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ion radical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4초

청혈단(淸血丹)의 6-hydroxydopamine에 의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신경세포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Chunghyul-dan(Qingxuedan) Against 6-hydroxydopamine Induced Neurotoxicity.)

  • 김광호;김종우;정선용;조성훈;오명숙;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4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Chunghyul-dan(Qingxuedan) in PC12 cells and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Methods : The anioxidant effect was investigated using the DPPH radical and ABTS cation scavenging assays and total polyphenol amout of Chunghyul-dan(Qingxuedan).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Chunghyul-dan(Qingxuedan) in PC12 cells was evaluated using MTT assay. The scavenging activity of Chunghyul-dan(Qingxuedan) on ROS production induced by 6-OHDA(6-hydroxydopamine) in PC12 cells was evaluated, as well as the attenuating effect on GSH reduction. Finally, we examin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Chunghyul-dan(Qingxuedan) against 6-0HDA-induced toxicity in the primary culture of rat mesencephalic doperminergic neurons. Results : Chunghyul-dan(Qingxuedan)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scavenging activities in DPPH radical and ABTS cation scavenging assays and it was not cytotoxic to PC12 cells. In postand co-treatment, Chunghyul-dan(Qingxuedan) protected PC12 cells from the 6-OHDA induced toxicity at 50 and 100 ${\mu}$g/mL significantly. And Chunghyu!-dan(Qingxuedan) decreased the 6-OHDA induced ROS production at a dose dependent manner, while increaing the 6-OHDA induced GSH reduction at 50 and 100 ${\mu}$g/mL significantly. Finally, Chunghyul-dan(Qingxuedan) showed signicant protection of rat mesc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from 6-OHDA at 1 ${\mu}$g/mL.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hunghyul-dan(Qingxuedan) has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6-0HDA induced cytotoxicity through decreasing ROS production and increasing GSH reduction.

  • PDF

국내 종실류를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Seeds and Nu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5-661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식물자원을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로 지방산 성분 분석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scavenging과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을 측정하였다. 호박씨 오일, 동백씨 오일, 땅콩 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열처리 후에도 고추씨 오일을 제외하고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DPPH에서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87.84%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5.20%, 74.16%, 43.18%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76.72%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 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6.25%, 73.34%, 41.2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올리브 오일과 비교하여 DPPH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 그리고 땅콩 오일이 대조군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능력은 근소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를 통해 4종의 오일은 화장품 용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의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조사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oriolus versicolor)

  • 한소라;노민영;이주호;오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93-1798
    • /
    • 2015
  • 본 연구는 약용 버섯으로 쓰이는 구름버섯을 ethyl acetate, ethanol 및 methanol 등으로 추출하고 각 추출용매에 따른 구름버섯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구름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에서 methanol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thanol 추출물이 대조구로 사용한 1 mM ascorb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약 80% 소거능을 보여주었으며,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ascorbic acid의 활성과 유사한 약 90% 소거능이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영향을 받지만, ABTS 라디칼은 극성 및 비극성 물질 모두와 반응하여 소거되므로 추출용매의 영향 없이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구름버섯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구름버섯의 항균활성은 구름버섯이 천연 항균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또한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ascorbic acid와 같이 높은 항산화능을 보임으로써 구름버섯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구름버섯은 향후 분야별 허용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방법 및 추출조건 등을 일부 변형한다면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에 첨가 가능한 원료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화장품 개발을 위한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innaeus)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 이병근;김종협;함상경;이창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4
    • /
    • 2014
  • 배롱나무 가지가 기능성화장품 소재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해 보고자 그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 Nitrite 소거작용,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배롱나무 가지의 아세톤 추출물은 50 ppm에서 73%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A는 50 ppm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50 ppm에서 78% 이상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BHA의 경우 50 ppm에서 96% 이상 활성을 보여준다. Nitrite 소거작용 측정은 대조군인 합성항산화제 BHA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50 ppm의 저농도에서 63% 이상의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1000 ppm에서 73%의 활성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저농도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인 천연물 (-)-epigallo-catechin-3-gallate와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50ppm의 저농도에서도 85% 이상의 높은 collagen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조군인 인공 합성 항산화제인 BHA와 비교하여 배롱나무 가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그리고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 및 천연물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적합한 천연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cetone formed in the Thermal and Photochemical Decompositions of Azobisisobutyronitrile

