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ine impac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Consideration of Clinically Related Dental Anomalies: Prevalence and Association

  • Kim, Young-Ho;Kim, Seo-Hee;Baek, Seung-Ha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7-24
    • /
    • 2010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ental anomalies in permanent teeth Materials and methods : The samples were 1,240 patients (760 females and 480 males, mean age=15.1 years) who visited the Samsung Medical Center. Dental anomalies were diagnosed using pre-treatment dental casts, radiographs, clinical examinations, and medical/dental historie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gender and sidedness.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most common missing tooth was the lower lateral incisor, followed by the lower and upper second premolars. This particular dental anomaly is characteristic of the East Asian population (prevalence of congenital missing tooth=12.3%). The upper anterior area was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area (prevalence of supernumerary tooth was 1.5%). The presence of a supernumerary tooth was more prevalent in males than in females (p<.05, odds ratio=3.2).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tooth was the upper canine (prevalence of impacted tooth=4.3%). Unilateral impaction of the upper canine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compared to bilateral impaction (p<.001). The prevalence of peg lateralis was 2.7%. The presence of congenital missing tooth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eg lateralis (p<.01). If children aged 7~8 years have peg lateralis, the rest of the teeth should be checked for congenital absences. Conclusion : The early detection of dental anomalies and understanding of their associations help clinicians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timing and methods of dealing with these anomalies.

  • PD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of impacted upper canines

  • Da Silva Santos, Ludmilla Mota;Bastos, Luana Costa;Oliveira-Santos, Christiano;Da Silva, Silvio Jose Albergaria;Neves, Frederico Sampaio;Campos, Paulo Sergio Flore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4호
    • /
    • pp.287-292
    • /
    • 2014
  • Purpose: To describe the features of impacted upper canin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djacent structures through three-dimensi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the CBCT scans of 79 upper impacted canines, we evaluated the following parameters: gender, unilateral/bilateral occurrence, location, presence and degree of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mild, moderate, or severe), root dilaceration, dental follicle width, and presence of other associated local conditions. Results: Most of the impacted canines were observed in females (56 cases), unilaterally (51 cases), and at a palatine location (53 cases). Root resorption in adjacent teeth and root dilaceration were observed in 55 and 47 impacted canines, respectively. In most of the cases, the width of the dental follicle of the canine was normal; it was abnormally wide in 20 cas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for all variables, except for root dilaceration (p=0.115) and the side of impaction (p=0.260). Conclusion: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was present in most cases of canine impaction, mostly affecting adjacent lateral incisors to a mild degree. A wide dental follicle of impacted canines was not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external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전위 매복된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TRANSPOSED AND IMPACTED MAXILLARY ANTERIOR REGION : A CASE REPORT)

  • 이기영;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0-635
    • /
    • 1999
  • 치아의 전위는 매우 드문 치아 기형의 하나로서 발생 또는 맹출중 인접한 2개의 영구치의 위치가 서로 바뀐것을 말한다. 전위는 상악과 하악 모두에서 발생 가능한데 그중에서 상악에서의 발생이 더 흔하며 상악견치는 가장 호발하는 치아이다. 상악에서는 상악 견치와 제 1 소구치와의 전위가 가장 빈도가 높고 그 다음으로 상악 견치와 측절치와의 전위가 많다. 전위는 완전 전위와 불완전 전위로 나눌수 있는데 완전 전위는 치관뿐 아니라 치근의 위치까지 전위된 경우를 말하고 불완전 전위는 치근의 위치는 정상이고 치관만 전위된 경우이다. 전위의 원인에 대하여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유치의 만기잔존이나 조기상실, 발생중의 전위나 정상 맹출 경로로부터의 이탈, 유치열시기의 안면외상 등이 제기되고 있고 이밖에 과잉치, odontoma 또는 odontogenic cyst, 염증성 병소 등을 그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증례는 유치열시기의 안면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영구 견치와 측절치의 전위가 발생한 경우로서 치료후 전위된 위치로의 양호한 배열을 이루었다.

