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Dioxide

검색결과 3,652건 처리시간 0.031초

이산화탄소기반 고리형 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연구 동향 (Recent Development to Generate Carbon Dioxide-based Cyclic Carbonate and Polycarbonate)

  • 권두연;김재일;강휘주;김다연;김재호;이봉;김문석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01-208
    • /
    • 2011
  • 온실효과 유발 이산화탄소는 학문적, 산업적 관점에서 이산화탄소 기반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대한 원료로서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산화탄소 기반 폴리카보네이트는 탁월한 경제적 녹색고분자이다. 최근 이산화탄소 기반 폴리카보네이트의 빠른 개발이 산업적으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다양한 촉매 존재하에서 이산화탄소 및 에폭사이드 계열 화합물을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 모노마 제조 및 제조된 모노마로부터 이산화탄소 기반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대한 연구 동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수송에서 중간 저장 허브 선정 모델링 및 시각화를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ator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Hub Selection Modeling and Visualization of Carbon Dioxide Transport Using a Pipeline)

  • 이지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73-382
    • /
    • 2016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 격리 (CCS) 기술은 많은 이산화탄소 저감 방법 중 이상적인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파이프라인을 통해 저장소까지 수송할 때, 저장소가 가까운 경우 직접 수송할 수도 있지만, 중간 저장의 역할을 하는 허브를 거쳐 수송할 수도 있다. 허브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다목적 의사 결정을 위한 수학 모델은 많은 제약식과 목적식을 수반하는데, 문제의 계산 복잡도가 증가하지만 항상 최적을 보장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수송망에서 중간 저장 허브의 위치와 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발생지의 연결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시뮬레이터에서는 또한 이산화탄소의 수송 경로를 제공한다. 사례 연구로 한국에 모델을 적용한다.

GOSAT으로 추적된 동북아시아 이산화탄소 유동방향의 계절별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for Seasonal CO2 Flows Tracked by GOSAT in Northeast Asia)

  • 최진호;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1-13
    • /
    • 2012
  • 본 연구는 그동안 이산화탄소의 유동 방향 연구에서 지적된 지상관측자료의 시 공간적 제약성을 극복하고자, 최초의 온실가스 측정 전용 위성인 GOSAT을 활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계절별 이산화탄소의 유동 방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리깅 분석을 적용하여 결측값을 보완하고, 이방성 베리오그램을 통해 전체적인 이산화탄소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동북아시아의 이산화탄소 공간적 분포 양상은 위도대에 일치하는 변화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절별 유동성은 봄, 가을, 겨울의 경우 남동쪽 및 동쪽으로 유동되는 이산화탄소가 주를 이루어 나타났으며, 여름에 경우 북쪽 및 북동쪽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계절풍과 유사한 흐름으로 주로 서에서 동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한반도와 일본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유동은 인위적 배출원과 식생의 호흡, 해양의 배출과 흡수 등의 다양한 요인과 결부되어 달라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유동에 개입되는 다양한 변수와 상관성을 평가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산화탄소+물+2,2,3,3,3-pentafluoro-1-propanol 혼합물의 상거동 (Phase behavior of CO2 + H2O + 2,2,3,3,3-pentafluoro-1-propanol mixture)

  • 신헌용
    • 청정기술
    • /
    • 제24권4호
    • /
    • pp.275-27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과 이산화탄소의 상호 용해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의 마이크로에멀션 형성하는 조건을 관찰하였다. 물과 이산화탄소의 마이크로에멀션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2,2,3,3,3-Pentafluoro-1-propanol를 첨가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물과 계면활성제인 2,2,3,3,3-Pentafluoro-1-propanol 일정량을 첨가하여 이에 따른 마이크로에멀션의 구름점(cloud point) 변화와 경향을 살펴보았다. 계면활성제+이산화탄소 계의 경우 상전이 조건은 313.2 ~ 353.2 K 온도범위에서 8.35 ~ 12.69 MPa이였으며, 물+계면활성제+이산화탄소 계의 경우 온도범위 318.2 ~ 338.2 K에서 7.83 ~ 17.28 MPa에 이르는 압력 범위에서 구름점를 보였다.

잔디밭에서 지온에 대한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민감도(Q10) 분석 (Sensitivity Analysis (Q10) of Carbon Dioxide Flux with Soil Temperature in the Grassplot)

  • 강동환;소윤환;권병혁;김박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785-795
    • /
    • 2019
  • In order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carbon dioxide flux by soil temperature in the grassplot, carbon dioxide flux and soil temperature were observed 24 times from March, 2010 to March, 2011 at nine sites in the grassplot. The average of $CO_2$ in the grassplot is $2.2{\sim}36.7^{\circ}C$, the highest in August, the lowest in January, and the average of carbon dioxide flux is $12{\sim}1479mgCO_2{\cdot}m^{-2}{\cdot}hr^{-1}$, and the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the grassplot to the atmosphere was 10 times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The temperature response coefficient estimated by the exponential function of carbon dioxide flux according to soil temperature was ranged from 0.1065 to 0.1274, and the increase tendency of $CO_2$ flux with soil temperature was linear at $0{\sim}20^{\circ}C$ and exponential at $20{\sim}40^{\circ}C$. The $Q_{10}$ values for each of nine observation sites on the grassplot was in the range of 2.901 ~ 3.575, and the $Q_{10}$ value using the total data observed in the lawn was estimated to be 3.374. In the homogeneous grassplot area, the average of $Q_{10}$ values by observation point and the $Q_{10}$ value by the total data were estimated similarly.