  • Yoon, Heung-Sick;Kim ,Kyong-T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6권5호
    • /
    • pp.284-287
    • /
    • 1985
  • Cyanoisopropyl radical derived from azobisisobutyronitrile (AIBN) by either thermolysis or photolysis reacts with oxygen to give cyanoisopropylperoxy radical which then was converted to acetone and cyano radical and/or acetyl cyanide and methyl radical. Of these products, acetone formed was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the addition of thianthrene cation radical perchlorate to the reaction mixture. The results showed that 55.7 mmol, 16.9 mmol, and 16.0 mmol of acetone were formed for 7 hours from 1 mol of AIBN at $82{\pm}1^{\circ}C$ in acetonitrile, carbon tetrachloride, and benzene, respectively. However, 22.2 mmol of acetone was formed from photolysis of 1 mmol of AIBN in acetonitrile. The value decreased to 13.2 mmol by bubbling argon into the solvent prior to photolysis.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REACTIONS OF 1,4-DIPHENYL-1,3-BUTADIYNE

  • Kim, Bang-Duk;Shim, Sang-Chul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5권1호
    • /
    • pp.23-26
    • /
    • 1998
  • Irradiation of diphenylbutadiyne (DPB) in methanol with 9,10-dicyanoanthracene (DCA) yields four methanol adducts, two more than the products obtained in the absence of DCA. Laser flash photolysis studies indicate the reaction to proceed through a photoinduced electron transfer mechanism involving DPB cation radical and DCA anion radical.

  • PDF

Dicyanoanthracene and Biphenyl Co-sensitized Photooxygenation of 1,1-Diphenyl-2-vinylcyclopropane

  • Shim, Sang-Chul;Song, Jeong-Sup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2호
    • /
    • pp.150-153
    • /
    • 1986
  • Co-sensitized photooxygenation of 1,1-diphenyl-2-vinylcyclopropane (VCP-DPh) with 9,10-dicyanoanthracene and biphenyl in oxygen-saturated acetonitrile solution produced 3,3-diphenyl-5-vinyl-1,2-dioxolane as the major product. The same photoproduct was obtained by acetone sensitized photooxygenation in oxygen-saturated acetone solution. However, VCP-DPh remained intact when directly irradiated with DCA or irradiated with Rose Bengal to generate singlet oxygen. A mechanism involving a cosensitizer radical cation and sensitizer radical anion is proposed.

The Synthetic Potential of SET Photochemistry of Silicon-Substituted Polydonor-Linked Phthalimides

  • Yoon, Ung Chan;Mariano, Patrick S.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8호
    • /
    • pp.1099-1114
    • /
    • 2006
  • Our studies in the area of single electron transfer (SET) photochemistry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efficient processes, in which regioselective formation of carbon-centered radicals takes place by nucleophile assisted desilylation of $\alpha$-trialkylsilyl substituted ether, thioether, amine and amide centered cation radicals. The rates of bimolecular desilylation of the intermediate cation radicals exceed those of other cation radical $\alpha$-fragmentation processes (e.g.,-deprotonation). This sereves as the basis for the design of highly regioselective, SET-induced photomacrocyclization reactions of polyether, polythioether, polyamide, and polypeptide linked phthalimides. Photocyclization reactions of trimethylsilyl-terminated substrates in these families are unique in that they produce polyfunctionalized macrocyclic substances in a highly efficient and regioselective manner. In addition, our studies in this area have led to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factors that govern chemical and quantum efficiencies that should be applicable to a wide variety of redox processes promoted by SET from substr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lectron donor site.

${\iota}$-Sparteine의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에 대한 메카니즘의 연구 (Mechanistic Studies for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iota}$-Sparteine)

  • 박진효;진창수;최성락;심윤보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11-716
    • /
    • 1993
  • 천연 알칼로이드의 하나인 ${\iota}$-sparteine (SP)의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을 아세토니트릴 용액 중에서 조사하였다. SP의 순환전압전류그림(CV)은 Ag/AgCl (0.1M AgNO$_3$ in acetonitrile) 전극에 대하여 +0.75 V and +1.45 V에서 두 개의 비가역적 산화봉우리를 나타내었다. 두 과정은 각각 약 1.2~1.3개의 전자반응에 해당함을 전기량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SP 의 첫 단계산화는 SP의 질소원자 하나가 산화되어 SP 라디칼 양이온을 형성하고, 라디칼 양이온은 뒤 이은 빠른 탈수소반응에 의하여 중성의 이민 라디칼을 형성한다. 이 중성 라디칼은 두 가지 반응 경로가 가능하다:대부분의 중성 라디칼은 불균등화 반응에 의하여 SP와 엔아민으로 된다. 또한 일부의 중성 라디칼은 다시 일전자 산화반응에 의해 1,2-dehydrosparteinium 양이온을 생성하게 된다. 이 양이온을 KOH로 처리하면 (+)-lupanine으로 된다. SP를 전기분해하여 얻은 생성물들을 분리한 후 적외선분광법, 질량분석법,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및 얇은 막 전기분광화학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arious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 Choi, Hae-Yeon;Jung, Kyung-Hee;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1051-105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The total phenolic contents in leaf, stem, and root were 165, 74, and 30 tannic acid equivalent mg/g of dried extract or fraction respectively. The butanol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lotus parts showe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e similar result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its fraction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olyphen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