
  • Cellulomonas sp. KL-6 균주의 균체내 외 단백질은 배양 5일째에 $266\;{\mu}g/m{\ell},\;37\;{\mu}g/m{\ell}$로 가장 많이 생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KL-6 균주는 볏짚을 분쇄 후 1.0% NaOH와 10% $NH_4OH$$80^{\circ}C$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H_3PO_4$로 중화하여 탄소원으로 이용하였을 때 각각 $1.63\;g/{\ell}$$1.47\;g/{\ell}$의 SCP가 생산되어 처리하지 않은 볏짚의 $0.5\;g/{\ell}$ 보다 균체수율이 증가되었다. KL-6 균주가 생산한 SCP의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FAO 표준단백질에 비해 많아 영양적 가치가 매우 우수하였다. 그러나 실제 동물사육에 이 균체를 이용코저 할 때는 균체의 세포벽을 파쇄후 사용해야 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