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opy Volum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Research on the Variable Rate Spraying System Based on Canopy Volume Measurement

  • Hu, Kaiqun;Feng, X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5호
    • /
    • pp.1131-1140
    • /
    • 2019
  • Characteristics of fruit tree canopies are important target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pesticide application rate in variable rate spraying in orchards. Therefore, the target detection of the canopy characteristics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 canopy volume measurement method for peach trees was presented and a variable rate spraying system based on canopy volume measurement was developed using the ultrasonic sensing, one of the most effective target detection method. Ten ultrasonic sensors and two flow control units were mounted on the orchard air-assisted sprayer. The ultrasonic sensors were used to detect the canopy diameters and the flow controls were used to modify the flow rate of the nozzles in real time. Two treatments were established: a constant application rate of $300Lha^{-1}$ was set as the control treatment for the comparison with the variable rate application at a $0.095Lm^{-3}$ canopy. The tracer deposition at different parts of peach trees and the tracer losses to the ground (between rows and within rows) were analyzed in detail under constant rate and variable rate appl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treatments in the liquid distribution and the capability to reach the inner parts of the crop canopies.

도시 캐노피 층 기온과 상대습도의 일변화에 관한 수치 모의 (Numerical Simulations of Diurnal Variation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Urban Canopy Layer)

  • 박경주;한범순;진한결
    • 대기
    • /
    • 제31권3호
    • /
    • pp.295-309
    • /
    • 2021
  • Diurnal variation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Urban Canopy Layer (UCL)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examined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coupled with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Urban Canopy Model. The canopy layer air temperature is higher than 2-m air temperature and exhibits a more rapid rise and an earlier peak in the daytime. These result from the multiple reflections of shortwave radiation and longwave radiation trapping due to the urban geometry. Because of the absence of vegetation in the UCL and the higher canopy layer air temperature, the canopy layer relative humidity is lower than 2-m relative humidity. Additional simulations with building height changes are conducted to examine the sensitivities of the canopy layer meteorological variables to the urban canyon aspect ratio. As the aspect ratio increases, net sensible heat flux entering the UCL increases (decreases) in the daytime (nighttime). However, the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UCL reduces the magnitude of change rate of the canopy layer air temperature. As a result, the canopy layer air temperature generally decreases in the daytime and increases in the nighttime as the aspect ratio increases. The changes in the canopy layer relative humidity due to the aspect ratio change are largely determined by the canopy layer air temperature. As the aspect ratio increases, the canopy layer relative humidity is generally increased in the daytime and decreased in the nighttime, contrary to the canopy layer air temperature.

지리산국립공원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Relation to Altitude and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 이도한;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71-480
    • /
    • 2008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고도와 식생에 따라 4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번식기 조류군집과 서식지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 종수는 총 32종으로 각 조사구별 관찰 종수 및 밀도는 고도가 낮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27종, 37.31마리/ha, 고도가 낮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23종, 34.99마리/ha, 고도가 높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18종, 23.95마리/ha, 고도가 높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19종, 20.21마리/ha이었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11종(멧비둘기, 검은등뻐꾸기, 직박구리,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산솔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박새, 동박새)이었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4종(들꿩, 매사촌, 두견이, 흰배멧새)이었다. 조류 종수와 밀도는 고도가 낮은 지역과 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소길드는 고도가 낮은 지역은 3가지 유형의 종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은 수관층 영소길드의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채이길드는 모든 조사구에서 수관층 채이길드의 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별 밀도의 조사구별 차이분석에서 식생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낸 종은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4종으로 그 중 오목눈이와 박새는 수관층의 피도량의 차이, 진박새는 침엽수서식지 선택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5종은 관목층 수목의 밀생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도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내는 종은 10종으로 벙어리뻐꾸기, 굴뚝새, 쇠유리새, 쇠솔새, 진박새, 노랑턱멧새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흰배지빠귀, 오목눈이, 곤줄박이, 동고비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 번식조류군집 분포는 관목층의 밀생과 수관층의 총피도량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관목층의 피도량과 수관층의 엽층다양성 및 총피도량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변량제어 스프레이어 (Ultrasonic Sensor Controlled Sprayer for Variable Rate Liner Applications)

