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ion content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28초

침.활엽수림에서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betwee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in Mt. Palgong)

  • 허태철;주성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39-47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useful material for the forest multiple use and forest protection by soil physico-chemical analysis of studied area in Mt. Palgong. The results of soil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represented as following 2 points. 1. Soil depth was in the range of average 61.1 cm and soil texture was loamy sand and sandy loam except Donghwasa area. The part of solid phase and gaseous phase were higher than other areas, but liquid phase was less in verse. Soil water content was in an average 49.5%, penetrability was average $1.95{\times}E^{-2}cm/sec$ and the average of soil hardness was $1.64Kg/cm^2$. This data showed that soil water content, penetrability and soil hardness were good at Mt. Palgong forest soils. 2. Soil pH was the range of 3.4 to 6.0, organic carbon content was 2.8% that is nearly mean of the Korea brown forest soils, total N content is somewhat smaller than that of other places, and total average C/N ratios was 13.9. Average available $P_2O_5$ concentration was 5.05 mg/kg that is lower than that of any others. The concentration of available P of coniferous forests is higher than that of deciduous forests. Exchangeable cations content is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 brown forest soil and the order of the cation content extent is $Ca^{2+}$ > $Mg^{2+}$ > $Na^+$ > $K^+$.

  • PDF

남산지역에서 산성강하물이 솔잎의 양이온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 Deposition on Cation Contents of Pinus densiflora needles in Namsan)

  • 이상덕;한진석;주영특;오현경;공학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5-131
    • /
    • 2005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서울 지역의 산성강하물에 의한 침착량을 산정하고, 남산에서 식생하고 있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하여 잎 내의 양이온 함량을 조사하여, 산성강하물이 식물체 내의 양이온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강우의 이온균형 검토결과는 회귀직선의 기울기가 1.01,$R^2$가 0.973으로서 양이온과음이온사이에 비교적 양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2 서울 지역의 강수량 가중 연평균 pH는 약산성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01년에 pH5.1, 2002년에 pH5.0 그리고 2003년에 pH4.8을 나타내고 있다. 3. 음이온 성분 중에는 $SO_4\;^{2-}$가 조사기간(2001년$\~$2003년) 동안 각각 $3.505g/m^2/year,\;4.734g/m^2/year,\;5.418g/m^2/year$의 침착량이 나타냈으며, $NO_3\;^-$가 조사기간 동안 각각 $3.365g/m^2/year,\;3.717g/m^2/year,\;3.920g/m^2/year$의 침착량을 나타냈다. 양이온 성분 중에는 $NH_4\;^+$가 조사기간 동안 각각 $1.479g/m^2/year,\;1.419g/m^2/year,\;2.443g/m^2/year$의 침착량을 나타냈다. 습성강하물의 침착량을 살펴보면 강수량이 비슷했던 2001년과 2002년에는 그 양에 있어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강수량이 많았던 2003년에 침착량 또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4. 소나무 잎 내 양이온 함량을 시기별로 보면 가을철로 갈수록 양이온 함량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Al^{3+}$역시 미세한 차이지만 낙엽기에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Ca^{2+}$$Mn^{2+}$함량은 1년생 솔잎에서 당년생 솔잎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여 연령별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Mg^{2+}$은 1년생 솔잎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Al^{3+}$은 연령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소나무의 잎을 채취한 4, 7, 10월의 양이온 함량과 각 기간 동안의 습성강하물 중 이온성분의 평균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산성강하물에 크게 관여하는 $SO_4\;^{2-},\;NO_3^-$이온 성분과 소나무 일의 염기성 양이온$(Ca^{2+},\;Mg^{2+})$함량은 역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Mn^{2+}$의 경우도 염기성 양이온과 같이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Al^{3+}$의 경우에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돈분 액비 시용이 배나무 잎의 무기성분 함량, 과실특성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 Slurry Application on the Mineral Content of Leaf, Fruit Quality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ear Orchard)

  • 박진면;임태준;이성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9-214
    • /
    • 2012
  • 과수원에서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5년 동안 SCB 액비 사용했을 때 배나무 잎의 무기성분 함량, 과실 특성 및 수량,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SCB 액비와 화학비료 시용에 따른 배나무 잎의 무기 성분함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과실 특성 중 과중, 산도와 수량은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으나 질소 기준으로 SCB 액비를 처리했을 때 과중이 큰 경향을 보였고 당도는 액비 처리구가 화학비료 처리구보다 높았다. SCB 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화학성 변화는 화학비료 처리에 비하여 pH가 높았으나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은 화학비료 처리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SCB 액비는 토양 분석에 의한 질소 기준량을 시용하여도 배나무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이 화학비료와 대등하여 화학비료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업환경(農業環境)의 오염(汚染)과 그 대책(對策) 제(第) 1 보(報)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토양(土壤) 흡착(吸着)의 이론적분석(理論的分析) (Pollu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 Adsorption of Several Herbicide on Soils and Theoretical Evaluation)