  • PDF

Clinical predictors of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in low-risk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in mixed dentition

  • Sergio Estelita Barros;Bianca Heck;Kelly Chiqueto;Eduardo Ferreir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6-115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 set of clinical predictors of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between low-risk patients with and without displaced canines. Methods: The normal canine position group consisted of 30 patients with 60 normally erupting canines ranked in sector I (age, 9.30 ± 0.94 years). The displaced canine group comprised 30 patients with 41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ranked in sectors II to IV (age, 9.46 ± 0.78 years). Maxillary lateral incisor crown angulation, inclination, rotation, width, height, and shape, as well as palatal depth, arch length, width, and perimeter composed a set of clinical predictors, which were evaluated on digital dental casts. Statistical analyses consisted of group comparisons and variable correlations (p < 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ex and mesially displaced canines. Unilateral canine displacement was more prevalent than bilateral displacement. The crow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was significantly angulated more mesially and rotated mesiolabially in low-risk patients with displaced canines, who also had a shallower palate and shorter anterior dental arch length. Lateral incisor crown angulation and rotation, as well as palatal depth and arch lengt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nine displacement severity. Conclusions: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Maxillary lateral incisor angulation inconsistent with the "ugly duckling" stage as well as a shallow palate and short arch length are clinical predictors that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arly screening of ectopic canines in low-risk patients.

미맹출 견치의 특발성 근심 이동 (IDIOPATHIC MESIAL MOVEMENT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 최아미;송제선;이제호;최형준;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7
    • /
    • 2013
  • 상악 견치는 이소 맹출이나 매복이 빈번히 관찰되는 치아로, 그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했을 때에, 자연 개선 가능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 체계적인 대처라 함은, 일단 주기적으로 관찰 하다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견치의 정상적인 맹출 시기에 인접하여 유견치를 발치해서 다시 한번 자연 개선을 기다려보는 것인데, 이 때 추가적으로 공간 유지 장치나 부차적인 개창술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단, 너무 어린 나이에 유견치를 발치하면, 발치와가 단단한 경조직으로 채워지며 오히려 맹출 경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정상 맹출 시기의 약 6개월 전 정도에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렇게 해도 자연 개선 되지 않는다면, 가급적 견치의 치근이 완성되기 전에, 외과적으로 버튼을 접착하고 올바른 위치로 교정적 견인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환자가 늦게 내원했거나, 적극적 치료가 늦어 이미 위치가 심하게 변위 됐거나, 인접한 절치의 치근 흡수가 진행된 경우, 외과적 발치술 혹은 향후 보철적 치료가 추가될 것이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 견치의 특발성 악화 현상을 관찰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복잡 치아종 제거 후 변위된 매복 상악 유견치의 자가 맹출 (SPONTANEOUS ERUPTION OF IMPACTED MAXILLARY PRIMARY CANINE AFTER REMOVAL OF ODONTOMA)

  • 박소연;김수경;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3-78
    • /
    • 2012
  • 복잡 치아종은 치아와 해부학적인 유사성이 없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의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병소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어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나 치아의 맹출 실패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한 검사를 통해 발견된다. 복합 치아종은 골 팽창을 보이는 경우가 드물지만, 복잡 치아종은 경미하거나 뚜렷한 골 팽창을 보인다. 복잡 치아종은 거의 영구치와 연관되어 있고 유치와 연관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는 보통 하악의 유구치 부위에 발생한다. 본 증례는 상악 유견치의 매복과 연관된 복잡 치아종을 외과적 방법으로 제거하고 자가맹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치은 하방에 재위치 시켰다. 수술 6개월 후에 상악 유견치가 자가 맹출되었으므로 이를 보고한다.

