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partitioni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3초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I. 추파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파종밀도가 월동중 저장유기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I. Effect of seeding density on the content of organic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and forage yeild in rape ( Brassica napus L. ))

  • 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1-237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v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assica napus L.) was sown by three seeding densities of 5, 15 and 25cm interval among plants on Sep. 1, 1994. Field-grown plants were sampled on the before wintering (Dec. 4) and on the wintering period (Jan. 16) to analyze the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hohydrate reserves.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also measured in the spring of next year. The dry matter yields from the plots of 5, 15 and 25cm seeding interval were 1,270, 1.01 9 and 1,062 kg/lOa respectively, on the before wintering. The similar pattern wa5 observed in the crude protein yields affected by seeding density. On the before wintering, both of nitrogen and starch contents per 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seeding density was lowered. Starch conten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nitrogen in all plots. On the wintering period, the contents of nitrogen reserves were 6.5, 41.2 and 121.7 mglplant, those of starch reserves were 1.0, 5.4 and 185.1 mg/plant, respectively, in the plots of 5, 15 and 25cm seeding interval. Nitrogen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increased while starch reserves highly decreased in all plots comparing to the before wintering. 'lhe rates of winter survival were 10.2, 20.6 and 37.1%, and regrowth yields were 76, 96 and 178 kgD.M/ IOa, respectively, in the plots of 5, 15 and 25cm seeding interval. These results cleariy showed that seeding density have a close influence on the level of nitrogen and non-structurd cahohydrate reserves, and that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controlled by reserves level on the wintering period.

  • PDF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II. 추파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예취기시가 월동중 저장유기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II. Effect of cutting date on the content of organic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and forage yeild in rape( Brassica napus L. ))

  • 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8-244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Brassica napus L.) was sown on Sep. 1, 1994. Experimental plots were divided into three replicates under 6 different cutting dates(l0 days interval from Oct. 15 to Dec. 4). Field-grown palnts were sampled on the each cutting date and on the wintering period (Jan. 16) to analyze the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hohydrate reserves.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also measured in the spring of next year. On the before wintering, dry matter yields were 152, 274, 500, 718, 776 and 981 kg/lOa, respectively, from the cutting date on Oct. 15, Oct. 25, Nov. 4, Nov. 14, Nov. 24, and Dec. 4. Cmde protein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as cutting date was later until Nov. 14, thereafter a significant increase did not occured. Nitrogen and starch contents per plant significnatly increased as the cutting date was later. The increasing rate of starch was greatly higher than that of nitrogen. On the wintering period, nitrogen reserves in mts were 85.3, 68.8, 47.6, 28.3, 44.3, and 55.3 mglplant, and starch reserve were 11 1.3, 75.3, 39.3, 19.6, 26.4 and 34.6 mglplant, respectively, in the plots cut on Oct. 15, Oct. 25, Nov. 4, Nov. 14, Nov. 24, and Dec. 4. It showed that carbohydrate reserves were much highly utilized than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ing period. The rates of winter survival were 91, 83, 46, 22, 35 and 43% and regrowth yields were 692, 545, 316, 84, 127 and 140 kgD.M/lOa, respectively, in each plots. Th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between the level of organic reserves and the rate of winter survival or regrowth yield were obtained.

  • PDF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V. 추파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파종시기가 월동중 저장유기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V. Effect of seeding date on the content of organic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and forage yeild in rape ( Brassica napus L. ))

