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ndida sp.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Xylose 발효효모의 Xylanase 생성 (Nutritional Conditions of Xylanase Production from Xylose Fermenting Yeast)

  • 배명애;김남순;방병호;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87
    • /
    • 1989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Xylose 발효효모 X-6-41 (Candida sp.)의 xylanase 효소생성 조건을 조사해 본 결과, 본 실험에 사용한 X-6-41 균주는 배지조성중 yeast extract 혹은 polypeptone이 첨가되면 xylanase 효소생성이 없었다. 즉 특정 아미노산인 isoleucine에 의해서는 그 생성이 억제되었고, tryptophan 25$\mu$g/$m\ell$ 농도의 존재하에서는 xylanase 생성이 증가했다.

  • PDF

서울특별시 허브공원 토양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동정 및 미기록 효모의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oils of an Herb Park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Yeasts)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8-112
    • /
    • 2016
  • 우리나라 토양 중의 효모 종 다양성 조사의 일환으로 서울특별시 H동 허브공원 일대 토양 29점을 2015년 5월에 수집하여 9종 15균주의 야생효모들을 polymerase chain reaction 을 이용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부위와 26S rDNA의 D1/D2 부위의 염기서열 상동성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Cryptococcus laurentii 2균주를 포함하는 Cryptococcus속 균이 8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Saccharomyces cerevisiae도 2균주 분리되었다. 이들 가운데 아직까지 우리나라 미생물 관련 학술지에 보고되지 않은 Candida boleticola SU14-2와 Candida novakii SU6-2, Cryptococcus podzolicus SU18-2 등의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한 후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Candida novakii SU6-2는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였고 Candida boleticola SU14-2는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이었다.

Endophytic Diaporthe sp. ED2 Produces a Novel Anti-Candidal Ketone Derivative

  • Yenn, Tong Woei;Ring, Leong Chean;Nee, Tan Wen;Khairuddean, Melati;Zakaria, Latiffah;Ibrahim, Dara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065-1070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ti-candidal efficacy of a novel ketone derivative isolated from Diaporthe sp. ED2, an endophytic fungus residing in medicinal herb Orthosiphon stamieus Benth.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fungal culture was separated by open column and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eluent at retention time 5.64 min in the HPLC system was the only compound that exhibited anti-candidal activity on Kirby-Bauer assay.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also elucidat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spectroscopy techniques. The purified anti-candidal compound was obtained as a colorless solid and characterized as 3-hydroxy-5-methoxyhex-5-ene-2,4-dione. On broth microdilution assay, the compound also exhibited fungicidal activity on a clinical strain of Candida albicans at a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3.1{\mu}g/ml$. The killing kinetic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compound was fungicidal against C. albicans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The compound was heat-stable up to $70^{\circ}C$, but its anti-candidal activity was affected at pH 2.

프탈산 화합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of Yeasts utilizing Phthalic Compounds as a Sole Carbon Source)

  • 이영남;유정희;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6
    • /
    • 1991
  • 화학공장폐수가 유입되는 곳의 자연수에서 프탈산화합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성장하는 효모 3종을 분리하였는데,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의 연구결과 이들은 Candide sp., Rhodotorula sp., To-rulopsis sp. 로 동정되었다. 분리한 효모들은 프탈산화합물 뿐만 아니라 톨류엔 등 다수의 방향족화합물을 이용하여 성장하기에 화학공업의 발달로 인하여, 자연생태에 다량 유입, 축적되고 있는 난분해성 방향족화합물의 효율적 생분해 방법을 모색하는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추정되며, 따라서 이들 효모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석유탄화수소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에 관한 연구 -I. 석유자화균주의 분리 및 우수균주의 선정- (Production of Single-Cell Protein on Petroleum Hydrocarbon -I. Isolation and Selection of Hydrocarbon Utilizing Microorganisms-)

  • 권태완;민태익;박융;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6-59
    • /
    • 1970
  • 단세포단백질의 국내생산을 목적으로 전국 각지의 토양을 비롯한 기타 시료 357 종에서 900 여주의 탄화수소 자화균주를 분리하였고, 그중에서 비교적 수율이 좋은 효모 7주에 대한 균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Candida tropicalis(5주), Candida lypolitica (1주), Torulopsis sp (1주)로 동정되었다. 선정된 효모균주의 mass doubling time은 $2.9{\sim}4.5$ hr., 수율은 $6.5{\sim}16.3g/l$, 경유 및 등유의 균체로의 전환율은 $7.8{\sim}19.3%$이고 ,건조효모의 조단백질함량은 $48.8{\sim}59.8%$이었다.

