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ionic surfactant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계면활성제 특성에 따른 나노입자 분산안정도 향상 연구 (The Effects of the Surfactant Type on the Nanofluids Stability)

  • 강치훈;홍성욱;강용태;구준모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5-280
    • /
    • 2008
  • The effects of the surfactant type, i.e., CTAB(cationic), SDS(anionic), and GA(polymeric), on the stability of 0.1 vol.% $Al_2O_3$ nanofluids we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size and zeta potential of nanoparticles in nanofluids with pH,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time were experimentally observed. The nanofluids adding CTAB, which ionizes of the same charge with the bare particle surface, was found to have the best stability regardless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whereas those with SDS became unstable under low surfactant concentration conditions, i.e. lower than the critical micellel concentration(CMC), before the charge reversal occurred. With higher SDS concentration over CMC, they became stable. Gum Arabic, which had been used often to stabilize the nanofluids, was also tested.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surfactants to add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pH and the sign of the bare particle surface charge.

  • PDF

DPC와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DEAB)와의 혼합마이셀화에 관한 연구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DPC with Other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DE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9-525
    • /
    • 1998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PC(dodecylpyridinium chloride)와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TAB(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TAB(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CDEAB(cetyldimethylethylammonium bromide)와의 혼합마이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도도법을 이용하였다. DPC/DTAB, DPC/TTAB 및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임계마이셀농도$(CMC^{\ast})$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각각 ${\alpha}$1(DPC의 몰분율)의 함수로서 25$^{\circ}C$에서 측정하였으며, 이와같이 측정한 $CMC^{\ast}$와 B 값으로부터 유사상태분리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gamma}_{I},\;C_{i},\;a^{M}_{i},\;\beta,\;{\Delta}H_{mix},\;and\;{\Delta}G^{o}_{m})$을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DPC/CDEAB 혼합계면활성제가 이상적 혼합마이셀모델에서 가장 큰 벗어남을 나타내었으며 DPC/DTAB 혼합계면활성제는 가장 작은 벗어남을 보였다.

  • PDF

클로로벤젠과 납의 동시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의 유기 벤토나이트에 관한 연구 (Organobentonite as a dual sorbent for Chlombenzene and Lead)

  • 이정주;박재우;김일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41-50
    • /
    • 2001
  • 점토 광물은 매립지 침출수로부터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고정화시키기 위한 흡착제로서 많이 이용되어져왔다. 그러나 천연 점토나 천연 점토에 계면활성제를 흡착시킨 유기점토는 중금속과 유기오염물질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과 유기오염물질을 동시에 제거시키기 위해 천연 점토에 첨가할 계면활성제의 최적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천연 점토로는 Na-벤토나이트를,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HDTMA를 사용하였고, 대표적인 오염물질로 납과 클로로벤젠을 선택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클로로벤젠은 HDTMA를 점토에 많이 첨가할수록 많이 제거되었고, 반면에 납은 HDTM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클로로벤젠은 초기농도보다는 오히려 첨가된 HDTMA의 양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으나, 납은 초기농도에 의해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납과 클로로벤젠의 상호 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결과에서 납은 클로로벤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클로로벤젠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 PDF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표면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의 탈수 특성 (Dehydration Characteristics of Cationic Surfactant-Modified Montmorillonite)

  • Seung Yeop Lee;Soo Jin Kim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5-314
    • /
    • 2002
  • HDTMA로 표면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의 탈수현상을 X-선 회절분석기와 시차주사열량측정 기(DSC)로 조사하였다 열에 의한 HDTMA-몬모릴로나이트의 탈수작용은 유기점토의 팽창거동에 영향을 주었다. HDTHA-몬모릴로나이트의 기저d(001)두께/온도변화 곡선은 크기가 다른 2개의 팽창피크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일차적으로 계면활성제의 정렬에 의한 점토광물의 층간팽창이 10$0^{\circ}C$ 부근에서 발생하고 알킬고리의 이차적인 수직배열에 의한 층간팽창이 20$0^{\circ}C$ 부근에서 일어났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유기점토의 탈수작용에 의해 점토 규산염층에 상대적으로 수직적인 알킬고리의 배열이 활성화되며, 소규모의 층간팽창을 야기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양쪽성 메조 포러스 실리카에 의한 수용액 속의 MX의 흡착 (Adsorption of MX (3-chloro-4 (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 on amphiphilic mesoporous silica in aqueous solution)

