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밤나무 잎의 항미생물 효과 및 활성물질 (Active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s from Castanea crenata Leaf)

  • 최옥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7-372
    • /
    • 2005
  • 밤나무 잎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 검색의 일환으로 항미생물 효과를 검정하고 활성물질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추출물의 활성을 확인한 후 시료를 n-hexane, EtOAc, MeOH로 순차 추출하여 정제한 다음 활성이 강한 MeOH 분획의 0.2 g, 0.5 g에 해당하는 추출물로 13종의 미생물에 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Cram 양성 세균 중에서 S. aureus와 S. epidermidis는 대조구로 사용한 benzoic acid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났고, M. luteus와 L. mesenteroides, B. subtilis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Gram 음성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에서도 강한 활성이 나타나 밤나무 잎 추출물은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a와 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시료를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으로 정제하고 활성이 나타난 산성 획분과 페놀성 획분의 물질을 분리한 후 MS, $^1H-NMR,\;^{13}C-NMR$ 등으로 분석한 결과, 산성 획분에서는 stigmast- 5-en-3-ol($\beta$-sitosterol)이 활성을 갖는 물질로 나타났다.

밤잎차(茶)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 최옥범;유경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28-1131
    • /
    • 1999
  • 밤나무 잎을 이용해 제조한 불발효 처리한 증제차와 반발효차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를 탐색하였다. 각각의 밤잎차 물추출물을 동결건조한 시료를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두 종류의 차 모두 대조구로 사용한 BHT보다 동일농도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들의 $SC_{50}$은 증제차 53.3 ${\mu}g/mL$, 반발효차 49.9 ${\mu}g/mL$, BHT 101.0 ${\mu}g/mL$으로 나타났다. 또한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차 0.2 g, 0.5 g에 상당하는 동결건조물의 MeOH추출물 8 mg과 20 mg으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한 결과, gram양성 세균 중에서 S. aureus와 S. epidermidis gram음성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는 대조구로 사용한 0.65 mg의 benzoic acid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났고, M. luteus와 L. mesenteroides, B. subtilis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어 증제차와 반발효차 모두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a와 활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한국약용식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저해활성 검색 (III)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Formation (III))

  • 정일하;김종민;장대식;김주환;조정희;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2-387
    • /
    • 2009
  • Enhanced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have been implicated as a major pathogenesis process leading to diabetic complications, normal aging, atherosclerosis and Alzheimer's disease. In our ongoing project to discover novel treatm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from natural sources, we have investigated on the inhibitory activity of 67 ethanol extracts from 57 Korean herbal medicines against the formation of AGEs in vitro. Of these, 22 extrac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GEs inhibitory activity ($IC_{50}$<50 ${\mu}g$/ml) compared with aminoguanidine ($IC_{50}$=75.98 ${\mu}g$/ml). Particularly, 6 extracts from 3 herbal medicines, Castanea crenata (flower, leaf, bark-twig), Acer tatarium subsp. ginnala (fruit) and Sapium japonicum (leaf, twig) showed (approximately 8-17 fold) stronger inhibitory activity than that of aminoguanid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