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hydrate Source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Blueberry Cakes with Addition of Mealworm Powder (Tenebrio molitor Lavare) Using sensory evaluation

  • Ma, Chilsuk;Kim, Youngk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225-231
    • /
    • 2021
  • In the search for another appealing source of future food to cover the increasing need for nutrients of a growing global popul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otential of insects as human food. This study assessed some common edible insects, but concentrated on mealworms. Insects, especially mealworms, have a similar or higher nutritional value than many conventional food sourc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mote heal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blueberry cake by Mealworm Powder (Tenebrio molitor Lavar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comparison of Blueberry cake to different levels of mealworm powder.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sample 3 had the highest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texture except flavour. Therefore, mealworm blueberry cake made with 60g of mealworm powder showed the best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components of the Mealworm blueberry cake showed more than two times higher Crude protein and less than half Crude fat compared to control blueberry cake. It is believed that the addition of mealworm powder means that the protein in the cake, a high carbohydrate food, has been strengthened. This is the development of bakery products with both nutritional excellence and symbolism, and it is believed that wheat worm powder is a good food material as a favorite food, not a hateful food, which will improve consumer awareness of edible insects.

고지혈증 개선 및 다이어트를 위한 신선편의형 HMR 제품개발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Hyperlipidemia Improvement and Diet Fresh Convenience HMR Product Development)

  • 이주백;안홍;권순무;김미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9-16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rketability by developing a fresh HMR product for improving hyperlipidemia and dieting for elderly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young people pursuing healthy beauty. The diet menu increased the ratio of fresh vegetables and mushrooms, and chicken breast and cheese were used as protein sources. By using whole grains, the supply of vitamins and minerals was strengthened while minimizing calories. Regarding the recipe, the diet menu was mainly prepared in the form of salads, risotto, and pasta. In the hyperlipidemia improvement menu, the proportion of fresh vegetables was increased, and as protein sources, pork shank, tofu, seafood, etc. with minimal fat were used. As a carbohydrate source, whole grains were mainly used to minimize calories while strengthening the supply of vitamins and minerals. In the recipe, it was prepared in the form of steamed or bibim-myeon, and it was also produced in a form such as paella. As a result, the developed menu was analyzed as low-calorie and evenly comprised of essential nutrients, which can satisfy palatability and nutrition.

황갈색시루뻔버섯(Inonotus mikadoi)의 균사체 배양 최적 조건 및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ptimized Culture Condition of the Mycelia of Inonotus mikadoi.)

  • 최수정;김성준;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0-103
    • /
    • 2004
  • Inonotus mikadoi IMSNU 32058의 최적 균사생장을 위한 배양학적 특성 및 세포효소 활성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장을 위한 최적온도는 $27^{\circ}C$였고, 실험한 pH 범위중pH 4.5에서 최적균사 생장을 나타내었다. 사용된 복합배지 중 malt extract media (MEM)와Phellinus igniarius media (PIM)에서 가장 좋은 균사 생장을 나타내었다. 최소배지로써 Czapek-Dox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으로 단당류, 이당류 및 다항류를 침가하였을 때 xylose, raffinose 및 carboxymethyl cellulose (CMC)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유기질소원이 무기질소원보다 생장을 더 촉진하였다. 유기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soytone, proteose peptone 및 bacto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우수하였다. 무기질소원으로는 ammonium sulfate를 사용했을 때 균사생육이 촉진되었으며, 가장 우수한 비타민원은 p-aminobenzoic acid (PABA)이었다. MEM 액체(pH 4.5) 배지를 이용하여 $27^{\circ}C$에서 5일간 배양하였을 때, I. mikadoi의 균사외 분비효소 및 균사내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균사내 분비 효소중 laccase 의 활성도가 다른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균사외 분비 효소도 균사내 분비효소와 마찬가지로 laccase의 활성도가 다른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protease, chitinase 그리고 lipase의 활성도는 낮거나 없었다.

