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rin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6초

염소의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음성 조절 인자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Negative Regulatory Element on the Caprine $\beta$ Lactoglobulin Promoter)

  • 김재만;유명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3-441
    • /
    • 1995
  •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유선 조직 특이성은, 비 발현 세포에서 -470 에서 -205 부위에 의해서 매개되는 억제 조절에 의해서 보증된다. 이 음성 조절 기작과 억제 조절을 매개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류 염기 서열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상류 염기 서열은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든 연결된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규명된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잠정적 음성 조절 인자는 다른 유전자의 프로모터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활성을 보였는데, herpes simplex 바이러스의 thimidine kinase 프로모터는 상류 염기서열의 방향에 따라 억제 또는 활성화되었으며, SV40 프로모터는 억제되기보다는 오히려 활성화되었다.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억제 조절 인자를 포함하는 조절 부위는 비 유선 세포인 HeLa 및 CV-1 세포에서 추출된 핵 추출물에 의해서 이동성이 강력하게 지연되는 반면, 유선세포인 HC11 세포의 핵 추출물에 의해서는 약하게 지연되었다. 이와 같은 활성 억제와 인자 결합간의 연관성은 foot-printing 분석에서 관찰된 결합 부위가 염소의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조직특이적 억제에 작용할 음성 조절 인자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휘발성 Branched-Chain과 n-Chain Fatty Acids가 육고기의 종을 결정하는 향기 성분으로서의 역할 (Role for Volatile Branched-Chain and Other Fatty Acids in Species-Related Red Meat Flavors)

  • Jeong-Ok Kim;Yeong L. Ha;Robert. C. Lindsay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0-306
    • /
    • 1993
  • 2-Methylbutanoic, 3-methylbutanoic, 4-methylpentanoic, 2-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4-methyloctanoic, 6-methyloctanoic, 4-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및 2-ethylhexanoic acids를 포함하는 다수의 volatile branched-chain fatty acids(VBCFAs)가 쇠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미국산 흰염소고기, 한국산 흑염소고기), 양고기로부터 분리, 동정되었다. 쇠고기 향은 amino acid, carbohydrate, 그리고 lipid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향기성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본 meaty flavor로 결정되어 지는 반면, 염소고기가 양고기의 경우는 쇠고기의 기본향에 4-ethyloctanoic acid와 4-methyloctanoic acid의 독특한 노린내가 더해지므로 염소고기나 양고기 특유의 향을 내었다. 돼지고기는 3-methylbutanoic acid 함량이 다른 세종류에 비해 높고 3-methylbutanoic acid 특유의 꼬린냄새는 돼지고기의 기름층으로부터 나는 unclean flavor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고기는 C5-C7 chain length의 volatile branched 및 n-chain fatty acids를 적게 함유하고 있는 반면 4-ethyloctanoc acid는 염소고기의 노린내를 내는 결정적인 화합물이었다. 4-Methyloctanoic acid는 양고기의 sweaty-muttony flavor를 내는 중요한 화합물이었으며 염소고기와는 달리 C5, C6, 그리고 C7 branched-chain fatty acids 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한국산 흑염소고기와 미국산 흰염소고기 중에 들어있는 VBCFAs의 종류는 같으나, 한국산 흑염소고기가 미국산 흰염소고기 보다 노린내가 강하며 4-ethyloctanoic 의 함량도 높았다.

  • PDF

Identification of Retinol-binding Protein Produced by Caprine Endometrium during Periattachment Period of Early Pregnancy

  • Liu, K.H.;Huang, J.C.;Lin,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708-1713
    • /
    • 2002
  • Endometrial explants obtained from does between days 13 and 21 of pregnancy were cultured in a modified minimum essential medium in the presence of [$^35S$]methionine and [$^3H$]-leucine. Proteins synthesized and secreted into medium were analyzed by fluorography of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fluorography. No marked qualitative changes in patterns of protein production by caprine endometrium between days 13-21 of pregnancy. At least 11 proteins showed consistently a clear spot or a grouping of spots with characteristic location on two-dimensional gels. A major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consisted of two major isoforms (pI 5.3-6.0) of similar molecular mass (21 kDa). Limited N-terminal sequence analysis of these two isoforms showed that the protein had complete homology with bovine placental and plasma retinol-binding protein (RBP) over the first 20 amino acids. Through use of the antiserum raised against bovine placental RBP, immunoreactive RBP was detected in cultures conditioned by uterine explants prepared at days 13, 15 and 21 of pregnancy. In the present study, proteins synthesized and secreted by caprine endometrium during periattachment period of early pregnancy were characterized. The pregnant endometrium secreted a number of neutral-to-acidic proteins which constituted, in part, the histotroph. A vitamin A-transport protein, RBP, was identified in cultures conditioned by endometrium of days 13-21 of pregnancy. The uterine endometrium is the only source of retinol for embryonic tissues. The uterine RBP appears to transport retinol locally toward embryonic tissues. Secretion of RBP by caprine endometrium of days 13, 15 and 21 of pregnancy suggested that retino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ceptus development during periattachment period of early pregnancy.

