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giver's Health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초

입원아동 보호자의 역할과 역할부담감 (Role and Role Burden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 정은;권인수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8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ole and role burden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49 main caregivers from two pediatric hospitals whose children have been hospitalized for at least 2 days at children's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13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of checklist type for caregivers' role and Likert scale for role burden. Results: Role for hospitalized children showed that personal hygiene was the highest, and consultation with nurses and doctors was the lowest in total frequency per day. Of the role for the caregivers themselves and family, personal hygiene was the highest, and home management was the lowest. The degree of role burden perceived by hospitalized children's caregivers was the slightly high. Of the categories, emotional burden was the highest and dependent burden was the lowest. There were differences by caregivers' age, children's age, and children's health status. Conclusion: The caregivers performed various roles, especially more frequently on personal hygiene and nutrition for their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mselves and family, and had slightly high role burden.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help adapt on hospitalization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 PDF

요보호 노인 부양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 서비스 유형별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2002년도 서울시 노인복지 기초수요조사 자료 분석 - (A Study on Family Caregivers' Preferences for Utilization of Community-based Welfare and Health-care Services)

  • 김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23-14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을 앞두고 재가 요보호 노인 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서비스의 이용의향을 유형별로 알아보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행동주의모델을 이용하여 검토함과 동시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각 서비스 이용의향에 관련된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으로는 재가복지와 재가보건 서비스 모두 연령이 낮은 사람이 이용의향이 높았다. 서비스 이용촉진 및 저해요인 중에는 경제적인 여유가 있거나 부부양자가 있는 사람, 혹은 부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줄 사람이 있어, 물적 자원이 있거나 비공식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이 재가복지와 재가보건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욕구요인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노인의 증상이 심각하거나 거동불편 정도가 심한 사람, 혹은 요보호 노인 외에도 요보호 가족이 있어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욕구가 높은 집단이 오히려 이용의향이 낮게 나타났는데, 서비스의 유료화를 위해서는 경제적 자원과 같은 촉진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서비스에 대한 욕구(필요도)가 높아도 서비스 이용으로 연결되지 못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부담 이외에 '가족이 돌봐야 한다'. '노인이 싫어한다'와 같은 전통적인 부양의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요보호 노인의 증가로 서비스에 대한 이용 의향이 이전에 비해 높아지고 있지만,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이용의향이 없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재가복지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과 재가보건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을 나타낸 집단의 특성이 유사한 것이 확인되었고, 향후 클라이언트 위주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보건복지 서비스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재확인되었다.

  • PDF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모자보건관련 특성, 양육부담감, 사회적지지에 대한 사회계층별 비교 (Comparison of Maternal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in Mothers of Preschoolers -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90-398
    • /
    • 2007
  • Purpose: This compar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aternal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economic status. Method: Using home visi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poverty stricken mothers, 51 in the extremely poor group and 49 in the low income group, and 200 mothers of a general group being seen in one public health center.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identify maternal health variables including child 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Results: Parent's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primary caregiv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Poverty stricken groups showed poor rates for prenatal checkups, lower Fe supplementation, and more artificial abortions and history of cesarean section. Continuing breast feeding as planned was significantly lower for mothers with low economic status. Present health problems of the mother, child-rear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 attention and interventions for the poverty stricken groups is important t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ealth status.

  • PDF

양육자의 식사지도유형과 아동의 푸드 리터러시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Feeding Styles and the Food Literacy of Children)

  • 김은경;이진영;박영희;권용석;장희진;김세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55-562
    • /
    • 2021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ood literacy (FL) of children and mothers, and the maternal feeding style. Study subjects were mothers (n=400) with children in the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who were the primary caregivers for their children (n=400). The responses to the Caregiver's Feeding Styles Questionnaire (CFSQ) were obtained from mothers. Both mothers and children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s, dietary habits, health status, and food literacy. The high demanding/high responsive feeding styl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meal frequency for both mothers and children. The low demanding/low responsive feeding sty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mother's FL after accoun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 low demanding feeding styles were associated with the child's lower FL after adjustments for the age, sex, weight status of the child and the age,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of the mother. However, this association was not seen after making an additional adjustment for the mother's F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regiver's feeding style may affect the dietary habits and FL of both mother and child.

