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a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1초

개에서 Helicobacter균 감염을 검출하기 위한 urease 검사와 PCR 검사의 진단적 정확도 (Diagnostic Accuracy of Ureas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ct Helicobacter Species Infection in Dogs)

  • Pak, Son-Il;Oh, Tae-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9-333
    • /
    • 2001
  • 새로 개발되거나 혹은 기존의 어떤 진단검사를 다양한 임상상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 검사법의 진단적 정확도를 추정하는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진단의 정확도에 대한 추정치를 모른다면 검사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동일한 개체에서 감염부위별로 3개 이상의 시료를 얻어 진단검사를 적용하는 경우 각 시료의 검사결과는 독립적인 측정시료가 아니라 개체내에서 연관성이 매우 높은 종속적인 시료에 해당 한다. 즉 동일한 개체에서 얻은 시료일수록 검사결과에서 유사한 반응을 보이며 이 경우 분석의 단위는 각각의 개체가 아니라 검사부위가 되는데 이는 의학연구에서 매우 흔하다. 본 연구에서는 Helicobacter 균에 의한 감염을 검출하기 위하여 동일한 개로부터 위의 해부학적 구조상 pyloric antrum, body 및 cardia의 생검시료에 대하여 urease 검사와 PCR 검사를 적용하여 각 검사의 진단적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urease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0.74 (95% 신뢰구간: 0.64-0.84)와 0.87 (95% 신뢰구간: 0.67-1.00)이었으며 PCR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0.95 (95% 신뢰구간: 0.89-1.00)와 0.90 (95% 신뢰구간: 0.70-1.00)로 두 검사의 특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CR 검사에 비하여 urease 검사의 경우 가음성 (false negative)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진단결과에 대한 신중한 해석이 요구된다.

  • PDF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Upper Third Gastric Cancer during a 21-Year Period (Single Center Analysis)

  • Jang, Je-Ho;Beron, Reinaldo Isaacs;Ahn, Hye-Seong;Kong, Seong-Ho;Lee, Hyuk-Joon;Kim, Woo-Ho;Lee, Kuhn-Uk;Yang, Han-Kw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4호
    • /
    • pp.212-218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roportions of upper third gastric cancer (UTG) among all gastric cancers and analyz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2,300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between 1986 and 2006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1,260 patients with UTG and 9,929 patients with middle or lower third gastric cancer (MLG) were compared, and annual proportions of UTG were evalu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UTG rapidly increased from 2.6% in 1986 to 12.5% in 1992. However,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increase was reduced (0.21%/year) after 1992 (12.5% to 14.2% from 1992 to 2006). Compared with the MLG group, the UTG group had a lower proportion of (22.3% vs. 39.7%, P<0.001) and a greater proportion of stage III/IV disease (39.4% vs. 31.7%, P<0.001). The UTG group also had larger tumors than the MLG group in stages I/II and III (3.5 cm/5.3 cm/6.5 cm vs. 3.2 cm/5.0 cm/5.8 cm, P=0.020/0.028 /<0.001), a higher proportion of undifferentiated cancer (63.1% vs. 53.7%, P<0.001), and less intestinal Lauren's type (38.8% vs. 47.4%, P<0.001). The 5-year survival rate of the UT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MLG group in stages I/II and III (85.6%/63.1%/34.2% vs. 91.6%/ 69.2%/44.7%, P<0.001/0.028/0.006).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UTGs has increased over the last two decades at SNUH, but the rate of increase has been greatly reduced since 1992. The UTG group showed a poorer prognosis compared with the MLG group in stages I/II and III.

출혈을 동반한 거대 위 신경초종 1예 (A Case of Giant Gastric Schwannoma Accompanied with Bleeding)

  • 김제연;안지영;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47-51
    • /
    • 2006
  • 위에서 생기는 점막하 종양은 내시경적 조직검사로는 그 기원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막하 종양 중, 슈반 세포(Schwann cell)로부터 분화하여 생기는 종양을 신경초종(Schwannoma)이라고 하며, 위에서 생기는 전체 종양의 0.2%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증례는 2개월 전부터 시작된 다량의 흑색변과 빈혈을 주소로 내원한 57세 여자 환자에 대한 보고이다.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및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위 분문에서 3 cm정도 아래부터 위각 직상부까지 위체부 소만을 대부분 차지하는 약 8 cm 이상의 돌출된 종양이 관찰되었고, 수 차례에 걸친 내시경적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괴사조직과 육아종성 조직, 만성 위염 소견만 반복해서 나왔다. 출혈을 동반한 진행성 위암, 림프종 등을 생각하여 정확한 진단 및 출혈에 대한 치료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조직검사에서 전반적으로 소엽상 형태(lobulating pattern)로 주변에 림프구 침윤(lymphocyte cuffing)이 있었고 책상핵(palisading nuclei), 방추세포(spindle-cell) 등이 보였다. C-kit, CD34, SMA 모두 음성이었으며 S-100 양성으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절제 위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생존율의 변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기의 비교 (Changes of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Rates of Gastric Cancer with Gastrectomy - 1990s vs early 2000s)