Treatment of a Horizontally Impacted an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an Impacted Canine

  • Kim, Seong-Hun;Chung, Kyu-Rhim;Hwang, Eui-Hwan;Nelson, Gerald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40-45
    • /
    • 2021
  •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of impacted teeth, use of appropriate anchorage against the traction force is important. Tooth anchorage with multi-bracket appliances is commonly used but sometimes it causes unwanted movements of adjacent teeth. Skeletal anchorage devices are therefore considered to minimize such side effects. Still their survival rate and positioning are highly limited according to the bone density and the interradicular space. This case report presents a case of two impacted teeth, one of which is dilacerated and horizontally angulated. Using the microplate with short screws and a bendable neck, negative effects on adjacent teeth were minimized and impacted teeth were repositioned with good stability.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Forced Eruption in Impacted Maxillary Canines)

  • 한지혜;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2-413
    • /
    • 2022
  • 이 연구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견인 기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상악 견치의 매복으로 진단받아 외과적, 교정적 개입을 통한 견인 치료를 시행 받고 상악 매복 견치의 맹출까지 치료받은 만 8세 이상 만 18세 이하 환자 73명(93개의 상악 매복 견치)의 의무기록지와 방사선학적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합평면에서 상악 매복 견치 교두정까지의 거리, 근-원심과 협-구개 위치, 환자의 나이 그리고 급속구개확장장치의 사용 유무는 견인 치료기간을 예측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었으며, 매복 견치의 치축이 교합평면과 이루는 각과 편측성/양측성 매복 양상은 견인 기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견치의 낮은 매복 깊이, 견치 교두정의 근-원심 위치가 측절치 또는 견치 영역, 협-구개 위치가 협측 또는 중앙에 위치하고, 치료시작 시 환자의 어린 나이 그리고 구개 확장 장치의 사용이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을 짧게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매복된 상악 전치의 교정적 치료 : 증례보고 (ORTHODONTIC TREATMENT OF IMPACTED MAXILLARY INCISOR : A CASE REPORT)

  • 김해리;오소희;김영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09-717
    • /
    • 2007
  • 상악 전치의 매복은 제3대구치, 상악 견치, 상하악 제2소구치에 비해서 드물지만, 정중 과잉치, 외상, 치근만곡 등의 치근형성의 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전치부에 비해서는 매복되는 비율이 높고, 보통 약 8세 이후의 초기 혼합치열기의 아동에서 관찰된다. 상악 중절치의 매복으로 인한 인접치아의 이동으로 공간상실과 함께 정중선 변이가 나타날 수 있고 낭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발거, 자발적 맹출의 관찰, 교정적 견인 등이 있으나, 매복치의 병적 변화가 없고, 치근의 발육이 양호하다면 기능과 심미성의 회복을 위해 교정적 견인을 시행한다. 이에 매복된 상악 전치들을 교정적 견인을 통해 정상적인 맹출방향으로 유도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orced eruption을 이용한 매복 전치의 치험례 (CASE REPORT : FORCED ERUPTION FOR IMPACTED ANTERIOR TOOTH)

  • 공석배;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09-415
    • /
    • 2005
  • 영구 전치의 매복은 제 3 대구치나 견치에 비해서 드물게 나타나지만 학령기 아동에서 관찰할 수 있다. 매복치아의 원인은 외상, 공간 부족, 치아의 맹출 경로상에 위치하는 과잉치, 유치의 치근단 감염 등 다양하다. 매복된 치아는 부정교합과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 낭종 등의 병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계획을 통해 정상 맹출을 유도하여야 한다. 매복된 치아가 병적 변화를 일으킨 경우나 인접치에 손상을 주었을 경우에 발치를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교정적 견인을 통해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 줄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발견시의 올바른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정적 견인시에는 매복치를 배열할 공간의 확보와 고정원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견인시 적절한 방향의 힘을 통해서 치근의 흡수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증례는 매복된 전치들을 forced eruption을 통해서 정상적인 맹출 방향으로 유도한 치험례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