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otenoid

검색결과 646건 처리시간 0.032초

메기과에 속하는 메기와 미유기의 Carotenoid 색소 성분의 비교 (Comparision of Carotenoid Pigments in Catfish, Parasilurus asotus and Slender catfish, Parasilurus microdorsalis in the Family Siluridae)

  • 백승한;하봉석;김수영;권문정;최옥수;배태진;강동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6-162
    • /
    • 2004
  • 미이용자원인 어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메기과의 자연산 및 양식산 메기와 한국 특산의 담수어류인 미유기의 표피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로 분리하고 NaBH$_4$에 의한 환원반응, I$_2$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비교하고 IR 및 Mass spectrum을 측정하여 carotenoid를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산 메기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0.27 mg($\pm$0.7)%였으며 carotenoid의 조성은 zeaxanthin 25.8%, diatoxanin 9.7% 및 cynthiaxanthin 9.1%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외 isocryptoxanthin 6.5%, $\beta$-carotene 5.1%, $\beta$-cryptoxanthin 4.3%, lutein 3.4% 및 $\alpha$-cryptoxantin 2.4%의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양식산 메기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0.07 mg($\pm$0.03)%로서 자연산 메기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carotenoid의 조성은 lutein 48.5%, zeaxanin 13.9% 및 isocryptoxanin 13.3%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beta$-carotene 9.5%, $\beta$-cryptoxantin 1.4% 및 $\alpha$-cryptoxanthin 4.6%의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한편 미유기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0.75 mg($\pm$0.25)%로서 메기과의 다른 어종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carotenoid 조성은 zeaxanthin 24.5%, 7'8'-dihydro-$\beta$ -carotene-4-ol 24.1%, 7'8'-dihydro-$\beta$-carotene 17.9% 및 7'8'-dihydro-$\beta$-carotene-3-ol 10.8%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외 diatoxanthin 8.7%, cynthiaxanthin 6,7% 및 lutein 5.0%의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parasiloxanthin과 7',8'-dihyo-parasiloxanthin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biwa호수 메기, P. asotus 표피 carotenoid 조성과 비교하여, 미유기에서는 7'8'-dihydro-$\beta$-carotene의 구조를 가진 carotenoid가 존재하였으나 자연산 및 양식산 메기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특이하였다.

한국 여자 노인의 Carotenoid Bioavailability에 미치는 요인 조사 (Factors Effecting the Bioavailability of Carotenoid in Elderly Korean Women)

  • 임재연;이해정;박선주;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822-830
    • /
    • 2003
  • Carotenoid-rich foods focus one's attention on the prevention age-related dise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rotenoid status and look int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ioavailability of carotenoid in 121 elderly nonsmoking Korean women. Carotenoids and lipids in plasma, and nutrient intakes including carotenoid were studied. The mean plasma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concentrations were 220.0 mg/dl 49.5mg/dl , 139.2mg/dl and 157.4mg/dl , respective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lasma lutein + zeaxanthin, lycopene and $\beta$-carotene concentrations and the intake of fruits (r=0.17, r=0.20, r=0.19). However,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lasma zeaxanthin, and $\beta$-carotene concentrations that adjusted for carotenoid intakes and intakes of vegetables (r=-0.21, r=-0.19), and between plasma lutein+zeaxanthin, lycopene and $\beta$-carotene concentrations that adjusted for carotenoid intakes and intakes of fruits (r= -0.21, r=-0.18, r=-0.24). After the adjustment for plasma lipid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lasma carotenoid concentrations and the carotenoid-rich foods. However, after adjustment for fiber intake, significant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lasma carotenoid concentrations and carotenoid-rich foods. The plasma levels of carotenoid biomarkers (plasma carotenoid concentrations adjusted for dietary fiber intakes) decreased with age, and the plasma levels of lycopene biomarkers (plasma lycopene concentrations adjusted for dietary fiber intakes) increased with regular exercise. However alcohol drinking had no impa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g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fiber intake affected the bioavailability of carotenoid. Therefore, when the elderly have carotenoid-rich foods, they should consider ways of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carotenoid through cooking methods and Physical activity.