  • PDF

영상의학과 검사실의 감염 실태 (The Pathology of Infection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 신성규;이효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3호
    • /
    • pp.211-218
    • /
    • 2012
  • 부산광역시내 일개 대학병원의 영상의학과를 대상으로 환자와 접촉이 빈번한 검사장비의 세균오염도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입원환자 검사실의 소독 실시 전에는 MRSA, VRE, Acinetobacter baumannii,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sp.가 검출되었다. 소독 후에는 균이 완전히 사멸되었다. 검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검출되는 균이 많아졌으며 7시간 후에는 Bacillus sp.(GPR), CNS, Acinetobacter baumannii, Enterococcus sp.가 검출되었다. 감염환자 검사 후에는 Bacillus sp.(GPR), VRE, Enterococcus sp. CNS, Micrococcus sp.가 검출되었고 방사선사 손에서는 CNS, Enterococcus sp.와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sp.가 검출되었다. 각 검사실별로는 앞서 검출되었던 균종들과 비슷하였으나 이동검사장비의 손잡이와 대기실 의자에서 Pseudomonas aeruginosa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접촉이 빈번한 검사장비의 정기적인 소독과 감염환자 검사 후에는 즉시 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철저한 손 씻기 수행과 영상의학과 특성에 맞는 감염교육과 관리를 통해 감염 예방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재래식(在來式) 메주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진균(眞菌)에 관한 조사(調査) 연구(硏究) (Fungal Microflora on Korean Home-made Meju)

  • 박경자;김영미;이배함;이복권
    • 한국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2
    • /
    • 1977
  • 시판(市販) 재래식(在來式) 메주와 개량식(改良式) 메주를 특징(特徵)에 따라 각(各) 3점(點)씩 선정(選定)하고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응용과학연구소(應用科學硏究所)에서 선발(選拔)한 A-113(Aspergillus oryzae)을 표준균주(標準菌株)로 하여 메주를 제조(製造)하여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고 여기서 분리(分離)한 진균(眞菌)들이 분비한 취소활성(醉素活性)을 검토(檢討)하였다. 1. 재래식(在來式) 메주 3점(點)에서 분리한 진균(眞菌)은 25 주(株)였으며 Aspergillus oryzae 2주(株)와 Aspergillus flavus 14주(株), Penicillium spp. 6주(株), Rhizopus sp 1주(株), Candida sp 1주(株), Spicaria 1주(株)를 동정(同定)하였다. 2. 재래식(在來式) 메주에서 전분액화활성(澱粉液化活性)이 가장 좋은 균주(菌株)는 A-8로써 Aspergillus flavus 중에서 선발(選拔)되었으며 개량(改良)메주에서 분리(分離)된 균주와 비슷하다. 3. 전분당화활성(澱粉糖化活性)이 가장 좋은 균주(菌株)도 Aspergillus flavus에서 선발(選拔)되었으며 개량(改良)메주에서 분리(分離)한 것보다 우수(優秀)하였다. 4. 단백질(蛋白質) 분해(分解) 활성(活性)이 가장 강(强)한 균주(菌株)도 Aspergillus flavus에서 선발(選拔)되었으며 B-3은 개량(改良)메주에서 분리된 것보다 우수(優秀)하였다. 5. 재래식(在來式) 메주에는 유용(有用)한 균주(菌株)도 분포(分布)되고 있으나 유해(有害)한 균주(菌株)도 함께 분포(分布)되고 있었다. 6. 유해(有害)한 균주(菌株)로서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을 분비(分泌)한다고 알려진 Penicillium sp., Mycotoxin을 분비(分泌)할 가능성(可能性)이 있는 Aspergillus flavus, 피부병균(皮膚病菌)일 수 있는 Candida sp. 그리고 곤충(昆蟲)의 병원균(病原菌)으로 인정된 Spicaria sp. 등도 분포(分布)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6- [(Halopheny1) amino]-7-Bromo-5,8-Quinolinediones Treatment of Candidiasis in Normal Mice