송이균사(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의 생육에 미치는 탄소원 및 비타민의 영향 (Effect of Carbon sources and Vitamins on Mycelial Growth of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

  • 이창윤;홍운표;정명준;한영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226-232
    • /
    • 1997
  • 경주시 남산으로부터 송이를 채집하여 균사를 분리하였다. 집락 및 균사의 형태, 균사의 독특한 송이향(1-octene-3-ol)을 기준으로 하여 Tricholoma matsutake DGUM 26001이라 명명하였다. T. matsutake DGUM 26001은 사용한 복합액체배지 중 yeast malt extract 및 Czapek-Dox 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사생육을 보여주었으며, nutrient glucose 배지, Macaya-Lizano 배지, 및 Tricholoma matsutake 배지(TMM)에서의 균사생육은 양호하였다. 세균 배양에 사용되는 colombia 배지, brain heart infusion 배지, Luria-Bertani glucose 배지 및 brucella 배지에서의 균사 생육은 매우 저조하였다. TMM 배지에 다양한 탄수화물을 탄소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다당류의 starch, 이당류의 trehalose 및 maltose, 단당류의 sorbitol, xylitol 및 glucose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 Starch를 탄소원으로 하는 TMM 배지에서 30일간 균사를 배양하였을 경우, 8.85 g/L의 건조 균사중량을 얻을 수 있었다.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하는 TMM 액체배지에 coconut water 및 pyridoxine을 비타민으로 첨가하여 30일간 배양 후, 가장 우수한 균사 건조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각각 8.65 및 8.32 g/L의 균사 건조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느타리, 새송이 및 팽이버섯 폐배지의 반추동물 조사료원으로서의 사료 영양적 가치평가 (Evaluation on Feed-Nutritional Value of Spent Mushroom(Pleurotus osteratus,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upes) Substrates as a Roughage Source for Ruminants)

  • 배지선;김영일;정세형;오영균;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37-2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 새송이 및 팽이버섯 폐배지를 버섯 종류별, 배지에 이용된 주원료별로 나누어 반추가축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화학성분, in vitro 소실율 실험 및 in situ darcon bag 실험을 수행하였다. 버섯 폐배지는 고섬유소(NDF 64~78%), 저단백질(CP 7~11%) 조사료원에 속하였다. 주원료별 폐배지는 섬유소 성분이 가장 높은 톱밥 주원료 폐배지와 비교해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NDF 함량이 낮고(P<0.05), NFC와 ash 함량이 높았다(P<0.05). 버섯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은 전반적으로 버섯 종류보다는 주원료 종류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다. In vitro DM, NDF 소실율은 분석된 배양시간(24, 48, 72시간) 모두에서 옥공이, 폐면, 톱밥 주원료 폐배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In situ DM, NDF, ADF 소실율은 배양 24시간에서 옥공이, 폐면, 톱밥 주원료 폐배지 순으로 높았다(P<0.05). 톱밥 주원료 폐배지와 비교해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가소화성 분획(NDF, ADF)이 뚜렷이 높고(P<0.05) 비소화성 분획은 현저히 낮았으며(P<0.05), 그 결과 배양 72시간에서의 in situ DM, NDF 소실율(disappearance)과 예상 반추위 분해율(degradability)도 현저히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톱밥 주원료 폐배지 보다 반추가축 조사료원으로서의 사료영양적 가치가 높아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예쁜꼬마선충의 생육에 관한 장수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 함유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Beta-glucans Extracted from Phellinus baumii on the Growth of Caenorhabditis elegans)

