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dida

검색결과 1,263건 처리시간 0.03초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광역학 요법 (Antimicribial Photodynamic Therapy Using Diode Laser on Candida Albicans)

  • 김지원;구본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2호
    • /
    • pp.141-146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photodynamic therapy using Radachlorin and diode laser is an effective inhibitor of Candida albicans. Suspensions of Candida albicans were obtained, inoculated in petri dishes with Radachlorin, and incubated for 30 min. Then, the laser light of a diode laser was irradiated at at energy densities of 3 J/cm2, 5 J/cm2, 7 J/cm2. As a result, Candida albicans showed a killing rate of 91.5% at an energy density of 7 J/cm2. This study found that photodynamic therapy using a Radachlorin and diode laser was effective for the inhibition of Candida albicans.

석류에서 항진균성 활성의 탐색 (Detection of Antifungal Activities from Pomegranate)

  • 이금영;박태희;이다인;박정로;최상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87-2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석류에서 단세포성 곰팡이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진균 물질을 탐색하고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석류를 과피, 씨, 전체로 각각 분리하고 추출하여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고흥에서 생산된 석류를 전체, 과피, 씨로 나누어 70% EtOH로 추출한 후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이 액체배지에서 각각 비슷하게 나왔으며 고체배지에서는 석류 전체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잘 나타났다. 고체배지에서와 액체배지에서 공통적으로 석류 전체 및 과피 추출물의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추출물의 C. albicans의 항진균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모두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C. albicans, Candida glabrata, Candida tropicalis, Candida lusitania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석류 전체 및 석류 과피의 ethyl acetate 용매 추출물에서 각각 36%, 25%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석류 내 존재하는 항진균 활성 물질은 ethyl acetate에 잘 녹는 지용성 물질인 것으로 추정된다.

Antifungal and synergistic effects of an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edible brown seaweed Eisenia bicyclis against Candida species

  • Kim, Ki-Hyun;Eom, Sung-Hwan;Kim, Hyo-Jung;Lee, Dae-Sung;Nshimiyumukiza, Ossiniel;Kim, Dongsoo;Kim, Young-Mog;Lee, Myung-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209-214
    • /
    • 2014
  • With the continuing demand for new solutions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safe candidiasis therapies,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an antifungal agent from the marine brown alga Eisenia bicyclis. The methanolic extract of E. bicyclis evinced potential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species. The ethyl acetate (EtOAc)-soluble extract from E. bicyclis demonstrated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species among five solvent-soluble extracts. Indeed, the EtOAc-soluble extract show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ranging from 4 to 8 mg/mL. Furthermore, the EtOAc-soluble extract considerably reversed high-level fluconazole resistance of Candida species. The MIC values of fluconazole against Candida species decreased substantially (from 64 to $4{\mu}g/mL$) in combination with the MIC of the EtOAc-soluble extract (4 mg/mL).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ices of fluconazole ranged from 0.531 to 0.625 in combination with 4, 2, or 1 mg/mL of the EtOAc-soluble extract against Candida isolates, indicating that these combinations exert a marked synergistic effect against Candida isolates. These findings imply that compounds derived from E. bicycli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fungal agents against Candida species.

Deodorization of Pig Feces by Fungal Application

  • Kim, T.I.;Ham, J.S.;Yang, C.B.;Kim,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286-129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een yeasts effective in reducing odor from pig feces. Three isolates from soil and compost sources were selected to treat pig feces.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ne isolate from compost was Candida rugosa, and two isolates from soil were Candida rugosa and Candida maris. These isolates showed deodorizing activity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NH}_3$ and R-${NH}_2$. Volatile fatty acids (VFA) are the specific malodorous compounds of pig feces, and the Candida maris from soil showed a 100% reduction of butyric, iso-butyric, and iso-valeric acid in 10% pig slurry medium. However, the Candida rugosa from compost showed a 100% reduction of butyric and iso-butyric acid while that from soil showed a 100% reduction of propionic, butyric acid and iso-valeric acid in the medium. Also, these yeas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NH_{4}-N$, soluble-N,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요도루조성술 후에 개에서 발생한 Candida albicans 복막염 (Candida albicans Peritonitis After Urethrostomy in a Dog)

  • 최준혁;박형진;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73-477
    • /
    • 2013
  • 중성화한 수컷 7년 령의 Maltese가 요도결석으로 인한 요도루조성술 후에 3일 동안 지속된 빈혈 증상으로 충남대학교 동물병원에 진료 의뢰되었다. 수혈 후 복수 소견을 발견 하였다. 복수 검사 결과 Candida albicans 이 검출되었다. Candida albicans 에 의한 복막염으로 진단하여 항진균제로 fluconazole을 정맥 주사 하였다. 임상증상이 호전된 후 경구제로 전환 하였으며 진료 의뢰 후 37일후에 완전히 회복이 되었다. Candida albicans 복막염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를 하여 좋은 예후를 보인 증례였다.