  • 한대성;김정제;신영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29
    • /
    • 1984
  • 토양(土壤)에 의한 linuron, bentazon, trifluralin 및 butachlor의 흡착(吸着)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이 사용되었으며,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토양(土壤)에 의한 linuron의 흡착(吸着)은 토양성분중(土壤成分中)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과 직접적인 관계(關係)가 있으며,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linuron의 흡착(吸着)도 증가(增加)하였다. Bentazon은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이나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에 따라 뚜렷한 상관(相關)이 없었으며, 오히려 유기물함양(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흡착(吸着)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bentazon이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에서 음하전(陰荷電)을 띠어 bentazon분자(分子)와 음하전(陰荷電)을 띤 토양표면간(土壤表面間)의 반발현상(反撥現象) 때문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Trifluralin과 butachlor는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및 C.E.C.와 매우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나, 점토함량(粘土含量)과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각 공시농약(供試農藥)에 대한 흡착(吸着)은 trifluralin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linuron, butachlor, bentazon순(順) 이었다.

  • PDF

Correla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of GCLs with some properties of bentonites

  • Oren, A. Hakan;Aksoy, Yeliz Yukselen;Onal, Okan;Demirkiran, Havv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5권5호
    • /
    • pp.1091-1100
    • /
    • 2018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hydraulic conductivity of GCL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ntonites were assessed. In addition to four factory manufactured GCLs, six artificially prepared GCLs (AP-GCLs) were tested. AP-GCLs were prepared in the laboratory without bonding or stitching. A total of 20 hydraulic conductivity tests were conducted using flexible wall permeameters ten of which were permeated with distilled deionized water (DIW) and the rest were permeated with tap water (TW).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GCLs and AP-GCLs were between $5.2{\times}10^{-10}cm/s$ and $3.0{\times}10^{-9}cm/s$.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of all GCLs to DIW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GCLs to TW. Then, sim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etween hydraulic condu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ntonite. The b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chieved when hydraulic conductivity was related with clay content (R=0.85). Liquid limit and plasticity index wer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good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hydraulic conductivity (R~0.8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well index is less than other parameters, but still fairly good (R~0.70). In contrast, hydraulic conductivity had poor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ecific surface area (SSA), smectite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i.e., R < 0.5). Furthermore, some post-test properties of bentonite such as final height and final water content were correlated with the hydraulic conductivity as well.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GCLs had fairly good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either final height or final water content. However, those of AP-GCLs had poor correlations with these variables on account of fiber free characteristics.

국내 토목용 벤토나이트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Bentonites Used for the Civil Engineering Works in Korea)

  • 황진연;박성완;황한석
    • 지질공학
    • /
    • 제7권2호
    • /
    • pp.127-137
    • /
    • 1997
  • 현재 국내에 사용되는 토목용 벤토나이트에 대하여 점도, 팽윤도, 양이온교환용량 (CEC) 및 화학성분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X-선 회절분석 및 적외선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구성광물의 함량 및 그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 벤토나이트의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은 50-79%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들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의 증가에 따라 점도, 팽윤도, 함수량, 메칠렌불루 흡착량, 양이온 교환용량, 점토입도의 함량 등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들 특성들간에서도 서로의 상관관계가 잘 나타나므로 간접적인 특성의 파악에 본 자료가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부 시료에서는 특성에 따라 일반적인 경향과 다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는 원광석중 구성광물의 특성과 제조방법에 따른 혼합물질의 차이가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이 가장 적은 시료는 토목용 벤토나이트의 역할에 요구되는 여러 물리화학적 특성도 모두 열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흥 Cu-Pb-Zn 광산 주변에서의 중금속원소들의 분산 및 존재형태와 흡착처리 (Dispersion, Speciation and Adsorption Treatment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Shi-Heung Cu-Pb-Zn Mine)

  • 황호송;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5호
    • /
    • pp.455-467
    • /
    • 199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persion patterns and speciations of Cu, Pb, Zn and Cd in soils, stream sediments and stream waters, geochemical studies of soil, stream sediment and stream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vicinity of the Shi-Heung Cu-Pb-Zn mine was carried out Cation exchange capacity measurement, size analysis,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batch test were performed to select applicable soil for adsorption treatment The average content of Cu, Pb, Zn and Cd in soils collected from tailings and ore dressing plant is 1084 ppm, 2292 ppm, 3512 ppm and 29.2 ppm, respectively, and therefore, tailings and ore dressing plant site may be the major contamination sources in this study area. The mean content of Cu, Pb, Zn and Cd in stream sediments is extremely high up to 794 ppm, 1633 ppm, 2946 ppm and 25.2 ppm, respectively. Tailing particles and heavy metal ions are dispersed along the tributary system. Results from the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indicate; (1) most of Cu is bound to organic matters and sulphides, (2) fraction of Pb is mainly bound to Fe and Mn oxides. Most of Zn is largely bound to Fe and Mn oxides and residual fraction. Ion exchangeable fraction of Cd i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Cu, Pb and Zn. Batch test on soils collected from the kaolinite and/or pyrophyllite mines and from the control areas was carried out to select an applicable soil samples for adsorption treatment The sample, S10, collected from the control area 2 (clay content 33.2%) shows the highest $K_d$ (distribution coefficient). Organic content in soils and several clay minerals shows relatively good correlation with $K_d$. It means that applicable soils for adsorption treatment of heavy metals show high organic and clay content.

