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thocamptida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담수산 딱정장수노벌레과 갈고리노벌레류의 분류 II. 털보딱정 장수노벌레 (Attheyella)속 (Taxonomy on Freshwater Canthocamptid Harpacticoids from Korea II. Genus Attheyella)

  • Cheon Young Chang;Ji Min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189-201
    • /
    • 2003
  • 한국 담수산 딱정장수노벌레과(Canthocamptidae)의 요각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털보딱정장수노벌레속에 속하는 7종을 보고한다. 이중에는 3 한국미기록종, 안가시털보딱정장수노벌레 (A. crassa), 돌출털보딱정장수노벌레 (A. nakaii) 및 동방털보딱정장수노벌레 (A. orientalis)가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기록된 털보딱정장수노벌레속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국 담수산 딱정장수노벌레과 갈고리노벌레류의 분류 III. 큰뿔장수노벌레속 (Mesochra)과 사슴노벌레속 (Elaphoidella) (Taxonomy on Freshwater Canthocamptid Harpacticoids from Korea III. Genera Mesochra and Elaphoidella)

  • 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03-216
    • /
    • 2003
  • 한국 담수산 딱정장수노벌레과(Canthocamptidae)의 요각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큰뿔장수노벌레속 2종(Mesochra alaskana, M. suifunensis) 과 사슴노벌레속 3종(Elaphoidella grandidieri, E. bidens, E. superpedalis)을 보고한다. 이들은 모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기록된 큰뿔장수노벌레속과 사슴노벌레속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샘에서 채집한 Attheyella 속의 하르팍티쿠스류 2신종 (Two New Species of Genus Attheyella (Harpacticoida, Canthocamptidae) from Springs of Korea)

  • 장천영;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67-76
    • /
    • 1992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소재 함박산과 제주도 한라산의 샘에서 채집한 하르팍티쿠스류 2종이 Attheyella 속에 속하는 신종으로 밝혀서 각각 A. paucisetosa와 A. byblis로 명명하여 기재한다.

  • PDF

Taxonomy on Freshwater Canthocamptid Harpacticoids from South Korea V. Genus Bryocamptus

  • 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2호
    • /
    • pp.195-208
    • /
    • 2006
  • Five freshwater harpacticoid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are identified as one of the serial taxonomic studies on the family Canthocamptidae in South Korea: B, zschokkei caucasicus (Borutzky, 1930), B. nivalis (Willey, 1925), B, pacificus Ishida, 1992, B. vejdovskyi (Mrazek, 1893) and B. umiatensis Wilson, 1958. Bryocamptus pacificus, B. vedjovskyi and B. umiatensis are newly known from Korea. A key to the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in Korea is provided.

A New Species of Cletocamptus Copepoda (Harpacticoida, Canthocamptidae) from Salt Marshes in Korea

  • 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3호
    • /
    • pp.227-237
    • /
    • 2013
  • A new copepod species, Cletocamptus koreanus, is described from estuaries and salt marshes on south and southwest coasts in Korea. Cletocamptus koreanus n. sp. evidently belongs to C. deitersi species group in sharing 6-segmented antennule, 3 setae on antennary exopod, leg 1 with endopod shorter than exopod, and 2+1 inner setae on the third exopodal segments of legs 3-4. However, C. koreanus is distinguished from its allied congeneric species by different setal armatures of mandibular palp, antennary exopod, endopod of female leg 2 and the third exopodal segments of legs 3-4, and relative length and shape of apophysis of male leg 3 enp 2. Description and taxonomic accounts of the new species are presented herein, with detailed illustration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micrographs. Discussion on the affinities with other species of C. deitersi group are provided, along with brief comments on the morphological discrepancies between the new species from Korea and other Asian species from China and India.

A New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Copepoda, Harpacticoida, Canthocamptidae) from Alpine Wetlands at Jeju Island, Korea

  • Lee, Jimin;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3호
    • /
    • pp.219-229
    • /
    • 2016
  • Material of a Bryocamptus species, formerly reported as B. umiatensis Wilson, 1958 from Sakhalin and South Korea, is here recognized as a distinct new species. Specimens of both sexes were recently obtained from an alpine wetland, Sumeunmulbaengdui, located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and newly registered as a Ramsar Wetland in 2015. The new species, B. jejuensis n. sp., differs from the type population of B. umiatensis from Alaska by the smooth margin of the anal operculum in both sexes, the peculiarly modified terminal seta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 of the male leg 3, the sword-like spinous seta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 of the male leg 4, and the presence of a setule row on the inner distal margin of the caudal rami in the female. Both sexes of the new specie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male characters. A revised key to the seven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Chappuis, 1929 occurring in Korean waters is provided.

중국의 모식산지에서 채집한 갈고리노벌레류 Canthocamptus mirabilis Sterba의 재기재 (Redescription of Canthocamptus mirabilis Sterba (Copepoda, Harpacticoida), Based on the Topotypic Material from Chin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01
  • 동아시아의 계류와 하천에 우점적으로 서식하는 딱정장수노벌레속 Canthocamptus (요각아강, 갈고리노벌레목)의 mirabilis 종군은 Attheyella속과의 중간 형질을 나타내는 특이한 분류군으로서, 이소적 또는 측소적으로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종분화한 것으로 최근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표종이라 할 수 있는 C. mirabilis Sterba가 매우 불완전하게, 그것도 암컷만으로 기재되었고 모식이 남아있지 않아서 이 종군의 분류에 많은 지장과 혼란이 있어 왔다. 저자는 중국 북경 근교의 모식산지에서 새롭게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재기재를 하였고, 이를 통해 앞서 일본산 표본을 근거로 하여 작성되었던 과거의 재기재와의 차이점을 열거함으로써 일본산 표본들은 별개의 종임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종군에 속하는 여하 종과의 형태적 차이와 유연관계에 대하여서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 PDF

딱정 장수노벌레속(갈고리노벌레목, 딱정장수노벌레과) mirabilis 종군에 속하는 1신종 1기록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n Canthocamptus semicirculus and C. coreensis n. sp.(Harpacticoida, Canthocarnptidae), with a Key to the C. mirabilis Species Group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233-244
    • /
    • 2002
  • 딱정장수노벌레 (Canthocamptus)속의 mirabilis 종군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극동아시아의 남부에 널리 분포하는 반달딱정장수노벌레 (C. semicircuius Kikuchi)와 남한의 중서부 지역의 구릉지대 계류에 분포하는 1신종. 고려딱정장수노벌레 (C. coreensis)를 보고한다 반달딱정장수노벌레의 한국산 표본에서는 암컷의 바깥꼬리털과 수컷의 제3다리 외지의 돌기형 가시와 같은 중요 형질에서 변이가 흔하게 나타났기에 종내변이에 대해 특기하였다. 고려딱정장수노벌레는 암컷에서 수컷모사변이형의 꼬리마디가 나타나지 않고 항문판의 투명막이 둥근모양을 유지한다는 점 등의 조상형 형질을 유지하는 반면. 수컷 제3다리 외지 제2마디의 바깥가시와 수컷 제4다리 외지 끝마디 바깥강모가 심하게 변형되는 등의 파생형질을 소유한다. 현재까지 기록된 5종의 한국산 딱정장수노벌레속 mirabilis 종군에 대한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