  • 김혜민;이동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4-59
    • /
    • 2012
  • 한국에서 약용버섯으로 주로 재배되는 장수상황버섯은 목질진흙버섯 등 다른 부류의 진흙버섯류에 비해 생리활성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본 연구는 예쁜꼬마선충을 사용하여 장수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 함유 추출물의 기능을 탄수화물이라는 영양소의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예쁜꼬마선충의 먹이인 OP50 대장균이 포함된 배지에 장수상황버섯의 베타글루칸 추출물과 버섯류에서 추출되는 lipopolysaccharide(LPS)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예쁜 꼬마선충의 생장과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베타 글루칸 또는 LPS를 OP50 없이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예쁜꼬마선충은 성장할 수 없음이 나타났다. 반면 두 가지 탄수화물을 1:1 또는 7:3[OP50:베타글루칸 또는 LPS, v/v]으로 예쁜꼬마선충의 배지를 조성할 경우, 예쁜꼬마선충의 생장과 활동성에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혼합 비율이 7:3의 경우, 산자수가 가장 높았고, 1:1의 경우 두번째로 높은 산자수를 나타냈다. 이는 OP50의 단독 처리시보다, 각각 20%이상 높았다. 아울러, OP50에 혼합된 베타글루칸은 예쁜꼬마선충에 있어 지방 축적과 활동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경우 7:3의 비율로 배지에 있어 10-100 ${\mug}g/ml$ 의 범위 내에서 지방축적은 베타글루칸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LPS의 경우는 해당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에 있어 베타글루칸과 LPS는 공히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LPS와 베타글루칸을 OP50의 배지에 혼합하여 예쁜꼬마선충을 배양한 결과 해당 두 가지의 탄수화물은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예쁜꼬마선충의 동선을 비교한 결과 혼합물의 경우, 매우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베타글루칸과 LPS라는 탄수화물은 OP50의 예쁜꼬마선충 배지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탄수화물의 원천 또는 생육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arbon Source의 변화에 의한 대장균의 pts Promoter 전사 조절 기작 (Mechanism of Regulation of the pts Promoter Transcription Initiation by Carbon Sources in Escherichia coli)

  • 김순영;권혁란;신동우;유상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293-297
    • /
    • 1999
  • Escherichia coli의 중요한 sugar 흡수 system인 Phosphoenolpyruvate. carbohydrate phosphotransferase system(PTS)의 주요 구성 enzyme을 만드는 pts operon에는 여러 개의 promoter가 존재하여 어느 환경에서도 적절한 정도의 PTS 활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E. coli pts operon의 P1 promoter transcription이 in vitro와 in vivo에서 차이가 나는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pts promoter activity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pts P0 Promoter의 1kbp upstream에서부터 P0와 P1 promoter까지 transcription vector에 cloning하여 in vitro transcription assay를 한 결과, pts promoter의 upstream DNA가 pts P1 promoter의 in vitro transcription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가지 PTS sugar들을 이용하여 in vivo에서 이들 sugar 들이 pts transcription에 미치는 영향을 cAMP농도 변화와 비교 조사한 바, glucose존재 하에 자랄 때보다 CAMP농도가 높은 mannose나 mannitol 존재 하에 bacteria가 자랄 때 P1b transcription은 증가하나 P0 transcription은 glucose존재 하에 자랄 때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P0에 glucose에 의해 induction되는 repressor가 존재하고, P1 에는 glucose. mannose, mannitol에 의해 공통적으로 induction되는 제 2의 repressor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한국 성인의 총당류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2001년과 200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of Total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 정진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sup권
    • /
    • pp.29-3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nt of energy from total sugar and disease prevalence of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with the context of the current population dietary practic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and 2002 dataset were used as the source of data for this research. Usual nutritional intakes for over 20 years old people were calculated from the two non-consecutive dietary intake data from KNHANES 2001 and 2002 dataset. SAS and SUDAA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Sample weighted means, standard errors, and population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adjustment for covariat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s(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3 ways and compared the LS means and ORs for heath factors. First, subjects excluding pregnant women,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ercent of energy from the usual total sugar intakes as ${\leq}10%$, 11-15%, 16-20%, 21-25%, >25%. Risk of LD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25%' group compared to the '<10%' group. The risks of the other health effec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considering both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AMDR) from carbohydrate and %Energy from total sugar as 'CHO<55% & Total sugar ${\leq}10%$', 'CHO 55-70% & Total sugar 11-25%', and '$CHO{\geq}70%$ & Total sugar ${\geq}25%$'. The risk of obesity tended to increase in the '$CHO{\geq}70%$ & Total sugar ${\geq}25%$' group compared to the 'CHO<55% & Total sugar ${\leq}10%$'. Thir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CHO<55% & Total sugar ${\leq}10%$', 'CHO 55-70% & Total sugar 11-20%', and '$CHO{\geq}70%$ & Total sugar ${\geq}20%$'. The risk of obesity also tended to increase in the '$CHO{\geq}70%$ & Total sugar ${\geq}20%$' group compared to the 'CHO<55% & Total sugar ${\geq}20%$' group. In conclusion, risk of LDL cholestero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over 25% total sugar intake group, and the risk of obesity tended to increase in the 20-25% total sugar intake and high carbohydrate intake group. The risks of hypertension, hyperlipidemia,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were not associated with total sugar intakes. More research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for Korean between the intakes of total sugar, added sugar, glucose, fructose, and sweeteners and diseases prevalences shoud be excuted in the future.