  • 전홍영;주허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1호
    • /
    • pp.15-22
    • /
    • 2011
  • An experimental variable rate nursery sprayer was developed to adjust application rates for canopy volume in real time. The sprayer consisted of two vertical booms integrated with ultrasonic sensors, and variable rate nozzles coupled with pulse width modulation (PMW) based solenoid valves. A custom-designed microcontroller instructed the sensors to detect canopy size and occurrence and then controlled nozzles to achieve variable application rates. A spray delivery system, which consisted of diaphragm pump, pressure regulator and 4-cycle gasoline engine, offered the spray discharge function. Spray delay time, time adjustment in spray trigger for the leading distance of the sensor, was measured with a high-speed camera, and it was from 50 to 140 ms earlier than the desired time (398 ms) at 3.2 km/h under indoor conditions. Consequently, the sprayer triggered 4.5 to 12.5 cm prior to detected targets. Duty cycles of the sprayer were from 20 to 34 ms for senor-to-canopy (STC) distance from 0.30 to 0.76 m. Outdoor test confirmed that the nozzles were triggered from 290 to 380 ms after detecting tree canopy at 3.2 km/h. The spray rate of the new sprayer was 58.4 to 85.2% of the constant application rate (935 L/ha). Spray coverage was collected at four areas of evergreen canopy by water sensitive papers (WSP), and ranged from 1.9 to 41.1% and 1.8 to 34.7% for variable and constant rate applications, respectively. One WSP area had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in mean spray coverage between two application conditions.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 정희은;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교목 1열+관목이었으며,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 간 분석에서 소나무 $1.35^{\circ}C$, 느티나무 $1.84^{\circ}C$, 은행나무 $2.00^{\circ}C$, 양버즘나무 $2.57^{\circ}C$이었다. 규격이 크고 수관폭이 넓은 수종은 가로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기온 저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로수 식재유형과 기온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교목 1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1.80^{\circ}C$, 교목 2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2.15^{\circ}C$로 교목 열수 증가에 따라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녹지 구조별 기온 저감 효과 분석결과는 교목 유형 $1.94^{\circ}C$, 교목+관목 유형 $2.49^{\circ}C$, 교목+아교목+관목 유형 $2.57^{\circ}C$이었으며, 기온저감은 단층구조보다 다층구조에서 효과적이었다. 녹량(녹지용적량)과 기온저감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녹량이 많을수록 기온저감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관용적이 크고 교목층의 열수가 많으며, 다층구조인 식재형태는 가로 내 녹량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도폭 3m 이하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작은 낙엽활엽수와 최대 1m의 띠녹지 조성을 통한 교목+관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보도폭 3m 이상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큰 낙엽활엽수 다열 식재 및 1m 이상의 띠녹지 조성, 교목과 관목뿐만 아니라, 아교목 성상의 수목 식재를 통한 다층구조 녹지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ROPICAL TREE MORPHOLOGY USING AIRBORNE LIDAR DATA

  • JANG, Jae-Dong;Yoon, Hong-J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76-679
    • /
    • 2006
  • Mangrove crowns were delineated using active sensor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by a crown delineat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LIDAR data were acquired from airborne survey by a helicopter for the estuary of Macouria in the northeast coast of French Guiana. The canopy height image was derived from LIDAR vector data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nd and non-ground data. The mangrove site in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to three sectors by the time of mangrove settlement; Mangrove 1986, 2002 and 2003. The estimated crown of Mangrove 1986 was reliable defined for their size, number and volume because of larger crown size and bigger variation of crown height. The tree crown size of Mangrove 2002 and 2003 by the model was overestimated and the number of trees was much underestimated. The estimated crown was not for single crown but a crown group due to homogenous crown height and spatial resolution of LIDAR data. However the canopy height image derived from LIDAR data provide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mangroves.