Changing Patterns of Acute Phase Proteins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Experimental Caprine Coccidiosis

  • Hashemnia, Mohammad;Khodakaram-Tafti, Azizollah;Razavi, Seyed Mostafa;Nazifi, Saeed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213-219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ing patterns and relative values of acute phase proteins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experimental caprine coccidiosis. Eighteen newborn kids were allocated to 3 equal groups. Two groups, A and B, were inoculated with a single dose of $1{\times}10^3$ and$1{\times}10^5$sporulated oocysts of Eimeria arloingi, respectively. The third group, C, received distilled water as the contro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of each kid in both groups before inoculation and at days 7, 14, 21, 28, 35, and 42 post-inoculation (PI), and the levels of haptoglobin (Hp), serum amyloid A (SAA), TNF-${\alpha}$, and IFN-${\gamma}$ were measured. F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2 kids were selected from each group, euthanized, and necropsied on day 42 PI. Mean Hp concentrations in groups A and B (0.34 and 0.68 g/L) at day 7 PI were 3.2 and 6.3 times higher than the levels before inoculation. The mean SAA concentrations in groups A and B (25.6 and 83.5 ${\mu}g$/ml) at day 7 PI were 4.2 and 13.7 times higher than the levels before inoculation. The magnitude and duration of the Hp and SAA responses correlated well with the inoculation doses and the severity of the clinical signs and diarrhea in kids.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histopathological features, which showed advanced widespread lesions in group B. In both group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for TNF-${\alpha}$ and IFN-${\gamma}$ with SAA and Hp, respectively. In conclusion, Hp and SAA can be useful non-specific diagnostic indicators in caprine coccidiosis.

Activation of the Caprine ${\beta}$-Lactoglobulin Gene Promoter by Lactogenic Hormones in Cultured Mammary HC11 Cells

  • 김재민;유명희;김경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603-608
    • /
    • 1997
  • Analysis of the 5'-regulatory sequence of the caprine ${\beta}$-lactoglobulin (BLG) gene promoter revealed that two different types of activation were mediated by discrete regions, from -740 to -470 and from -205 to 109, in cultured mammary HC11 cells. Activation mediated by the proximal region was observed regardless of cell growth status. Distal activation, however, was observed only after confluent growth of the cells and was enhanced by the lactogenic hormones. This activation was accompanied by appearance of binding activity of proteins to these regions in the mammary HC11 cells. The binding motifs were broadly distributed over the upstream regulatory sequence. Comparison of the binding regions and mutation analysis suggest that a binding motif homologous to the ${\gamma}$-interferon responsive element (${\gamma}$-IRE) is responsible f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by hormonal induction in the mammary HC11 cells. The multiple ${\gamma}$-IRE homologous motifs seem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mammary cell-specific activation of the caprine BLG gene.

  • PDF

Bovine과 Caprine유(乳)로부터 Glycomacropeptide 분리: 트립신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억제 효과 (Separation of Glycomacropeptide from Bovine and Caprine Milk: Effect of Its Tryptic Hydrolysate on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 김상범;류진수;기광석;이왕식;이현준;양승학;김현섭;최충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25-33
    • /
    • 2009
  •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pm}2.36$, $37.98{\pm}1.27$$31.19{\pm}1.87{\mu}g/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수핵난자와 전기적 융합조건이 산양의 이종간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ipient Oocytes and Electric Stimulation Condition on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after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with Caprine Somatic Cell)

