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dioxide Reduction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초

목재펄프 분말을 이용한 PCC 전처리가 종이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CC Pretreatment with Pulp Powder on the Paper Properties)

  • 곽건호;조병욱;이용규;원종명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1호
    • /
    • pp.39-45
    • /
    • 2014
  •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tried to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in paper industry. One of important approaches is to use PCC manufactured from emission gas as a filler. However, it was recognized that PCC is inferior to other fillers in the paper strength properties of view. Therefore, pretreatment of PCC with pulp powder was tried to mitigate the strength reduction of paper. Pretreatment of PCC with pulp powder improved the bulk(7.4~12.9%) and air permeability(24.8~42.98%),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opacity. Tensile index, burst index and stiffness were decreased by the use of pretreated PCC with pulp powder. Anionic and cationic PAM were used as a additive for PCC pre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strength proper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ulk in all kinds of PAM used in this study. Most strength properties were improved by the pretreatment of PCC with the anionic and cationic PAM and pulp powder, although the opacity and stiffness were more or less decreased.

$CO_2$ 배출문제와 냉열이용 지역집단 냉방에너지에 관한 통합적 융합기술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Fusion Technology Between a Carbon Dioxide Emission and a District Cooling Energy Using a Cold Energy)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4-40
    • /
    • 2006
  • 본 논문은 지역집단 냉방에너지 공급시스템과 환경보호정책에 관한 융합기술을 에너지절약과 미이용 에너지인 냉열자원의 활용성을 함께 다루고 있다. 지역집단 냉 난방 시스템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에너지가 생활수준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정책을 균형감 있게 고려해야 한다. 냉열에너지는 LNG를 기화하는 과정에서 생산할 수 있지만, 바다의 심층수와 빙축열에서도 얻을 수 있다. 지역집단 냉방에너지는 아파트, 사무실, 공장설비 등에 냉열공급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공급하게 된다. LNG 냉열에너지는 전기에너지와 냉매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존의 에어컨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경쟁력 높은 에너지이다. 청정에너지이고 운전비용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진 LNG 냉열은 $CO_2$와 같은 대기오염원과 자연환경에 유해한 냉매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G 냉열에너지의 사용과 에너지 절약, 그리고 환경보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융합기술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PDF

상업용 퇴비화를 위한 간헐통기식 파이로트 규모 반응조의 성능 (Performance of an Intermittent Aerated Pilot-scale Reactor Vessel for Commercial Composting)

  • 홍지형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2호
    • /
    • pp.31-44
    • /
    • 1998
  • 돈분 슬러리와 톱밥 혼합물을 퇴비화 급속(분해)과정의 파이로트 규모 반응조 성능 평가를 입증하기 위해 간헐통기법으로 퇴비화 처리했다. 계측은 퇴비온도, 산소와 탄산가스농도, 통기량 및 암모니아가스 배출 등의 측정으로 구성됐다. 퇴비화 급속과정의 암모니아 농도는 14일째에 수준이하(I)보다 최적수준(II)부근에서 신속하게 허용범위 34-40ppm 이내로 감소되어 짐을 알 수 있었다. 암모니아가스 저감에 있어서 수분(55-65%), 탄질비(20-40%), 수소이온농도(7-8%) 및 퇴비온도(<$60^{\circ}C$) 등의 최적수준 영향은 상업용 퇴비화에 무시 할 수 없었다.

  • PDF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방사성 금속이온 추출 (The Extraction of Metal Contaminants using Supercritical CO2)

  • 주민수;김정훈;강세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60-667
    • /
    • 2016
  • 원자력발전 등에 기인한 방사성 오염물질들은 대부분 제염과정을 통하여 방사능과 그 부피를 줄이는데, 물을 주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사성 물질 제염방법은 많은 양의 2차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용매로 이산화탄소의 특성을 이용하여 폐기물 저감에 효과적인 제염 방법을 적용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원자력 오염물질의 제염 대상을 금속 이온, 금속과 금속산화물로 분류하여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전자의 경우 계면활성제 킬레이트법을 이용하여 제염하였다. 제염대상 핵종으로는 Sr, Co, Nb, Zr을 선정하였다. Sr과 Co는 각각 핵분열 생성물과 방사화 부식 생성물의 대표 핵종이고 Nb과 Zr은 오염된 방호복에서 가장 많은 방사능을 차지하는 핵종이다. Static Extraction을 통하여 Sr은 최고 97%, Nb과 Co, Zr은 각각 79%, 73%, 64%의 추출율을 얻었다.