  • PDF

목초 단, 혼파군락에서의 초형구조와 광이용성 및 건물수량생산성 (Canopy Structure and Light Interception as Related to Forage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in Pure and Mixture Stands.)

  • 이호진;윤진일;이광회;임근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2-279
    • /
    • 1983
  • 초지군락에서 광이용과 건물생산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차드그라스, 라디노클로버의 각 단파초지와 오차드-라디노혼파초지, 화본료ㆍ두료의 다혼파초지에 동일한 예취관리를 하고 재생기 1-2주 간격으로 초지구조와 백사광의 투과, 초지의 생장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초지는 예취후 6주경에 최대의 초형을 이루었고, 오차드그라스 단파구는 직립형, 라디노클로버는 역삼각형, 오차드-라디노혼파구는 중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다혼라구는 초고가 높고 상하에 고른 엽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봄 재생기동안 엽면적지수(LAI)는 다혼파구에서 높았으나 엽면적밀도(L$_{v}$ )는 라디노클로버가 다혼파구보다 더 높아 엽의 밀집화가 심하였고, 가을재생기에는 LAI가 오차드그라스 단파구와 오차드-라디노혼파구에서 높았고, L$_{v}$ 역시 이들 구에서 높았다. 3) 각 초지의 광소멸계수는 오차드그라스단파구가 0.29-0.43으로 라디노클로버단파는 0.70-0.74, 그리고 오차드-라디노혼파구 및 다혼파구는 0.43-0.58을 나타내어 각각 직립엽형, 수평엽형 및 중간엽형으로 특징 지울 수 있었다. 4) 건물수량은 LAI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고, 한계 LAI는 오차드그라스단파구가 가장 높았고, 라디노클로버단파구가 가장 낮았다. 한편, 적정 LAI는 오차드그라스단파구는 6이상, 라디노클로버 단파구는 3.8, 오차드-라디노혼파구는 5.0, 그리고 다혼파구는 8.0정도이었다. 5) 각 초지의 생장속도는 오차드그라스는 가을재생기에 높았으며, 다혼파구는 가을보다 봄에 현저히 높았으나 라디노클로버는 계절간 차이가 없었다. 6) 다혼파구 및 오차드-라디노혼파구가 초형구조가 양호하였고, 광이용이 향상되었다.

  • PDF

The Effect of Building Morphology on Sea Breeze Penetration over the Kanto Plain - Analysis of Mean Kinetic Energy Balance of Moving Control Volume along Sea Breeze -

  • Sato, Taiki;Ooka, Ryozo;Murakami, Shuzo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73-80
    • /
    • 2012
  • In order to use sea breezes to counter the heat island phenomena, i.e. to promote urban ventil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ffect of building morphology and height on large-scale wind fields. In this study, the sea breeze in the vicinity of the Kanto Plain in Japan is simulated using a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incorporating an urban canopy model, and the inland penetration of sea breezes is accurately reproduced. Additionally, a mean kinetic energy balance within a domain (Control Volume; CV) moving along the sea breeze is analysed. From the results, it is clarified that the sea breeze is interrupted by the resistance and turbulence caused by buildings at the centre of Tokyo. The interruption effect i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se buildings. On the other hand, adverse pressure gradients interrupt in the internal region.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의 allometry와 임관동태 연구 (Allometry and Canopy Dynamics of Pinus rigida,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serrata Stands in Yangpyeong Area)

  • 김종성;손요환;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86-197
    • /
    • 1995
  • 경기도 양평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 임분의 지상 부위 생체량과 엽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변재단면적, 변재부피 등의 변수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조제하였다. 지상 부위 생체량과 엽면적은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변재단면적, 변재부피 등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비슷한 직경급에서 3수종 모두 유사한 수간목부 생체량을 보였다. 그러나 수피, 잎, 가지와 지상 부위 총생체량과, 단위건중량당 엽면적 그리고 엽면적 변재단면적의 비에 있어 수종 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생체량과 엽면적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대상 수중의 잎의 습성과 수병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구명하치 위해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