요양보호사의 치매태도와 돌봄행위 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Dementia Attitude and Car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Competence)

  • 오영주;전영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6-4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passion competence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Methods: 211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May 24th, 2023,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ean score for care behavior was 3.67±0.97 (range 1~5). Car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dementia (r=.7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r=.75, p<.001). Using Baron and Kenny's approach and PROCESS Macro model 4, care behavior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β=.76, p<.001). Compassion competence (β=.66, p<.001)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competence (β=.47, p<.001, 95% confidence interval 0.10~0.23) on the impact of dementia attitude on care behavior was confirm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assion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dementia-related attitudes and improve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노년기 수발 경험에 따른 건강 변화 :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Elderly Caregiving and Health : Analysis of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Satisfaction)

  • 이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42-651
    • /
    • 2017
  • 본 연구는 수발 경험에 따른 수발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살펴보고, 수발 경험이 수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가 매개변수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발 이후 남녀 모두 우울감이 증가하고 주관적 건강상태나 낮아졌다.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 변화 양상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수발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 수발 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총 효과는 1.087(p<.05), 간접효과는 0.546(p<.05)이었으며,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수발 경험은 기능적 가족망의 감소(0.42, p<.01)를 완전매개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수발 이후 수발자들의 건강 취약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발자의 건강과 이를 매개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어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따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녀 모두 기능적 가족망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에도 남성에게서만 기능적 가족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남성의 기능적 가족망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가 소아 환자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or Intravenous Sed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diatric Dental Patients)

  • 송지수;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35
    • /
    • 2016
  • 본 연구는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가 주 양육자가 인식하는 환아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환아 가족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10세 이하의 건강한 환아와 그 환아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환아가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를 위해 내원한 당일, 치료 시작 전에 환아의 주 양육자가 설문지를 작성하고,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동일한 주 양육자가 동일한 설문지를 다시 작성하였다. 총 43명의 환아가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COHIP)과 Family Impact Scale(FIS)의 대한민국 버전이 설문에 사용되었다. COHIP과 FIS 점수 모두 술 전에 비하여 술 후에 개선되었다. 성별은 COHIP 및 FIS 점수의 개선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연령은 COHIP 점수의 개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어린 환아의 경우 술 전 FIS 점수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수치료를 한 경우에는 COHIP 점수가 더 크게 개선되었으며, 구치부 기성금속관 수복을 한 경우에는 FIS 점수의 개선 정도가 적었다. 전치부 심미수복 여부와 전치부 조기 발거 여부는 COHIP 및 FIS 점수의 개선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는 주 양육자가 인식하는 환아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개선시킨다.

입원 진폐증 환자의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및 고독감에 관한 연구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oneliness of the Hospitalized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 이영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05-61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urth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ample of 205 hospitalized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was recruited from August 10 to 27, 2011.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with SPSS/WIN 17.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loneliness was very high (46.5). The levels of loneliness depended 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duration of coalworker caregiver, personality, exercise, hobbies and reported complications. The reported loneli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r=-.204, p=.003). family support (r=-.220, p=.002), professional medical team support (r=-.303,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175, p=.012).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were professional medical team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perceived health status, complication and family support, which explained about 21.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o reduce loneliness, and to improv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hospitalized patient with pneumoconiosis. These results can provide for evidence of nursing intervention to facilitate reduction of loneliness.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ailored Occupational Activity Program applied to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 in Community)

  • 황윤정;이강숙;임현국;김대진;정원미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29-1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수준, 그리고 보호자 부담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10월부터 2010년 5월까지 경기도 Y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소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 15명과 보호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은 목표활동과 과제를 통해 습득한 기술을 습관화하고 규칙적으로 일상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 후 평가를 포함하여 7주 동안 주 2회(1회 가정방문, 1회 전화점검), 총14회를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운동 및 처리기술평가에서 운동기술은 1.10±1.14점에서 1.34±1.2점으로, 처리기술은 0.32±0.55점에서 0.77±0.66점으로, 인지수준판별검사는 3.86±0.65점에서 4.17±0.64점으로, 간이정신상태검사는 17.33±4.6점에서 19.33±4.97점으로, 우울수준은 11.73±6.87점에서 8.53±7.09점으로, 보호자 부담은 31.80±20.06점에서 26.13±18.07점으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이 증가하였으며 치매환자의 우울수준과 보호자의 부담이 감소하였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에 있어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은 인지기능 향상, 우울 수준의 감소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보호자 부담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기능향상과 보호자 부담 감소를 위한 보다 다양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뇌손상 환자의 장애정도와 간병가족의 교육요구도 (Brain Injury Patients's Disability Degree and Education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 윤선희;유양숙;조옥희;황경혜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brain injury patients's disability degree and education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94 families with brain injury patients, who have been receiving treatment at the neurological intensive care unit and neurosurgery ward, were used. Data was collected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5 to November 28, 2011, and was analyzed using SAS program. Results: 'Defecation/urination' disability was the highest score of patient's physical disability and the next ranking was 'paralysis'. 'Memory impairment' disability was the highest score of patient's cognitive disability, and the next ranking was 'personality changes'. Overall, education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scored 4.15 out of the perfect score of 5. The factor, which scored highest, was 'information related with disease'. In addition, education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atient's degree of. Conclusion: Education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are distinct, according to the disability degree of brain injury patient.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for family with brain injury pati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