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ch-up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7초

Making a Technological Catch-up: Barriers and Opportunities

  • Lee, Keun
    • 기술혁신연구
    • /
    • 제13권2호
    • /
    • pp.97-131
    • /
    • 2005
  • This paper has discussed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barriers and opportunities for technological catch-up by the late-comer countries and firms. As one of the barriers to technological catch-up, the paper emphasizes the uncertainty involved with the third stage of learning how to design. The barriers arise because as the forerunner firms refuse to sell or give license to successful catching-up firms who thus have to design the product by themselves. The paper discusses how to overcome this barrier. It also notes that if the crisis of design technology is a push factor for leapfrogging, arrival of new techno-economic paradigm can serve as a pull factor for leapfrogging, serving as a winder of opportunity. The, it emphasized the two risks with leapfrogging, namely the risk of choosing right technology or standards and the risk of creating initial markets, and how to overcome these risks. It discusses how to overcome these risks in leapfrogging, and differentiates diverse forms of knowledge accesses. Then, the paper takes up the issue of whether there can be a single common or several models for catch-up. A common element of catching-up is to enter new markets segments quickly, to manufacture with high levels of engineering excellence, and to be first-to-market by means of the best integrative designs. This observ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Korea and Taiwan has achieved higher level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 such sectors as featured by short cycle time of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two alternative models for catch-up is also discussed in terms of the key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Taiwan, especially in the position toward the source of foreign knowledge and the paths taken toward the final goal of OBM. Taiwan followed the sequential steps of OEM, ODM and OBN, in collaboration or integration with the MNCs. Korean chaebols jumped from OEM directly to OBM even without consolidating design technology.

  • PDF

극소저출생체중아의 따라잡기 성장 및 발달평가 (Catch-up growth and development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마태호;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29-33
    • /
    • 2006
  • 목 적 : 극소저출생체중아의 따라잡기 성장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발달검사를 통한 따라잡기 성장과 발달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삼성제일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1,500 g 미만의 극소저출생체중아 114명 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조사를 하였다. 한국소아의 표준성장곡선을 사용하여 각 환아의 교정연령 24개월의 체중에 따라 10 백분위수 이상인 군을 따라잡기 성공군으로, 10 백분위수 미만인 군을 실패군으로 정하였고, 각 군 산모 및 환아의 임상적 특성과 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 군의 BSID II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극소저출생체중아의 따라잡기 성장 성공군은 51명, 실패군은 25명이었다. 각 군 산모의 임상적 특성에서는 산전에 부신피질호르몬의 투여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각 군의 임상적 특성에서는 출생체중과 자궁내성장지연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른 임상적 특성과 경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공군 51명 중 28명, 실패군 25명 중 22명에서 BSID II를 실시하였고, 발달지연은 실패군에서 더 많았지만, 통계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SID II 점수의 평균은 성공군에서 운동발달지수와 정신발달지수가 각각 $99.54{\pm}14.82$, $108.18{\pm}12.27$이었고, 실패군에서는 각각 $98.68{\pm}15.24$, $103.82{\pm}15.17$로 성공군의 점수가 더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극소저출생체중아의 따라잡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산전 부신피질호르몬의 투여, 출생체중, 자궁내성장지연이었다. 따라잡기 성공여부와 발달과는 큰 연관은 없었으나 더 많은 증례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ost Catch-Up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e Talent in Korea: Limitations and Challenges

  • Seong, Jieun;Kim, Wangdong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3호
    • /
    • pp.39-51
    • /
    • 2010
  • Korea faces challenges from the recent development catch-up countries and the absence of catch up incentives. For Korea to solve the issue of post catch-up problems and create a new development path based on creative innov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a system design capability for the production of creative knowledge and talent that can create a competitive society. However, the conservative inclination and a lack of a customer-oriented attitude of Korean universities and professors leads to a standardization of talent and a passive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by universities instead of a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demands of companies and society. The compatibility of Korean university education with the demands of society remains the lowest in the world and creative education in Korea faces a difficult situation. The world is transforming from a knowledge-based economy to a creativity-based economy and a competitive society will led by creativity, not by knowledge. The success of a country in nurturing creative talent will determine its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Korea to be become a global leader in the new era of creativity, it needs to make proactive preparations. It is imperative for Korea to transform the educational system from the previous cramming system to a creativity-nurturing system.