  • 유은아;정강섭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94-10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양쪽성 메조 다공성 실리카를 다양한 조건(용매, 계면활성제와 올리고머의 량, 용액의 pH)에서 합성하였다. 메조 다공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염소 소독으로 인해 음용수 중에 미량 존재하는 변이원성 물질인 MX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의 흡착에 관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소수성과 친수성의 양쪽성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사용하여 합성된 메조다공성 실리카의 경우 뛰어난 흡착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보조 계면 활성제의 경우에는 비이온성이며 분자량이 큰 폴리 에틸렌 프로필렌 옥사이드(PEO-PPO)를 사용하여 합성된 메조 다공성 실리키가 가장 좋은 흡착 특성을 보였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PC와 TTAB의 혼합마이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Thermodynamic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Cationic Surfactants DPC and TT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14-620
    • /
    • 1999
  •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odecylpyridinium chloride(DPC)와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TTAB)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를 $4^{\circ}C$에서 $36^{\circ}C$까지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CMC와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DPC/TT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 ${\Delta}G^o_m$, ${\Delta}H^o_m$${\Delta}S^o_m$)을 계산하였다. ${\Delta}C_p$${\Delta}G^o_m$은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Delta}S^o_m$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Delta}H^o_m$은 낮은 온도에서는 양의 값을 그리고 높은 온도에서는 음의 값을 띠었다. 또한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은 온도와 몰분율 조성 (${\alpha}_DPC$)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다.

  • PDF

관리 방법에 따른 섬유소계 직물의 물리적 특성 변화 및 생분해성 평가 (Effect of Textile Care on Phys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Cellulose Fabrics)

  • 이혜원;박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3-182
    • /
    • 2001
  • The phys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cellulose fabrics, such as cotton and rayon, are expected to vary with textile care. In this study cotton and rayon fabrics were washed repeatedly with detergents, bleaches, or softeners.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retention of breaking strength, shrinkage, handle, and the fiber surface was observed by SEM. The biodegradability of fabrics was also estimated by soil buria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tton fabrics laundered repeatedly by detergents and bleaches lost virtually no strength.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rayon fabrics decreased by about 17%∼25% after repeated launderings. Shrinkage in weft direction was much larger than that in warp direction. Bending rigidities of both fabrics decreased remarkably within 10 wash cycles. Shear rigidity in cotton fabric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repeated washing cycles, however, that in rayon fabrics did not show any change as washing went on. Friction coefficient increased in both fabrics after 10 wash cycles, and this is thought to be attributed to the wrinkle, interlocking of hairs, surface damage resulted from repeated washings. In cotton fabrics made of staple yarns, short hairs on the yarn surface entangled together with repeated launderings. This resulted in the continuous increase in % shrinkage, shear rigidity, friction coefficient. Rayon fabrics made of filament yarns, however, did not show this phenomenon. Softener treated fabrics showed the lowest values in bending rigidity, shear rigidity and friction coefficient because the cationic surfactants adsorbed on the fiber surface behaved like lubricants. The biodegradability of fabrics was noticeably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washing solutions. The fabrics washed with detergents and bleaches were decomposed faster than those washed with the others were and the cotton fabrics washed with detergents and softeners hardly degraded. The fabrics soiled with milk were decomposed almost completely and those soiled with Palmitic acid did not degrade greatly.