  • 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ussicu napus L.) was sown at 10 day> interval from Sep. I to Nov. 1. Field-grown palnts were sampled on the before wintering (Dec. 4) and on the wintering period (Jan. 16) to analyze the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hohydrate reserves.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also measured in the spring of next year. On the before wintering, the dry matter yields from the plots sown on Sep. 1, Sep.11 and Sep. 21 were 860, 596 and 260 kg/lOa, respectively. No. harvest was canied out on the plots sown after Oct. 1 because the growth state was not enough to cut. Both of nitrogen and starch contents per 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later. On the wintering period, the contents of nitrogen reserves in roots were 176.8. 120.1, 71.7, 84.0, 72.1, 45.3 and 33.3 mg/plant, those of starch reserves were 199.0. 55.8, 21.8, 92.6, 86.5, 36.4 and 29.0 mglplant, resepctively, in the plots sown on Sep. 1, Sep. 11, Sep. 21, Oct. I, Oct. 11, Oct. 21 and Nov. 1. The rates of winter survival were 40, 36, 33, 85, 87, 59 and 49% and regrowth yields were 161, 86, 65, 520, 451, 121 and 33 kgD.M/lOa, respectively, in each plots. 'I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seeding date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level of organic reserves and forage yield, and that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utilization on the before and alter wintering is extremely limited by seeding date.

  • PDF

The ABA Effect on the Accumulation of an Invertase Inhibitor Transcript that Is Driven by the CAMV35S Promoter in ARABIDOPSIS

  • Koh, Eun-Ji;Lee, Sung June;Hong, Suk-Whan;Lee, Hoi Seon;Lee, Hoj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3호
    • /
    • pp.236-242
    • /
    • 2008
  • Invertase (${\beta}$-D-fructofuranosidase; EC 3.2.1.26) catalyzes the conversion of sucrose into glucose and fructose and is involved in an array of important processes, including phloem unloading, carbon partitioning, the response to pathogens, and the control of cell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Its importance may have caused the invertases to evolve into a multigene family whose members are regulated by a variety of different mechanisms, such as pH, sucrose levels, and inhibitor proteins. Although putative invertase inhibitors in the Arabidopsis genome are easy to locat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lucidate their individual functions in vivo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because of their high redundancy.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functional role of the putative invertase inhibitors in Arabidopsis by generating transgenic plants harboring a putative invertase inhibitor gene under the control of the CaMV35S promoter. A transgenic plant that expressed high levels of the putative invertase inhibitor transcript when grown under normal conditions was chosen for the current study. To our surprise, the stability of the invertase inhibitor transcripts was shown to be down-regulated by the phytohormone ABA (abscisic acid). It is well established that ABA enhances invertase activity in vivo but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still poorly understood. Our results thus suggest that one way ABA regulates invertase activity is by down-regulating its inhibitor.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 저온처리가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생육 , 질소 및 비구조성 탄수화물의 총 함량에 미치는 영향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 Effects of temperature on growth, total content of nitrogen and non-structureal carbohydrate in forage rape(Brassica napus L.))

  • 김병호;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Dry matter,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of plants grown under $5^{\circ}C$ or $20^{\circ}C$ of culture temperature during 25 days were investigated. The dry matter content of leaves and roo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under $5^{\circ}C$ compared with $20^{\circ}C$culture condition. Comparing with the dry matter per plant under $20^{\circ}C$, those in leaves and roots under $5^{\circ}C$ decreased to 25% and 10%, respectively, after 25 days of temperature treatment. Total nitrogen content in leaves under $20^{\circ}C$ and $5^{\circ}C$ increased to 68% and 39% compared to the initial lenel(day O), respectively, during 25 days after temperature treatment, Nitrogen content in roots highly increased under 5 C while there was a little change under $20^{\circ}C$ condition. The nitrogen contents in roots under $5^{\circ}C$ and $20^{\circ}C$ were 39.0 and 30.8mgJg DM, respectively, after 25 days of temperature treatment. Total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 in both leaves and roots under $5^{\circ}C$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20^{\circ}C$ condition. After 25 days of temperature treatment under$5^{\circ}C$ , their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were 1.4 and 2.0 times higher than those of under $20^{\circ}C$ condition. Stach atent in roots under $20^{\circ}C$ was less changed, while thatof under $5^{\circ}C$ greatly increased from 64.8 to 178.7mglg DM duling 25 days. 'I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an accumulation of both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in the plants occured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e condition.