한국 공공부문 과학기술활동의 특성과 변화 (The Chang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actices in the Public Sector of Korea)

  • 송위진;김병윤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81-606
    • /
    • 2004
  • Korean Innovation Systems are in transition from catch-up regime to post catch-up regime. This paper tries to analyse the chang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actices in the public sector of Korea Innovation Systems. This paper focus on the way public sect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actices are regulated and contribute to private sector. It is argued that self-governing practice of public S&T community is being enhanced and the requests of private sector for the public sector's contribution through research activity are reinforced in emerging post catch-up regime.

  • PDF

탈추격 연구의 이론적 지향성 및 과제 (Post Catch-up Theory: Direction and Agenda)

  • 황혜란;정재용;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114
    • /
    • 2012
  • 한국의 혁신체제는 모방학습 기제에 기초한 추격형 혁신체제에서 벗어나 스스로 개념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탈추격형 혁신체제로의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탈추격' 연구는 한국 혁신체제 내에서 발흥하는 새로운 형태의 혁신활동과 혁신주체간 관계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틀의 필요성에 부응하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탈추격 혁신활동은 후발산업국가의 기술능력 축적에 따라 추격대상이 존재하지 않고 스스로 혁신경로를 개척하는 혁신활동이며, 기술역량의 축적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는 다른 조직 및 제도적 배열, 사회적 규칙의 형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런 의미에서 탈추격 연구는 제도론, 진화이론, 발전론의 이론적 전통과 맥락을 함께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후발산업국인 한국에서의 탈추격 혁신활동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틀의 정립과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 PDF

후발산업국 환경에서의 K-Pop기업 추격전략 (A Catch-up Strategy of the K-Pop Firms in the Latecomer Environment)

  • 최현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9-131
    • /
    • 2015
  • 후발산업국인 한국 K-Pop의 인기는 독특하다. 추격이론의 관점에서 K-Pop의 등장을 분석한다면 창조산업의 전략적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점에 착안해 본 연구는 K-Pop기업의 내부역량, 시장공략방향 그리고 제품전략을 기존에 연구되었던 제조기업 추격전략과 비교 분석할 것이다. 연구를 통해 첫째, K-Pop기업이 음악생산에서의 인하우스(수직통합) 시스템도입과 기업규모 확장을 통해 앨범제작이라는 비연속적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젝트 실행역량을 구축했음을 확인했다. 둘째, K-Pop기업들은 일찍부터 해외시장에 진출했고,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성을 검증받은 장르를 중심으로 기회의 창을 적절히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K-Pop기업은 앨범시장에서 점진적 혁신을 적극 활용했다. 이것은 한국 제조기업의 추격전략과도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K-Pop기업들은 성장과정에서 한국 제조기업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탈(脫) 추격체제에서 부품업체의 기술혁신활동: 휴대전화 부품업체 사례연구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atterns of component suppliers in the post catching-up period : The case study of component suppliers in mobile phone industry)

  • 송위진;황혜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35-450
    • /
    • 2006
  • 이 논문은 대기업 조립업체가 혁신선도자로 발전하여 탈추격(post catch-up)단계로 넘어갈 때 그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부품업체의 기술혁신 특성 변화를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하는 연구이다. 조립 대기업이 선도자로 발전하면 부품의 기능과 품질에 대한 요구도 높아져서, 외국 부품을 국산화하는 수준을 법어 새로운 개념의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품업체들도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타난 부품업체 기술혁신 활동의 특성은, 부품업체임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전체의 아키텍처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고 부품기술개발을 수행했다는 것, 그리고 이 지식을 기반으로 부품업체와 조립업체들이 수평적인 공동개발을 수행해서 아키텍처 혁신을 이룩했다는 것이다.