  • PDF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Isothiazolinone Components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sothiazolinone Componen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종규;이덕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105
    • /
    • 1992
  • 냉각탑, 제지산업, 일반 산업용수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방부제의 유효 성분 isothiazolinone components 즉, 2-methyl-4-isothiazolin-3-one(unchlorinated compound)과 5-chloro-2-methy14-isothiazolin-3-one(chlorinated compound)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서 분리, 정량하였다. 역상의 C$_{18}$ column (15 cmX3.9 mm I.D.)을 사용하였으며 자외선 검출기의 파장 254 nm에서 methanol-0.4% acetic acid(40 : 60)의 이동상, methanol-0.4% acetic acid(30: 70)의 추출 및 주입용매 조건으로 HPLC 분리를 시도한 결과 unchlorinated compound는 10~32,400 mg/l 범위에서, 그리고 chlorinated compound는 120~107,400 mg.l의 범위에서 직선성을 보였다. 내부 표준물질로서 dimethyl phthalate를 사용하였으며, unchlorinated compound, chlorinated compound 및 내부 표준물질의 순서로 븐리가 일어났고 총 분리시간은 6.41분이었다. 상기의 조건으로 시험물질을 분석, 정량한 결과 예측농도치에 근접한 수치를 얻었다.

  • PDF

Pyronine G와 계면활성제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Pyronine G and Surfactant)

  • 송기동;김성현;최칠남;이범규;최형기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154-160
    • /
    • 1997
  • Pyronine G(PG)와 계면활성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흡수 및 형광 분광학적으로 조사하였다. PG-AOT계 내에서 ${\gamma}$-band의 최적 조건은 S/D(계면활성제의 농도/PG의 농도)의 80 부근에서 가장 좋았으며, 그 이상에서는 stacking 형태가 점차 파괴되는 해리현상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양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계들이 첨가되면 PG 단위체의 흡수세기가 증가하였다. 한편, PG-AOT계 내에서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D<10까지는 ${\gamma}$-band의 흡수세기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S/D>20에서는 흡수세기가 큰 차이를 보이면서 증가하였다. NaCl를 첨가한 PG-AOT계는 NaCl를 첨가하지 않은 계보다 더 큰 해리 현상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세포탁심의 공장 및 비점막흡수에 미치는 이온쌍의 효과 (Effect of Ion-Pair on Jejunal and Nasal Absorption of Cefotaxime)

  • 박기배;전승;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4호
    • /
    • pp.353-36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stinal and nasal absorption enhancement of cefotaxime (CTX) by ion-pairing with counterions and to design an effective oral and intranasal drug delivery system for antibiotics. Counterions for absorption promotion were cationic surfactants [cetylpyridinium chloride (CP), cetrimide (CT) and benzalkonium chloride (BA)]. In the presence of counterions, the apparent partition coefficient of cefotaxime was increased depending on the molar concentration of the counterions. Anion interference was observed for ion-pairing of cefotaxime with counterions because of the counterbalance between an anion and counterions. The present study employed the in situ simultaneous nasal and intestinal perfusion technique in rats. The apparent permeabilities $(P_{app})$ of cefotaxime were $1.43{\pm}0.04{\times}10^{-5}\;cm/sec(mean{\pm}S.E)$ in the nasal cavity and 0 in the jejunum,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the intrinsic absorptivity of cefotaxime was greater in the nasal cavity than in the jejunum. When ionupairing formers were used, the decreasing order of apparent cefotaxime permeability $(P_{app},\;10^{-5}\;cm/sec)$, corrected for surface area of absorption, was as followings: $BA\;(7.50{\pm}0.36)\;>\;CT\;(4.92{\pm}0.24)\;>\;CP\;(3.01{\pm}0.17)$ in the jejunum and $BA\;(22.31{\pm}1.36)\;>\;CP\;(18.24{\pm}0.81)\;>\;CT \;(16.22{\pm}1.87)$ in the nasal cavity. The increase in permeability of cefotaxime was about 13-fold in the rat nasal cavity and was marked in the rat jejunum for ion-pairing with counterions as compared to those without ion-pairing. The damages of jejunal and nasal mucosal membrane by counterions were observed within approximately 2hrs after removal of ion-pair of cefotaxime with counterions from the nasal cavity and jejun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P can be used as an ion-pairing former in the jejunum and CP and CT can be used as ion-pairing formers in the nasal cavity for cefotaxime, as well as for poorly absorbed drugs with a negative charge due to ion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