  • PDF

일사 저하에 대한 벼의 형태적 특성 및 광합성 반응 변화 (Morphological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Rice to Low Radiation)

  • 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11
    • /
    • 2007
  • 일사 저하에 따른 벼의 형태적 변화와 광합성 특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3품종을 이용하여 분얼기, 생식생장기, 등숙기에 약 40% 차광 처리하고 자연광 처리를 두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 조건에서 벼는 단위 엽면적 및 엽록소계(SPAD) 측정값 증가, 엽신으로의 건물중 분배비율 증가 등 일조 부족에 대한 적응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분얼이 지연되고 건물 생산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2.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탄소동화속도가 늦었으나 조직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게 유지되어, 차광 내 벼의 광합성이 낮았던 것은 광합성 기질인 이산화탄소의 제한이 아니고 photosystem의 전자전달 활성의 약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를 자연광에 1일간 노출시켜 순화한 후 측정한 최대 광합성과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에 대한 광합성 반응은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 반응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 수준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차광에서의 광합성 저하는 단순하게 일사량 저하에 의한 현상이었다. 4. 분얼기간 동안 차광 조건에서 생육하고 유수형성기 이후 자연광에 노출되어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유수형성기부터 출수기까지의 SPAD 값의 증가 정도가 적으며, 엽신 질소 함량의 감소 정도가 크고, $2,000\;{\mu}mol\;m^{-2}s^{-1}$ 이상으로 강한 광 조건에서는 광합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일조 부족에 적응한 벼는 photoinhibition 정도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5. 벼 수량은 자연광 처리에 비하여 유수형성기$\sim$출수기 차광에서는 수당영화수와 포트당 영화수의 감소에 의하여, 출수기$\sim$성숙기 차광에서는 등숙비율의 저하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한국 남서해안 도암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특성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Doam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조형찬;조영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4호
    • /
    • pp.159-168
    • /
    • 2015
  • 한국 남서해 연안의 도암만에서 44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및 중금속(Al, Fe, Mn, Cr, Cu, Ni, Pb, Zn)을 분석하였으며, 11개 시료에 대해서는 화학적 존재형태별 분석을 병행하였다. TOC(0.32~3.10%), TN(0.03~0.26%)은 주변 해역의 평균 수준이었고, C/N 비(7.9~11.9)에 근거할 때 육상기원 유기물의 영향이 반영된 일부 지역이 구분되었다. 중금속 함량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해양퇴적물 주의기준(TEL) 이하였고, 화학적 존재형태별 함량은 광물격자부분에서 Cr, Cu, Ni 등이, 비광물격자부분에서 Mn, Pb가 총량의 절반을 상회하였다. 연구지역의 중금속 배경농도를 누적빈도곡선과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추정한 결과 Cu=11.8, Ni=23.1, Pb=26.8, Zn=76.6, Cr=56.7, Mn=585 mg/kg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농축지수($I_{geo}$)에 근거해 국지적인 Mn 농축의 징후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농축지수와 존재형태비를 고려할 때 Zn, Pb도 환경변화에 따른 용출 가능성이 추정되었다.

토양호흡의 측정과 국내 연구 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 이은혜;임종환;이재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4-276
    • /
    • 2010
  • 본 연구는 토양호흡 측정방법을 소개하고 국내에서 관측된 토양호흡 자료를 고찰하고, 토양호흡 관측 자료 비교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토양호흡측정 방법은 측정원리에 따라 알칼리흡습법, 밀폐상법, 밀폐상역학법, 통기법으로 분류된다. 국내 토양호흡연구를 종합분석한 결과, 국내의 생태계에 적용 된 토양 호흡 측정 방법은 밀폐상역학법(62%), 알칼리흡습법(17%), 통기법(13%), 밀폐상법(8%)이 이용되었고 이러한 방법에 사용된 기기로는 LI-6400-09, EGM-3, EGM-4, 자동토양호흡측정기 등이 있다. 또한, 국내 토양호흡은 대부분 산림 생태계에 국한되어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관측된 평균 토양호흡은 130~900mg $CO_2\;m^{-2}h^{-1}$ 범위였다. 그러나 국내 토양호흡 관측이 산발적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축적된 자료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며, 토양호흡의 상호 비교 및 정량화를 위해 측정방법간의 비교 및 오차에 대한 검증된 연구가 없어 관측된 토양호흡값의 상호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한반도 생태계의 탄소수지의 정확한 예측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키고 있다. 한반도 탄소순환 메커니즘의 이해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생태계의 토양호흡 관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하며 토양호흡을 조절하는 환경요인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다양한 기상 조건을 포함하는 토양호흡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더불어 토양호흡의 발생원 별 구분에 대한 국내의 연구결과는 대단히 미약한 수준으로 토양호흡의 메카니즘이해와 정확한 탄소수지이해를 위해 발생원 별 토양호흡량 정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복합거동연결체의 하중재하에 따른 변형 특성 및 취약부위 산정 (Evaluation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Vulnerable Parts according to Loading on Compound Behavior Connector)