  • 심영관;김찬영;정연준;김종훈;황용;양두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200-206
    • /
    • 2009
  • 목적: 서구에서의 위암은 상부암과 미만형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도 서구화되어 감에 따라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생존율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의 위절제수술 환자 1,638명을 1990년대(1991~1999년)의 987명과 2000년대 초기(2000~2003년)의 651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시기별 임상병리학적 특성의 변화와 생존율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단변량과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과: 60대 이상의 고령환자가 1990년대 42.7%에서 2000년대 초기에는 50.7%로 증가하였다. 과체중(체질량지수$\geq$23)은 31.5%에서 43.2%로 증가하였다. Ia기 29.8%에서 44.5%로 증가하고 IV기는 23.5%에서 11.8%로 감소하였다. WHO 조직학적 분류, Lauren 분류와 병변의 위치는 변화 없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4.4%이고 5년 생존율은 67.7%에서 83.7%로 증가하였다. Cox proportional hazard 모델에서는 TNM, 근치도 여부와 시기의 구분이 생존율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이었다. 2000년대 초기에 수술 받은 환자는 1990년대의 수술 환자에 비해 비교위험도 0.715 (95% 신뢰구간; 0.555~0.921)로 생존율이 좋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서구에서 나타나는 임상병리학적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조기위암과 고연령 환자가 증가하였으며 과체중 환자 증가의 특징이 관찰되었다. 또한 위암 수술 환자의 생존율도 1990년대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위 절제술 후 발생한 위 폴립의 임상 병리학적 특징 (Clinicopathologic Evaluation of Gastric Polyps Remainding in the Stomach after a Gastrectomy)

  • 윤기영;조성진;김정훈;김영식;이상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69-173
    • /
    • 2005
  • 목적: 위폴립은 위장에 발생하는 흔한 양성 신생물로서, 증식폴립과 샘종폴립으로 크게 나눈다. 대개의 위폴립은 증식폴립이며 아직 정확한 병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샘종폴립의 경우 보통 장화생 현상을 동반한 미성숙 상피세포로 변화할 수 있어, 악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샘종폴립에 비해 증식폴립에서는 악성으로 잘 이행하지 않는다고 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위폴립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저자들은 위절제술 후 생긴 위 폴립 병변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6개월 또는 1년을 단위로 하여 내시경 경과관찰을 한 환자의 잔위에서 생긴 위 폴립을 병리조직 학적 분류와 빈도, 내시경적 크기와 Yamada형 소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는 138명, 정상 위에서 발생한 폴립은 115예, 위절제술 후에 발생한 폴립은 23예였다. 정상 위에서의 폴립의 발생 부위를 보면 전정부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았으나, 위절제술 후에는 수술 후 문합부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정상 위에서의 폴립의 조직학적 분류는 증식폴립 86예(75%), 샘종폴립 24예(21%), 염증폴립 4예(3%), 장피 화생 1예(0.8%)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위절제술 후의 폴립의 조직학적 분류는 위십이지장 문합술 후 증식폴립 3예(18%), 샘종폴립 1예(6%), 염증폴립 13예(76%)였고 위공장 문합술 후 증식폴립 3예(50%), 샘종폴립 1예(17%), 염증폴립 2예(23%)였다. 위절제 수술 후 폴립의 크기는 정상 위의 폴립의 크기보다 작은 양상을 보였다. 정상 위에서 폴립의 Yamada 형태의 분류는 위절제 수술 후에는 I, IV형이 정상 위의 폴립에 비하여 적은 빈도로 생기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위절제 수술 후의 폴립은 수술 문합부에서의 발생빈도가 높았고, 주로 염증폴립 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자주 내시경 관찰을 하는 이유로 정상 위에서 보다 일찍 발견되어 크기는 작았으며, 육안적으로 폴립의 Yamada 형태의 분류는 II, III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