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on of Classific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체계 응용 방안 (The Application way on Semiotic Structure of Knowledge Classification)

  • 윤정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73-292
    • /
    • 2012
  • 본 연구는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구조가 고전이나 정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이러한 영향의 흐름이 기호학적 체계의 구조적 측면에서 연유한다는 것을 통하여 인터넷 등 전자매체와 금서의 동일성을 사회 문화적 구조주의 시각에서 논의한다. 또한 기호적 해석이 가능한 구조주의 이론 틀을 빌어 대중매체를 포함한 영상 매체 등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호 체계의 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 지리구분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Geographic Area Classification System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54
    • /
    • 2004
  • 본 논문은 국내 대부분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지리구분 분류체계의 지역범주의 포괄성과 나열에서 변방 우선의 원칙을 이해하기 위해 외국의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국내 공공기관의 지역범주를 조사 및 분석하여 한국 지리구분 분류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도서관 분류 체계의 지역범주의 단위와 나열순서를 분석하고, 생활권 개념의 공공기관의 지역범주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서관 분류체계에서 지역범주의 단위와 나열순서는 다양하였으며, 공공기관의 지역범주의 단위 역시 다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은 지역범주의 단위는 전국을 3단계의 계층구조가 가능하도록 최소 지역범주를 시, 군 2개를 합한 단위가 적합하며, 나열순서는 지역법주 내의 중심지역에서 시작하여 외부지역으로 순환하는 형태이다.

  • PDF

분류체계 인용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Citation Order of Classification Scheme and Its' Application)

  • 김성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1-118
    • /
    • 2016
  • 문헌분류체계에서 복합주제의 전개를 위해서는 복수의 구분기준 혹은 특성(characteristics)을 적용해야 한다. 복합주제의 세분전개를 위해 채택된 복수의 특성들은 세분의 매 단계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전개된다. 복합주제를 세분 전개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구분기준을 적용하는 순서를 인용순(citation order)이라 한다. 주제를 세분하는 과정에 적용되는 구분기준의 전개순서인 인용순이 구체적이고 일관성을 가져야 문헌분류체계의 일관성과 논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열거식 분류체계의 경우에는 복합주제의 표현을 위한 인용순의 결정이 분류체계의 구성과 체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용순 및 그 적용과 관련된 분류이론상의 기본 원칙들은 실제 분류체계 구축과정에서 실용적인 이유로 완벽히 적용되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분류체계의 구축과정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용순 관련 분류이론과 선행연구를 개괄해보고, 인용순 실제 적용상의 제반 사항을 고찰하였다.

증산계 『현무경』 연구 (A Study on the Hyun-Mu Sutra(玄武經) of Jeungsan)

  • 구중회
    • 대순사상논총
    • /
    • 제25_1집
    • /
    • pp.25-85
    • /
    • 2015
  • In this study, source criticism (an establishment of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玄武經) among different editions is studied and an attempt of a new interpretation appropriate to that is attempted. The Hyun-Mu Sutra, a scripture written in 1909, began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 religions of Jeungsanism. In particular, it was remarkable that The Hyun-Mu Sutra was absorbed as canon textbooks Jeonkyung(典經), the Scriptures of Daesoonjinrihoe, The Fellowship of Daesoon Truth(大巡眞理) from a loner and secret pull-out of heritage traditions. However, this scripture though written in 1909 and more than 100 years has passed, remained in a state unestablished authentic text. The Hyun-Mu Sutra is the scripture consisted of 25 pages by the religions of Jeungsanism[Gang Il-sun 姜一淳(1871~1909)]. 33 page type of Hyun-Mu Sutra has been distributed in the world until now the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 However,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diagnostic scripture(病勢文) was found to have been added by descendants. After a review of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 it concluded that there is no diagnostic scripture in primary The Hyun-Mu Sutra. Though The Hyun-Mu Sutra is a booklet of a small amount, the notation and expression is so unique, it has been in secrecy to read its contents. Interpretation way of The Hyun-Mu Sutra up to now can be summarized in two as follows. 1) approaches by I-ching 2) approaches by ten celestrial stemps and twelve earthly branches(10干12支). Approaches by I-ching among this sometimes was supplemented with Buddhist classification methods. Nevertheless, these studies can be evaluated limited because it fails to secure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Hyun-Mu Sutra was examined itemized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four points. 1) The icon of The Hyun-Mu Sutra(玄武經符) is similar as normal talisman(符籍) but it has other features. 2) 'Reverse Fonts'(反書體)[the opposite view of the standard fonts(正書體), reflected in the mirror fonts] and size or location used in text is not in uniform. 3) letters in scripture were pointed and points were stamped in the left and upper and lower characters. 4) "Spiritual poem" (詠歌,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 view of elegance as an origin of eco), and the music with the Five-Sounds[宮Gung, 商Sang, 角Gak, 徵Chi, 羽Wu) were related. As a result, content analysis of The Hyun-Mu Sutra is carried out in the next four points. 1) The icon of The Hyun-Mu Sutra (玄武經符) has been primarily developed by Jeungsan. 2) 'Reverse Fonts'(反書體)[the opposite view of the standard fonts(正書體), reflected in the mirror fonts] and reverse location such as '宙宇' [the reverse of '宇宙'] represents based on a new world based on a forward and reverse I-ching(正易). 3) Dot and neighbor points is a symbolic map that guides the position of lateral new world(後天) and era(人尊) 4) Spiritual poem is the entrance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Do(道通). The above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WINSPAN과 DCCA에 의한 금강(金剛)소나무 및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Chunyang-typ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CA)

  • 송호경;김성덕;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66-274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금강소나무와 춘양목(春陽木)소나무의 삼림(森林) 식생(植生)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62개(個)의 조사구(調査區)를 설치(設置)하여 식생(植生) 조사(調査)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DCCA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금강소나무 군집(群集)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금강소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개옻나무 등의 순(順)이고, 춘양목소나무 군집(群集)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소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쪽동백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順)이다. 소나무의 삼림군집(森林群集)은 Quercus variabilis-Styrax obassia, Quercus variabilis,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의 4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금강(金剛)소나무 군집(群集)이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보다 pH,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K^+$, $Ca^{{+}+}$, $Mg^{{+}+}$, cation exchange capacity에서 양호하였으며, 춘양목(春陽木)소나무 군집(群集)은 유효인산(有效燐酸)에서만 양호(良好)하였다. 소나무 군집(群集)에서 군집(群集)과 환경요인(環境要因)들과의 관계(關係)로 보면 신갈나무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C.E.C. 등(等)의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는데, 굴참나무 군집(群集)은 이와 반대로 해발고(海拔高)가 낮고, 전질소(全窒素),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C.E.C. 등(等)의 양료(養料)가 적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굴참나무 -쪽동백 군집(群集)과 굴참나무-신갈나무 군집(群集)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군집(群集)의 중간(中間) 부분(部分)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