  • 김기성;김동욱;안준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24-530
    • /
    • 2019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해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터페이스 요소를 구성하고, 일반적인 부재의 특성치와 강도가 보강된 부재의 특성치 등의 실제 표현할 수 있는 물성조건을 적용하여 연결체의 복합거동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해석 모델은 비선형적인 재료 거동을 포함한 솔리드 요소(Solid Element)를 사용하여 빔 구조 및 원형 플랜지, 볼팅 시스템 등의 부재를 설계도면과 동일한 치수로 모델링을 완성하였고 각 부재는 하나의 복합거동연결체로 조립되는 과정에서 다른 요소유형(Element Type) 접촉면의 통일성과 매쉬(Mesh) 생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분할작업(Partition)을 수행하였으며 부재들에 활용된 강재는 Gr. 50 탄소강 재질로 모델링 하였다. 연구결과: 부재별 접촉 인접부위, 하중재하부위, 고정단 부위, 취약예상부위 등으로 하여 하중단계별 변위 및 변형, 응력상태 등을 나타내고, 유한요소 해석 후 복합거동연결체의 각 하중단계에서의 변위, 변형, 응력 등의 분포도로 영향을 검증하고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따라서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마이크로 파일의 설계 지지력이 결정되면 복합거동 연결체의 취약 지점의 파악과 보강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릉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에디공분산으로 관측한 하부 군락의 증발산 (Understory Evapotranspiration Measured by Eddy-Covariance i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 강민석;권효정;임종환;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3-246
    • /
    • 2009
  • 증발산(ET)을 증발(E)과 증산(T)으로 배분하는 것은 물 순환과 에너지, 물 및 탄소 순환의 연결고리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산림 군락의 총 증발산은 상부 및 하부 군락의 증산과 토양 및 차단 강수로부터의 증발로 구성된다. 이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정량화하기 위해, 에디 공분산 방법을 사용하여 2008년 6월 1일부터 2009년 5월 31일까지 광릉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마루에서의 증발산을 관측하였다. 스펙트럼 분석에 따르면, 초음파 풍향 풍속계와 수증기 농도 측정기 사이의 거리에 의한 증발산 과소 평가는 군락 하부에서 연간 증발산량의 약 10%정도였다. 하부군락의 연간 증발산은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각각 59mm와 43mm로, 총 증발산량의 16%와 7%를 차지하였다. 전반적으로 식생면적지수가 최대인 여름 기간을 제외하고는 하부군락의 증발산은 총 증발산에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을 차지하였다. 두 산림지역의 비결합 모수($\Omega$)는 약 0.15이었으며, 이는 하부군락의 증발산이 주로 포차나 토양 수분에 의해서 조절됨을 보여준다. 두 산림의 하부 군락의 증발산의 차이는 군락 하부의 환경 조건의 차이에 기인하며, 특히 습도와 토양 수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였다. 광릉 하부 군락의 증발산 기여도가 작지 않다는 사실은 이러한 산림의 물질과 에너지 플럭스를 해석하고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이원 또는 다층 모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