  • PDF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영향인자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Bentonite Slurry)

  • 유동주;오명학;김용성;박준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21-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영향인자와 전기전도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벤토나이트 및 흙-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전기전도도는 벤토나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선형적 증가 경향을 나타내어 전기전도도 측정기법이 슬러리에서의 벤토나이트 함량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때 슬러리의 전기전도도 변화는 주로 벤토나이트에 존재하는 양이온이 용해되어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슬러리에서 벤토나이트 함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선형적 관계는 용액의 초기 전기전도도와 세립토 함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슬러리에서 벤토나이트 함량과 전기전도도와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계식을 토대로 다양한 조건의 벤토나이트 및 흙-벤토나이트 슬러리에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하여 벤토나이트 함량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산회토(火山灰土) 분류(分類) 및 CEC에 대(對)한 유기물(有機物)과 점토(粘土)의 기여도(寄與度) (Classification of Volcanic Ash Soils and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Clay to Cation Exchange Capacity)

  • 박창서;김리열;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68
    • /
    • 1985
  • 우리나라 화산회토(火山灰土)의 CEC에 대한 유기물(有機物)과 점토(粘土)의 상대기여도(相對寄與度)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38개통(個統)의 화산회(火山灰) 토양(土壤)을 흑색화산회토(黑色火山灰土)와 농암갈색화산회토(濃暗褐色火山灰土)로 구분(區分)하여 토양통(土壤統) 설정시(設定時) 이용(利用)된 대표단면(代表斷面)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여 단순회귀(單純回歸)와 중선형회귀(重線型回歸)를 통계(統計) 처리(處理)하였다. 1. 우리나라 화산회토(火山灰土)는 신분류(新分類)에 준(準)하면 목(目) 3, 아목(亞目) 5, 대군(大群) 8, 아군(亞群) 15, 속(屬) 23, 통(統) 38개(個)로 분류(分類)되었다. 2. 화산회토(火山灰土) 총면적(總面積)은 139, 162ha로 제주도(濟州道) 99.56%, 울릉도(鬱陵島) 0.44% 분포(分布)하였다. 3. 흑색화산회토(黑色火山灰土)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CEC는 농암갈색화산회토(濃暗褐色火山灰土)보다 높았으나 점토함량(粘土含量)은 반대(反對) 경향(傾向)이었다. 4. OM-CEC 그리고 Clay-CEC 관계(關係)는 화산회토(火山灰土)의 표토(表土)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5. CEC추정시(推定時) 유기물(有機物) 1g은 흑색화산회토(黑色火山灰土) 및 농암갈색화산회토(濃暗褐色火山灰土) 표토(表土)에서 각각(各各) 0.46 및 0.40me, 점토(粘土) 1g은 각각(各各) 0.11 및 0.19me만큼 기여(寄與)하였다. 6 CEC를 추정(推定)할 때 유기물(有機物)은 흑색화산회토(黑色火山灰土) 및 농암갈색화산회토(濃暗褐色火山灰土) 표토(表土)에서 점토(粘土)보다 각각(各各) 2.97, 1.23배(倍) 중요(重要)하였다.

  • PDF

강산 및 강염기 토양 유출에 따른 토양의 생태기능 관련 토양특성 변화 (Changes in Soil Properties Related to Soil Function due to Chemical Spills with Strong Acid and Base)

  • 전인형;정재웅;남경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4호
    • /
    • pp.193-19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산 및 강염기 유출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육상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양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강산과 강염기 화학물질로 HCl과 NaOH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물질을 토양과 반응시킨 후 토양의 토성, 비표면적, 유기물함량, pH, 양이온교환능력 및 치환성양이온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토양과 반응한 HCl 및 NaOH 농도가 각각 10 M과 1 M인 경우 (즉, 토양 1 g 당 50 mmol의 HCl이나 5 mmol의 NaOH가 유입된 경우) 유의한 수준의 토양 특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10 M HCl 및 1 M NaOH 용액과 반응한 토양의 토성은 sandy loam에서 loamy sand로 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5.84m^2/g$에서 각각 4.85 및 $1.92m^2/g$으로 감소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3.23%에서 0.96 및 0.44%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반응 전 pH 5.05로 약산성인 토양의 pH는 각각 2.35 및 10.65로 변하였다. 토양 내 양이온교환능력은 10.27 cmol/kg에서 4.52 및 5.60 cmol/kg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Na^+$을 제외한 알칼리성 양이온 ($K^+$, $Mg^{2+}$, $Ca^{2+}$)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HCl과 반응한 경우 $Na^+$ 함량은 감소, $Al^{3+}$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반대로 NaOH와 반응한 경우 $Na^+$ 함량은 증가, $Al^{3+}$ 함량은 감소하였다. 높은 농도의 $Al^{3+}$$Na^+$은 각각 토양생물에게 직접적인 독성을 발현하거나 토양의 투수성을 감소시키고 중탄산염의 농도를 증가시켜 독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산 및 강염기유출사고로 인하여 변화한 토양특성이 토양의 생태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