Ubiquinone 생성 Rhodopseudomonas capsulata H161의 Carotenoid 색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arotenoid Pigment of Ubiquinone Producing Strain Rhodopseudomonas capsulata H161)

  • 박경숙;이별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09-513
    • /
    • 1997
  • Rhodopseudomonas capsulata H161에 다량 축적되어 있는, 천연 색소 자원으로 중요한 carotenoid 색소 생성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Rhodopseudomonas capsulata H161이 생성하는 주된 carotenoid는 spheroidene, rhodovibrin, spirilloxanthin, lycopene이었다. 본 균주는 anaerobic light, 온도 3$0^{\circ}C$, pH 7.4, 광도 5,000Lux에서 5일간 배양하였을 때 균체 생성과 carotenoid 생성량이 최대치를 보여주었다.

  • PDF

Daucus carota 현탁 배양에서 배지 조성 및 세포 응집 크기가 Carotenoid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s and Cell Aggregate Size on the Biosynthesis of Carotenoid in Daucus carota Suspension Culture)

  • 윤정원;김지현유영제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47-353
    • /
    • 1990
  • The effects of nutrients and cell aggregate size on the cell growth of D. carota and the biosynthesi of carotenoid were investigated. Highest carotenoid content was obtained with sucrose as a carbon source and the equal ratio of ammonium to nitrate. High phosphate concentration stimulated the carotenoid biosynthesis in D. corota. 2,4-D inhibited the cell growth but stimulated the specific carotenoid content at high concentration. By modifying the medium composi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ree times higher specific carotenoid content and 2.5 times higher total carotenoid content were obtained 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with basic MS media. Biosynthesis of carotenoid was found to be affected by cell aggregate size; high carotenoid production was obtained from the large aggregated cells resulted from high sucrose concentration.

  • PDF

식품 및 생체 carotenoid의 co-oxidation

  • 김혜경;최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1-96
    • /
    • 1992
  • 효소에 의한 carotenoid의 co-oxidationgus상은 lipoxygenasechrao하에서 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산화되어 이때 만들어진 free radical에 의해 carotenoid가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화같이 carotenoid의 co-oxidation에서 lipoxygenase는 free radical을 만들면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ipoxygenase에 의한 carotenoid의 co-oxidation 현상을 처음 발견한 것은 대두가루를 밀가루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였다. 대두가루 속에 다량 함유된 lipoxygenase에 의해 밀가루의 carotenoid 색소가 표백되는 것을 보고 이 현상은 lipoxygenase에 의해 기질은 지방산이 산화되는 동안 caroenoid가 쉽게 co-oxidation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carotenoid는 지질이 존재하는 반응시스템에서 항산화제로서 혹은 secondary substrate로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Flat bitterling, Paracheilognathus rhombea and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 in the Subfamily Cyprinidae)

  • 권문정;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6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와 난의 carotenoid 조성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수컷 2.3mg%, 납지리 암컷 1.1mg%, 줄납자루 수컷 1.9mg%, 줄납자루 암컷 0.8mg%로 나타나 수컷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이 암컷 표피보다 다소 높았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lutein, lutein epoxide, tunaxanthin, zeaxanthin, triol 이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beta-carotene,$ $\alpha-cryptoxantinm$ cyn-thiaxantin 이 함유되어 있었다. 납지리 수컷의 표피에는 줄납자루 수컷에 비해 lutein의 함량치가 높았고 줄납자루 수컷의 경우는 납지리 수컷이 비해 lutein epoxide와 tunaxanthin의 함량치가 높았다. 그리고 납지리 암컷을 표피에는 줄납자루 dkat에 비해 lutein epoxide 함량치가 높았도 줄납자루 암컷의 표피에는 납자리 와 줄납자루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1.8mg%, 와 줄납자루 2.5mg%로 표피와는 달리 줄납자루 난의 함량치가 높았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난의 carotenoid 조성은 다 같이 lutein, lutein epoxid 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triol은 표피에 비해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잉어아과의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 및 나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농어과에 속하는 쏘가리와 꺽지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Mandarin Fish, Sinperca scherzeri and Korean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Family Serranidae)

