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givers' Satisfaction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17초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의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the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홍여신;서문자;김금순;김인자;조남옥;최희정;정성희;김은만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1-123
    • /
    • 1998
  • The related factors of the quality of life (QOL) in stroke patients was identified empirically. The subjects were 254 stroke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and taken follow-up care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this model,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tatus were assumed to affect the QOL. And the social support was assumed to moderate these effects. NIH stroke state, ADL, and IADL were used to measure the physical status. Using CES-D, the psychological status was measured. The social status was defined as the job change after stroke attack. The satisfaction with the care by primary caregivers, significant ot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was measured as the social support.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tatus on the QO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status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QOL(R2=0.27, p=0.00). Next,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is, the low social support group and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It is found that the predicting variance is different between these two groups. In the low social support group,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status predicted as much as 42% of the QOL. On the contrary, the psychological status predicted only 8% of the QOL i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So it is concluded that the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effects of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tatus on QOL. Finally, to identify the social support which moderates those effects, the social support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Each social support class was divided into the low and high social support group again. In the every class of social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also identified. So the model of the QOL is recommended for the framework of the care for the stroke patients. Also these results support the claim that the long-term facilities for stroke patients are necessary.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실행 가능성: COVID-19에 따른 새로운 접근 (Feasibility of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Interactive Sing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COVID-19)

  • 유가을;임주연;하은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 대상 상호적 노래부르기 중심 실시간 비대면 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단계에서는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상호적 노래부르기 과제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과제를 토대로 2단계에서는 노래부르기 과제 및 반주 유형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으로 송출되는 소리가 지각되는 수준이 다른지 비교하였다. 또한 3단계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확장, 다양한 맥락에서의 언어/노래 자원 적용, 상호적 구조 안에서의 자발적 표현 시도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구성된 프로그램은 4단계에서 평균 연령 9.3세의 ASD 아동 3명에게 30분씩 주 2회, 총 4회 동안 시행되었다. 회기가 지날수록 대상자들의 프로그램 참여 행동과 노래부르기 행동 모두 증가하였고, 보호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참여 행동의 변화 양상이나 참여 유도를 위한 전략 등에 있어서는 대상자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ASD 아동에게 실행 가능함을 보여주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과제와 음악의 유형, 보다 많은 치료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아동의 특성이 다를 수 있음도 시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행 방향과 고려사항에 대해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