유류오염지역의 지하수 수질특성과 토양가스 분석을 통한 바이오파일의 효율평가 (The Characteristics of Shallow Groundwater in Petroleum Contaminated Site and the Assessment of Efficiency of Biopile by Off-gas Analysis)

  • 조장환;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2호
    • /
    • pp.36-44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hallow groundwater from the oil-contaminated site for a long period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biopile technology to treat the soil excavated from it. The eight monitoring wells were installed in the contaminated site and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Dissolved Oxygen (DO),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s of major ions and pollutants were measured. The VOCs in soil gas were monitored during biopile operation and TPH concentration was analyzed at the termination of the experiment. The pH was 6.62 considered subacid and EC was 886.19 ${\mu}S/cm$. DO was measured to be 2.06 mg/L showing the similar characteristic of deep groundwater. ORP was 119.02 mV indicating oxidation state. The temperature of groundwater was measured to be $16.97^{\circ}C$. The piper diagram showed that groundwater was classified as Ca-$HCO_3$ type considered deep groundwater. The ground water concentration for TPH, Benzene, Toluene, Xylene of the first round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ou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f soil gas was increased to 1.3% and the concentration of VOCs was completely eliminated after the 40 days. The TPH concentration showed 98% remediation efficiency after the 90 days biopile operation.

표면불소화에 따른 Poly(phenylene oxide)막의 기체투과거동 연구 (Studies on the Gas Permeation Behaviors Using the Surface Fluorinated Poly(phenylene oxide) Membranes)

  • 이보성;김대훈;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06-1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oly(phenylene oxide) (PPO)의 막 표면에 100 ppm의 농도를 갖는 불소가스를 접촉시켜 표면불소화하였다. 표면 개질된 막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접촉각, XPS, 기체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특성 분석 결과 불소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막 표면에 $-CF_2$, $-CF_3$의 perfluoro group의 결합으로 인해 막의 소수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기체투과 측정으로부터 불소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에 대한 투과도는 감소하였으며, 불소노출이 60분 경과한 막의 경우 질소 33%, 산소 23%, 이산화탄소 3%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선택도의 경우 질소 대비 산소의 경우 3.92로부터 4.47로,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소의 경우 18.09에서 25.4로 증가함을 얻었다.

Gaussian 분포의 입자군의 표준편차에 따른 최소유동화속도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of Gaussian Distribution Particle System According to Standard Deviation)

  • 장현태;박태성;차왕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567-570
    • /
    • 2008
  • 내경 0.109 m의 유동층에서 다입자경 모래에 대한 압력요동의 표준편차와 유속간의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최소유동화속도 측정법의 적용성을 조사하였다. 다입자경 모래를 평균입자크기가 같은 Gaussian 분포에서 입자분포의 표준편차에 따른 최소유동화속도를 측정하고, 측정치를 타 연구자들의 식과 비교 검토하였다. 압력요동의 표준편차 값 선형회귀분석법과 층내 압력강하로부터 구한 최소유동화속도를 구하였다. 최소유동화속도 결정에서 유속 범위는 혼합도가 낮은 유속범위와 free bubbling 영역 이상을 제외한 범위값 이어야 하며, 이 유속범위에서 측정위치는 혼합이 양호한 층 중앙이 가장 적절하다.