  • 이향회;박미연;권문정;백승환;김수영;강동수;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93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 특산의 통어과이 쏘가리와 꺽지의 표피 및 난의 산란 중과 산란 후의 carotenoid 조성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쏘가리와 꺽지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쏘가리는 산란 중에 2.8mg%, 산란후에 2.1mg%로 나타나 산란후보다 산란중에 높은 함량치를 보였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쏘가리는 산란중에 tunaxanthin 42.2%, lutein 22.0%이며, 산란 후에는 tunaxanthin 32.7%, lutein 24.5%로 나타났으며, 꺽지는 산란중에는 tunaxanthin 69.4%, lutein 17.0%m 산란후에는 tunaxanthin 37.5%, lutein 24.8%로 나타나 표피의 tunaxanthin 의 함량이 산란 중이 산란 후가 높았다. 쏘가리와 꺽지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쏘가리의 난은 0.3mg%, 꺽지의 난은 1.3mg%로 나타나 쏘가리 보다 꺽지 난의 함량이 높았다. 난의 carotenoid 조성은 쏘가리 $\beta$-carotene 27.4%, zeaxanthin 25.7%, diatoxanthin 23.8%였고, 꺽지는 $\beta$-carotene 27.4%, zeaxanthin 25.3%, diatoxanthin 22.4%로 나타나 모두 $\beta$-carotene, zeaxanthin, diatoxanthin 이 주성분으로 함유 되어 있었으며 그외 cynthiaxanthin, lutein 및 cryptoxanthin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농어과의 쏘가리와 꺽지 표피 및 난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달걀.메추리알.오리알의 Retinol Equivalent 측정과 Carotenoids 분석 (Determination of Retinol Equivalent and Identification of Carotenoids in Hen, Quail and Duck Eggs)

  • 김미정;이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1-395
    • /
    • 1985
  • 시중에서 판매되는 달걀, 메추리알, 오리알의 총 carotenoid, provitamin A carotenoids, retinol함량을 측정하여 Retinol Equivalent를 산출하고, 이들 난황의 carotenoid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난황에서 단위 g당 총 carotenoid함량은 달걀>메추리알>오리알의 순서로, retinol은 메추리알>오리알>달걀의 순서로, Retinol, Equivalent는 메추리알>오리알>달걀의 순서로 높았다. 간 난황의 carotenoid 분석결과, carotenoid 조성은 거의 비슷했으나, 달걀과 메추리알의 경우 lutein과 zeaxanthin이 총 carotenoid의 75% 정도였고, 오리알의 경우는 60% 정도였다.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carotenoids임을 보였다.

  • PDF

형질전환된 당근 모상근의 Carotenoid 생산과 생물반응기에서의 배양 (Carotenoid Production of Transformed Carrot Hairy Root and Its Culture in Bioreactor)

  • 고경민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65-370
    • /
    • 1992
  • 다양한 배양조건을 이용하여 당근 모상근의 생장과 carotenoid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배양조건을 airlift형생물 반응기에 적용하여 모상근의 다량 배양을 시도하였다. 고형배지 배양에서의 carotenoid 함량은 광조건에서 배양된 모상근이 암조건에서 배양된 모상근보다 10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모상근의 생장은 광조건이 암조건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공기 유출기 배양에서는 모상근이 광조건과 암조건 모두에서 매우 빠르게 생장하여 생줄량의 차이가 없었으며, 모상근의 생장과 carotenoid 함량에 있어서 빛의 조사는 모상근의 전체적인 생중량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배양 후기 생장단계에서 carotenoid 함량을 증가시켜서 암조건에 비하여 10배 정도의 carotenoid(11 $\mu\textrm{g}$/g)를 생산하였다. 모상근을 생물 반응기에서 배양하였을 때, 모상근이 지수함수적으로 빠르게 생장하여 배양 25일 동안에 처음 무게의 11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H는 처음 5.5에서 5일후 4.9로 떨어지다가 그 이후에 일정한 수준(pH 4.8)을 보여주었으며, 광주기와 광도을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carotenoid 함량은 2$\mu\textrm{g}$/g으로 나타났다.

  • PDF

황색고구마의 Carotenoid 색소 함량 (Carotenoid Contents of Yellow Sweet Potatoes)

  • 김선재;임종환;정순택;안영섭;오용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8-222
    • /
    • 1997
  • 천연 식용색소원으로서 carotenoid색소 함량이 높은 황색고추마를 선발하기 위하여 10종의 황색고구마를 수집하여 carotenoid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총 carotenoid함량은 Benihayato가 20.2 mg/100 g fr wt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황색고구마의 carotenoid함량은 $4.6{\sim}16.7\;mg/100\;g$ fr wt 수준이었다. 비교실험을 위해 사용된 당근은 26 mg/100 g fr wt의 carotenoid를 함유하였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value는 황색고구마의 carotenoid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R^{2}=0.826)$ carotenoid함량의 간접적인 측정법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Caroteno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Benihayato의 carotenoid와 ${\beta}-carotene$표품의 absorption spectrum은 서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황색고구마에 함유된 carotenoid가 대부분 ${\beta}-caroten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