해수 사육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위팽창증후군 (Stomach Distension Syndrome of Seawater Farmed Rainbow Trout(Oncorhynchus mykiss))

  • 김위식;공경희;오명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5-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제주도에 위치한 양식장에서 해수로 사육 중인 무지개송어에서 만성질병으로 인해 약 10%의 누적 폐사가 발생하였다. 병어는 복부가 팽만되어 있었고 위가 심하게 팽창되어 있었다. 질병 검사 결과, 기생충, 세균,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팽창된 위에서 다수의 Candida sp.가 분리되었다. Candida sp.를 사용하여 감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개체에서 폐사가 발생하지 않았고 위 팽창 증상이 관찰되지 않아 Candida sp.는 본 질병의 원인 병원체가 아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수 사육 무지개송어에서 위팽창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Glutathione 생산균주의 분리 동정 및 생산조건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ulture Condition of Microorganism Producing Glutathione)

  • 신원철;김대선;유주현;유재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
    • /
    • 1993
  • 춘천시 근교의 토양으로부터 glutathione 생산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glutathione 생산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동정을 행한 결과 Candida sp.로 판단되었다. Glutathione 생산을 위한 Candida sp의 배지조성은 fructose 1.0, yeast extract 4.0, NaCl 0.04, thiamine-HCl5{\mu}g/ml$ 및 L-cysteine 0.04 이었으며 온도는 $25^{\circ}C$, pH 6.0에서 36시간 배양하였을 때 glutathione 생산이 가장 좋았다. Glutathion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에서 Candida sp. 균주에의한 glutathione 생산량은 $92{\mu}g/ml$로 YM 배지보다 약 2.5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

Clinical Features of Otomycosis Co-occurring with Chronic Otitis Media and the Causative Fungi

  • Kim, Yee-Hyuk
    • Journal of Mycology and Infection
    • /
    • 제23권4호
    • /
    • pp.105-110
    • /
    • 2018
  • Background: Otomycosis is a fungal infection that comprises 7~10% of outer ear infections. Although the occurrence is higher in humid climate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otomycosis occurrences in humid environments. While recurrent chronic otitis media discharge in the ear creates a milieu in which otomycosis is likely to occur, investigations of otomycosis co-occurring with chronic otitis media have been rare. Objectiv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tomycosis co-occurring with chronic otitis media and identify causative fungi. Methods: The study included 60 patients with chronic otitis media who presented typical otomycosis findings in the outer ear canal and the presence of fungi. Patients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uly 2011 and June 2018.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57.77 years, and our study included 20 men and 40 women (p=0.010). The lesion was on the right in 39 patients and on the left in 21 (p=0.020). Ear discharge was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 at diagnosis. Of the 54 patients over age 19, 10 had diabetes (18.5%). Aspergillus was causative in 29 patients and Candida in 31. Aspergillus niger was identified in 15 patients, Aspergillus sp. in 14, Candida parapsilosis in 12, Candida sp. in six, and Candida albicans in five. Conclusion: Otomycosis and chronic otitis media co-occurrences increase with age. The Aspergillus and Candida genera were similar in proportion. A. niger was the most common Aspergillus species, while C. parapsilosis was the most common Candida.

Treatment Protocol for Secondary Burning Mouth Syndrome in Candida albicans- or Non-albicans-Positive Patients

  • Ju, Hye-Min;Jeong, Sung-Hee;Ahn, Yong-Woo;Jeon, Hye-Mi;Ok, Soo-Mi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3호
    • /
    • pp.126-13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efficient treatment approach for infection with different candida species. Methods: Fifty-three patients who presented with a chief complaint of oral mucosal pain and exhibited positive candida culture finding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andida albicans and non-albicans). Pain, mucosal manifestations, salivary flow rates, durations of disease and treatment, and responses to treatment (nystatin and clonazepam) were investigated in both groups. Results: Patients in the C. albicans group exhibited more prominent clinical characteristics (erythematous lesions, tongue coatings, and hyperalgesia) than those in the non-albicans group. In total, 70% of patients in the non-albicans group showed no abnormalities in the oral mucosa. Patients in the C. albicans group showed increased resistance to nystatin treatment compared to those in the non-albicans group, especially with longer disease durations. The patients resistant to nystatin treatment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clonazepam. Conclusions: Patients with oral mucosal pain should be tested for the presence of Candida, even in the absence of mucosal abnormalities, especially those infected with non-albicans species. If no response to antifungal therapy is observed, treatment with clonazepam should be initiated, especially in patients infected with C. albicans.

보철물 장착 환자의 구강 칸디다균 분포 (The Distribution of Oral Candida Species in Patient with Prosthetic Appliance)

  • 손승화;백수민;박영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77-487
    • /
    • 2014
  • 본 연구는 보철물 장착 환자의 구강 내 C. albicans 분포에 대한 연구로 구강 Candida 감염증의 주 원인균인 C. albicans의 분포를 측정한 후 감염 위험정도의 분석을 통해 보철물 장착 환자들에게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대상자의 성별, 흡연 및 음주유무, 구강 내 보철물 종류 및 장착 기간, 1일 칫솔질 횟수에 따른 C. albicans 집락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중 11.6%에서 감염 1단계 이상의 분포를 보여 구강 Candida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액 채취 부위별 C. albicans 분포를 분석한 결과 상악보다 하악의 설면에서, 입천장보다 혀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계의 분포를 보였다. 성별, 흡연 및 음주유무에 따른 C. albicans 분포는 여자보다 남자가, 흡연을 하는 경우보다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가,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음주를 하는 경우에 구강 Candida 감염 단계 평균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C. albicans의 단계별 분포는 구강 Candida 감염 3단계의 분포가 여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남자는 1.4%의 분포가 관찰되었으며, 구강 Candida 감염 2단계 이상의 분포가 흡연 및 음주를 하는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 3.3%, 3.6%의 분포가 관찰되었다. 구강 내 보철물 중 가철성 교정장치보다 의치 혹은 임플란트를 장착한 경우 C. albicans의 분포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보철물을 1년 이상 장착한 경우에 기간이 길어질수록 구강 Candida 감염 1단계 이상의 분포가 점점 높아졌다. 단, 7~9년 장착한 경우에는 100.0%의 0단계의 분포를 보였다. 1일 칫솔질 횟수에 따른 구강 Candida 감염 단계 평균 수치를 통해 구강위생관리와 C. albicans의 분포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칫솔질 횟수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보철물 장착 환자의 성별, 구강 내 부위, 보철물 종류, 보철물 장착 기간이 구강 내 C. albicans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모두 추가, 보완하거나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