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tta carett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의 제주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잡종(Caretta caretta ${\times}$ Chelonia mydas)에 대한 첫 보고 (First Report of a Hybridization between Caretta caretta and Chelonia myda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 구교성;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77-381
    • /
    • 2014
  • 이 논문은 국내에서 발견된 잡종 바다거북 (Caretta caretta ${\times}$ Chelonia mydas)에 대한 첫 번째 보고이다. 2012년 5월 7일 바다거북류 한 개체(JST01)가 제주도 동쪽해안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국내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바다거북류 두 종(C. caretta and C. mydas)과 JST01의 외부형태를 비교한 결과, 채색, 등갑의 형태, 부리(upper beak)의 모양, 연갑판에 거치 그리고 앞발 발톱 개수 등의 외부형태는 C. caretta와 일치하였다. 반면, 연갑판, 서계갑판 그리고 늑갑판의 수, 용골이 없는 매끈한 등갑, 늑갑판과 정갑판이 접촉하지 않는 점 등은 C. mydas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C. caretta와 C. mydas의 외부형질들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JST01은 서로 다른 두 종간에 생겨난 교잡종이라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는 바다거북류에서 나타나는 잡종형성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국내 바다거북류의 출현 현황과 주요 출현 2종의 형태적 특징 (Occurrence of Sea Turtles in the Korean Water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Major Species)

  • 김일훈;문대연;조인영;김민섭;안용락;한동욱;한원민;한동진;박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11-318
    • /
    • 2017
  • Four species of sea turtles (Chelonia mydas, Caretta caretta, Dermochelys coriacea, and Eretmochelys imbricata) have been recorded in Korean waters. However, nationwide surveys on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each species have rarelybeen conducted in Korean waters. In this study,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trends in occurrence of sea turtles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148 reliable observations and stuffed specimen data and suggested Korean names for each species. Chelonia mydas (57 cases, 58.8%) and C. caretta (52 cases, 31.5%) were dominant species, and occupied > 90% of all observations. Most of observations of sea turtles in Korean waters were obtained through stranding (61 cases) and incidental catches (62 cases). A coastal set net was the main fishing gear for incidental catches (82%). Sea turtles were found mainly around Jeju-do and the Korea Strait from June to November. Most C. caretta found were adults, whereas most C. mydas were juveniles. Additionally, we provide detail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mydas (n=8) and C. caretta (n=4) using stuffed specimens. Finally, based on a literature search, we suggest appropriate Korean names, such as "Pureunbada-geobuk" for C. mydas, "Bulgeunbadageobuk" for C. caretta, "Jangsu-geobuk" for D. coriacea, and "Maeburibada-geobuk" for E. imbricate.

First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e loggerhead sea turtle (Caretta caretta) caught from the Yellow Sea of Korea

  • Lee, Heon-Joo;Kim, Il-Hun;Kim, Ja-Kyeong;Jeong, Sumin;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201-208
    • /
    • 2014
  • To date, no study has reported detail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ea turtles. Due to the lack of such basic information on Korean sea turtles, further related studies have been difficult in South Korea. In this report, we determined the species and the sex of the one sea turtle caught from the Yellow Sea of Korea (Taean-gun, Chungcheongnamdo) on July 17, 2013, and described its detail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ea turtle was identified as a loggerhead sea turtle (Caretta caretta) by the presence of an interprefrontal scale on the head. The turtle had three times longer length between the edge of anal scute to the anus than that between the anus to tip of the tail, and the size of a pair of claws on the flippers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suggesting that the turtle was a male. Finally, the assumption that the sea turtle might be sexually mature is based on its body weight (59.95 kg), the maximum straight length of the carapace (72.5 cm), and the worn serrated parts at the edge of supracaudal scutes. The loggerhead sea turtle described in this study is the first record from the Yellow Sea of Korea.

Serum Thyroid Hormone Levels in Wild and Captive Sea Turtles

  • Moon, Dae-Yeon;Mackenzie, Duncan-S.;Owens, David-W.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2호
    • /
    • pp.177-181
    • /
    • 1998
  •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green (chelonia mydas), loggerhead (caretta caretta), and Kemp's ridley (Lepidochelys kempii) sea turtles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to detect seasonal variations in thyroid hormones and compare levels in wild and captive individuals. Sexual dimorphism in the annual cycle of thyroxine was observed in adult Kemp's ridle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immature male and female green and loggerhead sea turtles. The level of triiodothyronine was consistently low relative to thyroxine in all species investigated, and captive sea turtles exhibit higher plasms thyroid levels than do wild ones.

  • PDF

한국산 파충류의 현황과 분포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Reptiles in the Republic of Korea)

  • 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24-138
    • /
    • 2007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파충류상과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개인 조사결과 등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파충류는 총 2목 7과 21종으로 확인되었다(장수거북, 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바다뱀, 얼룩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등 해양 파충류 제외). 또한 분류학적으로 많은 논쟁이 있는 도마뱀류, 장지뱀류, 뱀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해양파충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판단된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관찰된 바다거북의 좌초와 혼획 (Observation and Record of Sea Turtles in Bycatch and Stranding from Jeju Island of Korea)

  • 정민민;문대연;김성호;김흥수;김재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662-669
    • /
    • 2012
  •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 되는 바다거북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른바다거북(C. mydas) 12마리, 붉은바다거북(C. caretta) 3마리, 매부리바다거북(E. imbricata) 1마리, 미확인 종 25마리 등 총 41마리의 바다거북이 2년 동안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관찰되었다. 월별 및 해역별로는 8월에 제주도 북서부 연안의 애월읍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 빈도가 높았고 2008년 보다 2009년도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주도 북부 해안에 위치한 애월읍 연안 해역에서 연속적으로 출현 개체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바다거북의 색이장 및 생육장이 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어구별로는 정치망과 자망에서 주로 혼획 되었으며, 수동적 어구 형태인 정치망의 혼획이 높은 것으로 보아 먹이를 쫓아가다가 혼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도 제주도 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바다거북의 개체수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