Filter membrane과 feeder세포를 이용한 벼의 원형질체 배양 (The Filter Membrane Culture Procedure with Feeder Cells in Rice Protoplast Culture)

  • LEE, Sung-Ho;SHON, Young Geol;Lee, Soo In;DAVEY Micheal R.;COCKING Edward C.;CHO, Moo Je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95-303
    • /
    • 1997
  • Japonica 벼 품종 Taipei 309 성숙 종자의 배반에서 유도된 캘러스로부터 유기 시킨 세포 현탁 배양체에서 원형질체를 분리하여 filter membrane과 feeder 세포를 이용한 여러가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은 gelling agents, feeder 세포와 원형질체 밀도, feeder 세포의 종류 및 heat shock 처리 등이며 이들이 filter membrane 배양 방법에서 원형질체 평판 효율에 미치는 효과들을 조사하였다. 원형질체 평판 효율은, Lolium multiflorum을 feeder 세포로 사용하고 (10 mL의 원형질체 배양 배지당 0.5 mL pcv) 원형질체를 mL 당 $5\;\times\;10^{5}$개로 하여 Sea Plague agarose 배지에 원형질체를 배양 했을때 최고치를 얻었다. 원형질체에 heat shock 처리를 했을 때 원형질체 평판 효율은 변화가 없었다. carbohydrate source로서 sucrose로서 sucrose 대신에 maltose를 사용했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으며 원형질체로부터 재분화된 이들 식물체들은 임성을 나타내었다.

  • PDF

남녀 초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Glycemic Index, Glycemic Load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ent Intakes,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배윤정;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4-18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ents intakes,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29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108, girls=121)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sisting of an underweight group (obesity index<-10%, n=58), a normal weight group (10%${\leq}$ obesity index<10%, n=130) and an overweight group (obesity index${\geq}$10%, n=41) by their obesity index. The nutrient and food intakes data obtained by a 3-day food record were analyzed. Daily dietary GI and GL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3-day food recor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1.9 years. The mean daily energy intake was 2,186.8 kcal in the underweight group, 2,123.5 kcal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2,174.2 kcal in the overweight group. The intakes of calcium and animal calcium per 1,000 kcal in the overw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groups (p<0.01, p<0.05), and fruit, egg and milk intakes in the overweigh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underweight group (p<0.05, p<0.05, p<0.05). The mean daily dietary GI of the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s were 67.7, 68.4 and 69.5, respectively (p<0.05). The mean daily dietary GL of the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s were 212.8, 208.1 and 213.3, respectively. The major food source of dietary GI and GL in the three groups was rice. Other major food sources of dietary GI were croquettes, hand-rolled noddle soups, instant noddles, milk, and rice cake. Dietary GI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obesity or body mass index, when adjusted for energy, carbohydrate, and dietary fiber. However, GL adjusted to energy, carbohydrate and dietary fiber tended to correlate with obesity index (r=0.126, p=0.059).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GI and GL have possibility affecting obesity-related indicat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