  • Kim, Sung-Hee;Kim, Do-Hee;Lee, In-Kyung;Kim, Dong-Hyun;Ryu, Chung-Kyu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7-167
    • /
    • 1996
  • A series of 6-[(N-Halophenyl)amino] -7-Bromo-5,8-quinolinediones (BQs) newly synthesized were tested for antifungal activities, in vitro, against Candida sp., Aspergillus niger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he MIC values were determined by the twofold dilution method. Among these derivatives, BQ4 and 7 showed more potent antifungal activities than fluconazole and ketoconazole. BQ 4 and 7 were compared with fluconazole in the treatment of established systemic infections with Candida albicans in normal rat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BQs for 7 days and 14 days reduced Candida albicans colony count in kidneys and livers as well as fluconazol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BQs has been assessed by evaluating their activities (survival rate) against systemic infections in normal mice with Candida albicans. These compounds, particularly showed activities comparable with fluconazole. BQ4 and 7 had about EO$\_$50/, 0.05, 0.06mg/kg but fluconazole had ED$\_$50/, 6.0mg/kg respectively.

  • PDF

제주·호남권 전통된장과 고추장의 미생물 군집구조의 분석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profiling o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Deonjang, Gochujang) produced in Jeonbuk, Jeonnam, and Jeju province area)

  • 조성호;박해석;조승화;임은정;양호연;하광수;김은지;양승조;정도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9-48
    • /
    • 2017
  • 전통방식으로 제조하는 전통 장류인 된장과 고추장은 제조하는 환경과 방법, 미생물 그리고 제조자에 따라 다양한 풍미와 특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된장과 전통 고추장의 미생물 분포도를 제주도(된장 2점, 고추장 2점), 전남권(된장 3점, 고추장 3점), 전북권(된장 7점, 고추장 5점)으로 구분하여 미생물(세균, 진균) 분포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시료는 종균을 이용하지 않고 자연발효 되었고, 1~5년간 발효 숙성된 제품으로 수집되었다. 전통 된장의 세균 분포도를 보면,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는 세균은 B. amyloliquefaciens와 Tetragenococcus halophilus이었으며, Bacillus 속은 전남권(43.16%), 전북권(64.54%)에서 주요한 우점균 이었다. 그러나 제주도의 시료는 Bacillus 속이 0.22%로 내륙과 제주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진균 분포도를 보면, Candida versatilis는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 하였으며, Candida 속은 전남권(64.22%), 전북권(33.68%)이었고, Mucor 속은 전북권(36.73%), 전남권(15.66%)의 주요한 우점종이었다. 그러나 제주도 시료는 곰팡이 보다는 효모인 Candida 속과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균이었다. 전통 고추장의 세균 분포도를 보면, 3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는 세균은 B. subtilis와 B. licheniformis이며, B. amyloliquefaciens는 호남권에서만 우점종 이었다. 전반적으로 고추장에서 Bacillus 속이 우점균이라는 내용과 일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Jin et al., 2007). 진균 분포도를 보면, 3개 권역의 고추장에서 공통적인 우점종이 없었으며, 제주도와 전남권은 Aspergillus 속과 Rhizopus 속이 우세하였고, 전북권은 Zygosaccharomyces rouxii가 우점종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표본에서는 전통 된장과 전통 고추장은 지역적인 특징보다는 각 시료의 군집특성에 따라 유사 군이 형성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지역적, 시료 특성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의 군집 분포도를 정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