이러닝 표준화 로드맵 개발을 통한 정책 추진 전략 연구 (The Study on Strategy of Policy through Development of the e-learning Standardization Roadmap)

  • 최미애;조용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77-90
    • /
    • 2010
  • 이러닝 표준은 국가 주도의 정책 사업(사이버가정학습 & 디지털교과서)에 적용함으로써 엄청난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둔 바 있으며, 중복 개발 방지를 통한 CO2 발생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그린 패러다임에도 부합하는 분야이다. 특히, 21세기로 접어들어 융합 즉, 컨버전스가 화두로 떠오르며, 그 자체로써 교육과 기술의 융합인 이러닝 표준화 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닝 표준화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중장기(5개년) 로드맵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표준화 정책 추진을 위한 방향성 도출과 더불어 국제 표준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아울러, 표준화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저변 확대 및 보급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Dunaliella tertiolecta의 포도당산화와 산화효소계 (I) Whole cells과 cell-free systems에 의한 14C-glucose의 산화 (Glucose Oxidation and It's Oxidative Enzyme Systems in Dunaliella tertiolecta.(I) Oxidation of 14C-glucose in Whole Cells and Cell-free Systems)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2호
    • /
    • pp.7-14
    • /
    • 1969
  • Dunaliella tertiolecta did not show any increase in respiration rate when supplied with glucose, glycerol, sucrose, L-alanine, acetate, pyruvate and succinate. This was in contrast to Chlorella pyrenoidosa, which, under identical condition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when supplied with glucose or acetate but not with the other compounds. Production of 14CO2 from added 14C-glucose in D. tertiolecta was lower than the other 14C-labelled substrates: L-alinine, glycerol, succinate, but higher than 14C-sucrose addition. And it was also lower than C. pyrenoidosa experiments which was added 14C-glucose as a substrate. Light reduced amounts of labelled carbon dioxide from 14C-glucose or 14C-acetate and increased incorporation of 14C from the substrates to cell materials in either D. tertiolecta or C. pyrenoidosa. The contribution of 14C from 14C-glucose to 14CO2 in cell-free system of D. tertiolecta were much higher than in whole cell suspension. It was contrast to C. pyrenoidosa which were showed reduction of 14CO2 production in cell-free systems than whole cell suspensions. When cell-free systems of D. tertiolecta and C. pyrenoidosa were supplied with ATP, NAD, NADP or/and hexokinase, it was remarkably increased production of 14CO2 from the substrates than the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the low ability of D. tertiolecta to metabolize glucose were caused by the impermeability of the cell membrane to glucose and were not due to deficiencies of enzyme systems concerning glucose metabolism. In the cell-free systems, it seemed to be more ac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 than glycolytic pathway in D. tertiolecta.

  • PDF

디젤오염토양의 Bench Scale 처리에 있어서 벤팅모드 비교 (Comparison of Venting Modes for Bench Scale Treatment of Diesel Contaminated Soil)

  • 김영암;이용희;이동선;서명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9-505
    • /
    • 2006
  • Bioventing efficiency was compared in a continuous and an intermittent(6hr injection and 6hr rest) air injection mode. Two lab-scale columns which packed with 5 kg of soil artificially contaminated by diesel oil were operated. The columns were maintained at the $25^{\circ}C{\pm}2.5$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exterior temperature variation. The flow rate of air injection mode were maintained constantly at the flow rate of 10 ml/min. The moisture of the columns was stably maintained at $60{\sim}80%$ of field capacity. The nutrient compounds were added to make C:N:P ratio as 100:10:l. The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modes showed 67.56% and 69.63% reduction of initial TPH concentration during 90 days, respectively. Two venting modes showed similar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the hydrocarbon utilizing bacterial counts for operating periods. The carbon dioxide production rate of the continuous injection mode was higher than that of intermittent injection mode. The loss of diesel oil by volatilization in the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modes were about 5% and 1%, respectively. The lower volatilization loss in the intermittent injection mode suggested that the biodegradation of TPH in the intermittent injection mod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mod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mittent injection mode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tinuous venting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