  • PDF

한국 산업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Sectoral Innovation Stud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 정재용;황혜란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3호
    • /
    • pp.115-154
    • /
    • 2017
  • 한국이 산업혁신에 성공한 대표적인 국가의 하나로 주목받아 혁신연구의 사례로 연구되기 시작한 이래 30여 년이 되어 가고 있다. 그간 한국의 산업혁신에 관한 연구는 성공적 산업 추격을 진화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성공적 추격을 위한 진입전략, 추격을 가능하게 한 학습의 메커니즘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추격체제의 성장 잠재성이 한계에 이른 여러 징후들이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관점의 산업혁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제까지의 한국 산업혁신 연구를 주요 연구주제별로 리뷰하고, 현재의 상황변화에 비추어 앞으로 요청되는 연구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한국의 산업혁신 연구를 산업혁신시스템과 추격이라는 두 가지 관점을 기반으로 추격국 산업혁신의 특성 및 패턴, 기술능력 축적과 추격과정, 추격혁신과 제도, 성장동학의 형태 등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성과를 리뷰했다. 또한 한국 산업혁신의 진화적 특성, 산업의 기술적 특성과 추격의 용이성, 산업혁신에서의 제도의 중요성, 산업혁신의 지향성 등의 논점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성과의 검토와 현재 한국 산업혁신이 직면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향후 국민경제 차원에서 산업혁신 고도화에 대한 고찰 필요성, 산업혁신 고도화와 전환 가능성, 추격의 그늘에 대한 검토 필요성, 산업혁신의 비기술적 요인에 대한 검토와 산업혁신연구에서의 다양한 가치의 통합 필요성 등을 중심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였다.

중1 수학 과목의 능력진단에 대한 학생의견과 개별 보충학습 지도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of Students' Opinions on Ability Diagnosis and Guidance for Individual Catch-up Study in Middle School 1st Year Mathematics)

  • 김성호;강상진;김성훈;송미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45-157
    • /
    • 1999
  • Ability diagnosis is similar to medical diagnosis from a number of perspectives. However, a medical diagnosis is carried out by a direct observation through medical apparatuses, while an ability diagnosis is made by an indirect observation in the from of testing. In this respect, ability diagnosis is more difficult than medical diagnosis. Confined to middle school 1st year Mathematics, we collected survey data in 1996 from monthly tests. The data consist of student responses to diagnosis results on their abilities and of the effects of catch-up guidances for individual students which are provided based on their ability diagnosis outcomes. We analyzed the data and summarized the result in the paper. One of the main results is that the ability diagnosis as used in the paper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catch-up study.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ffects vary across the ability groups, the effect appearing weaker in the lower ability group than in the higher ability group. This calls our attention to the need that the ability diagnosis and guidance for the catch-up study be differentiated among ability groups.

  • PDF

글로벌 3강과 국제경쟁력 비교분석을 통한 현대·기아차의 추격전략 연구 (A Study on the Catch-Up Strategy of Hyundai·Ki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with the Three Global Leading Companies)

  • 박찬용;조근태
    • 경영과학
    • /
    • 제33권3호
    • /
    • pp.31-5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pose the catch-up strategy of Hyundai Kia to become the globally leading company in the automobile industry. For this, we try to compare Hyundai Kia with three leading automobile companies: Toyota, VW, and GM by using the Generalized Double Diamond Model. As a result, we present three ways that Hyundai Kia can become a "First Mover." The three strategies are : 1) controlling increase of wage, raising productivity, and increasing R&D investment 2) increasing overseas investment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automobile factories 3) pursuing the two tracks strategy of a public car and a prestige car more aggress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presents the catch-up strategy of Hyundai Kia in the automobile industry, of which the leaders can not be changed easily, by the Generalized Double Diamond Model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