  • 이명열;박희성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21-27
    • /
    • 2004
  • 본 연구는 이종간 핵이식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핵이식 수정란의 융합과 활성화 과정에 있어서 수핵난자 및 전기적 융합조건이 핵이식 수정란의 융합 및 체외 발달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축되어지는 소 및 돼지의 난소에서 난포란을 채취하여 TCM-199 및 NCSU-23에 혈청 및 호르몬을 첨가하여 39$^{\circ}C$, 5% CO$_2$ 배양기내에서 24 및 48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여 수핵난자를 준비하고, 공여세포의 준비는 산양의 귀세포를 채취하여 0.25% Trypsin-EDTA의 처리로 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계대배양과 함께 세포는 TCM-199 + 10% FBS + 10% DMSO로 동결을 실시하였다. 핵이식은 성숙된 난자의 극체 및 전핵을 laser system으로 투명대를 drilling 하여 제거하고 준비된 공여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주입하여 전기적 자극으로 융합을 실시하여 융합된 난자는 전기적 자극으로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활성화가 이루어진 복제 수정란은 수핵란이 소난자의 경우 monolayer가 형성된 10% 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에서 7∼9일 동안 체외배양하였으며, 수핵란이 돼지의 경우 10% FBS가 첨가된 NCSU-3 배양액으로 6∼8일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여 배반포기로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자극의 세기를 1.95 kv/cm와 2.10 kv/cm로 주었을 때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47.7및 44.6%였으며, 분할율도 41.9 및 54.5%로써 차이가 없었다. 수핵란이 돼지 난자인 경우는 융합율은 51.3 및 46.1%로써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율도 75.0및 84.9%로써 차이가 없었다. 전기자극 시간을 30 또는 60${\mu}$sec, 횟수는 1 또는 2회 주었을 때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30 ${\mu}$sec 1회(50.8%) 와 2회(31.0%)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mu}$sec 1회(19.3%)가 가장 낮았다(P<0.05). 융합란의 분할율은 30${\mu}$sec 1회(53.3%)와 2회(50.0%)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mu}$sec 1회(18.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돼지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30${\mu}$sec 1회(48.1%), 2회(45.2%)및 60${\mu}$sec 1회(48.6%)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율은 30${\mu}$sec 1회(78.4%)와 60${\mu}$sec 1회 (79.4%)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0${\mu}$sec 2회(53.6%)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종간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에 있어서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상실배와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이 22.6%로써 단위발생란 30.6%와 차이가 없었으며, 돼지 난자의 경우는 이종간 핵이식란이 5.1%로써 단위발생란 37.4%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이종간 핵이식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하여 수핵란으로 소와 돼지를 사용하여 복제수정란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종간 핵이식에 있어서 수핵란, 공여세포, 융합, 활성화 및 배양조건 등 아직 초보 수준에 있으며,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 멸종위기 상태에 있는 동물들의 종 보존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servative neural symmetry of the caprine mandible

  • Pares-Casanova, Pere M.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07-210
    • /
    • 2013
  • Fifteen dry dentate and complete mandible samples from the White Rasquera goat breed were studied for symmetry. Thirty-one landmarks were digitally located on the images of the lateral and medial aspects of each hemimandible. Distances between these landmarks allowed the evaluation of the whole hemimandible and also the neural mandible. In the studied samples, the mandible was rather symmetrical, especially in the medial neural part, and in general, there was no side dominance. Only the diastema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sides, and this was related to the rostral part (incisive arch). The incisive region was the least symmetrical region of the caprine mandible, indicating a modular structure more conservative for the neural part. If unsigned asymmetry is interpreted as a measure of developmental stability, then the studied breed presented a marked ability to develop in good fitness despite the harsh environment. The measurements presented here can also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searchers designing experimental studies, especially on mandibular catch-up growth, and as an aid for zooarchaeologists comparing results from dead animals with those from living goat populations.

염소의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의 호르몬에 의한 조절 (Hormonal Regulation of the Caprine $\beta$-Lactoglobulin Gene Promoter Activity)

  • 김재만;김경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26-432
    • /
    • 1995
  • 유선 조직에서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의 발현은 프롤락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인슐린등의 유촉진 호르몬들에 의해서 강력하게 유도된다. 이와 같은 호르몬 유도의 조절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양 유선 세포인 HC11 세포에서 염소 베타-락토글로불린 유전자 프로모터의 유촉진 호르몬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베타-락토글로불린 프로모터의 5'- 조절 부위를 연쇄적으로 제거한 발현 실험에서 호르몬 유도를 크게 변화 시키는 두 지역이 관찰되었다. 조절 부위의 -1692의 상류지역은 하류 프로모터를 강력하게 활성화 시키는 부위로, 주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체인 덱사메타손의 작용을 매개하였다. 그러나 두번째 지역의 유도 작용은 인슐린 처리를 병행하지 않을 경우 상류 조절부위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선세포에서 유촉진 호르몬들에 의한 베타-락토글로불린 프로모터 활성 유도가 인슐린에 의한 탈 억제화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프롤락틴에 의한 활성화의 복합 조절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두번째 지역에 의한 덱사메타손 유도는 -700 부근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부위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전남지역의 유산양 관절염.뇌염 감염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carprine arthritis-encephalitis from dairy goat in Jeonnam province)

  • 임종수;김희정;오현이;이태욱;박석준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3-281
    • /
    • 2008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ection of caprine arthritis encephalitis virus (CAEV). From April to October 2007, we examined a total of 173 goats in 7 dairy goat-breeding farms located in Na-ju, Hae-nam, Young-am, and Young-gwang area of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show that 41 (23.7%) goats are positive for CAEV, confirmed by nested PCR of 173 blood samples. Regional analysis revealed that a positive proportion for CAEV was 50.0% in Young-gwang, 25.6% in Young-am, 25.0% in Hae-nam, and 10.9% in Na-ju.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in 17 (9.8%) goats, of which 6 suffered from arthritis, 7 from mastitis, and 4 from pneumonia. Among the examined 173 goats, 8(4.6%) goats are positive for CAEV accompanied with CAE symptoms. There was a tendency to be much higher(p<0.05) levels of natrium(Na), chlorine(Cl) in CAEV-positive than in CAEV-negative goats. However, other serum biochemical valu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