적외선과 초음파 센서로 측정한 순천만 이산화탄소 변동 (Carbon Dioxide Fluctuation in Suncheon Bay Measured by Infrared and Ultrasonic sensors)

  • 김상진;김민성;이경훈;권병혁;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7-164
    • /
    • 2021
  • 순천만 갯벌에서 3차원 초음파풍속계로 바람과 기온을 측정하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증가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기온이 감소하면 이산화탄소도 감소한다. 그러나 일몰 직후에는 광합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온이 감소함에도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갯벌이 해수로 덮이게 되는 고조기에는 기온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기 난류가 강하게 나타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갯벌 생태계의 광합성과 호흡 그리고 대기 난류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다.

아민 차수에 따른 고체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Separation for Solid Absorbents According to Amine Order)

  • 장현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19-626
    • /
    • 2023
  • 건식 이산화탄소 분리공정에서 아민 구조체의 운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차 아민과 2차 아민 구조체를 합성하였다. TSA 조건에서 1차 아민과 2차 아민 건식 포집 분리제의 분리 특성을 연구하였다.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을 1차 아민 전구체로 가교제로 이용하여 가교 결합된 2차 아민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2차 아민 전구체를 Tetraethyl orthosilicate를 구조배양제로 사용하여 2차 아민 고체상 이산화탄소 분리제를 합성하였다. 1차 및 2차 아민 구조체의 TSA 공정조건에서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을 비교하였다. 1차 아민에 흡수된 이산화탄소 분리는 170 ℃ 이상에서 완전히 이루어지나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아민이 우레아로 전환되며, 아민기 손실이 발생되었다. 아민 손실이 낮은 130 ℃ 재생시 1차 아민 분리제의 공정 운전성능(working capacity)은 본 구조체의 경우 2% 이하로 나타났다. 2차 아민이 낮은 재생온도에서 높은 이산화탄소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 2% 흡수 분위기와 100% 재생분위기에서 약 6.5%의 공정 운전 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산화탄소 원격 계측을 위한 광 계수 방식의 라만 라이다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Raman Lidar System Using the Photon-counting Method to Measure Carbon Dioxide)

  • 박선호;최인영;윤문상
    • 한국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1-80
    • /
    • 2024
  • 이산화탄소 원격 계측을 위한 라만 라이다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라만 라이다 장치의 소형화를 진행하고, 이에 스캐닝 장치를 결합하여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가스 챔버를 약 87 m 거리에 위치시킨 후,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에 따른 라만 산란 신호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라만 라이다 장치를 이용하였을 때 약 0.67-40 vol% 사이의 농도에서 높은 선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계면활성제 및 이산화탄소 연속 주입을 활용한 탄소 저감 기술 (Carbon Reduction Technology Applying the Surfactant and Carbon Dioxide Sequential Injection)

  • 강석구;정종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5-11
    • /
    • 2024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지중 저장을 위해 유망한 지질학적 구조로는 대수층, 폐유전 및 가스전 등이 존재한다. 이 중 대수층은 다른 지질학적 구조에 비해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수층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활용하여 공극수가 존재하는 마이크로모델 내 계면활성제 선 주입 후 초임계 이산화탄소 후속 주입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선 주입되는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이 개선되며, 농도가 낮을수록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 개선을 위한 더 많은 계면활성제의 주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동일한 계면활성제 농도 조건에서 선행 연구의 계면활성제-초임계 이산화탄소 치환보다 계면활성제 선 주입 방식에서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은 약 30% 낮은 값을 나타내며, 본 연구의 최대 농도 조건에서 선행 연구와 유사한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수층 내 이산화탄소 저장 효율 향상을 위한 계면활성제 적용 시 농도 결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수용도 (Public Awareness and Acceptance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 이상일;성주식;황진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3호
    • /
    • pp.469-481
    • /
    • 2012
  •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counterplan in the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Even though the risk of leakage of $CO_2$ stored in the geologic formation is very low, the public is expected to disagree with the initiation of a CCS project without proper management plans ensuring the safety. In this study, recognition of laypeople were surveyed about CCS, climate change,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storage concepts, ground pressure, the impact of carbon dioxide, and carbon dioxide for leakage. Thereafter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o recognition of CCS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public understanding and awareness about climate change and CCS.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pose appropriate risk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