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patients

검색결과 10,756건 처리시간 0.037초

염증성 질환에 대한 Crocin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 of Crocin in Inflammatory Diseases)

  • 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8-144
    • /
    • 2024
  • Crocin은 여러 가지 요리에 향미와 색깔을 주는 치자 열매나 사프란에 함유되어 있는 적노란색의 수용성 색소이다. 사프란과 치자는 전통의학 분야에서 부종, 해열, 해독 작용이 있어 바이러스성 간염, 식도염, 관상동맥심장병, 신경쇠약, 불면증, 퇴행성 신경질환, 호흡기 질환, 비뇨기 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Crocin (C44H64O24)은 카로테노이드의 복합체로, dicarboxylic acid crocetin과 disaccharide gentiobiose로 이루어진 diester이다. Crocin은 혈액학적인, 병리학적인 독성이나 유전독성이 없다. 현재까지 수많은 생체 내 및 생체 외 연구들을 통해 Crocin의 생물학적인 약리작용이 밝혀지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염증성 장질환, 위염, 천식, 동맥경화, 류머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우울증 등의 염증 관련 질환에서 Crocin의 보호 효과를 요약한다. Crocin은 다양한 작용 기전을 통해 항염, 항산화, 세포 자살 방지 기능을 함으로써 이들 질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복부 악성 림프종의 영상 소견 및 비슷한 소견을 보일 수 있는 질병들 (Typical and Atypical Imaging Features of Malignant Lymphoma in the Abdomen and Mimicking Diseases)

  • 김종은;박소현;심영섭;윤성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266-1289
    • /
    • 2023
  • 악성 림프종은 역동적 조영증강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전형적으로 커진 림프절 이 균일한 조영증강을 보이며 내부에 괴사 및 낭성 병변을 보이지 않는 영상 소견을 보이며, 이를 통해 침습적인 진단 검사 없이도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림프종은 비전형적인 영상 소견을 보여 영상의학과 의사가 진단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더욱이,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백혈병, 면역저하자의 바이러스 감염, 원발암 및 전이암들이 림프종과 유사하게 보여 감별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초기에 영상검사로 악성 림프종과 이러한 유사질환을 구별하는것은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임상 화보의 목표는 림프종의 전형적, 비전형적 영상 소견과 림프종을 모방하는 병변들의 영상 소견을 보여주며, 감별 진단을 좁히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소견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Dosimetric Analysis of Lung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Using Halcyon Linear Accelerator

  • Shinhaeng Cho;Ick Joon Cho;Yong Hyub Kim;Jea-Uk Jeong;Mee Sun Yoon;Taek-Keun Nam;Sung-Ja Ahn;Ju-Young So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4권4호
    • /
    • pp.48-54
    • /
    • 2023
  • Purpose: In this study, the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lung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plans using the new Halcyon system were analyzed to assess its suitability. Methods: We compared the key dosimetric parameters calculated for the Halcyon SBRT plans with those of a conventional C-arm linear accelerator (LINAC) equipped with a high-definition multileaf collimator (HD-MLC)-Trilogy Tx. A total of 10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ere selected, and all SBRT plans were generated using the RapidArc technique. Results: Trilogy Tx exhibited significant superiority over Halcyon in terms of target dose coverage (conformity index, homogeneity index, D0.1 cc, and D95%) and dose spillage (gradient). Trilogy Tx was more efficient than Halcyon in the lung SBRT beam delivery process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monitor units, modulation factor, and beam-on time. However, it was feasible to achieve a dose distribution that met SBRT plan requirements using Halcy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ying organs at risk dose constraints between both plans. Conclusions: Results confirm that Halcyon is a viable alternative for performing lung SBRT in the absence of a LINAC equipped with HD-MLC. However, extra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in determining whether to use Halcyon when the planning target volume setting is enormous, as in the case of significant tumor motions.

A novel fully covered metal stent for unresectable malignant distal biliary obstruction: results of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 Arata Sakai;Atsuhiro Masuda;Takaaki Eguchi;Keisuke Furumatsu;Takao Iemoto;Shiei Yoshida;Yoshihiro Okabe;Kodai Yamanaka;Ikuya Miki;Saori Kakuyama;Yosuke Yagi;Daisuke Shirasaka;Shinya Kohashi;Takashi Kobayashi;Hideyuki Shiomi;Yuzo Kodama
    • Clinical Endoscopy
    • /
    • 제57권3호
    • /
    • pp.375-383
    • /
    • 2024
  • Background/Aims: Endoscopic self-expandable metal stent (SEMS) placement is currently the standard technique for treating unresectable malignant distal biliary obstructions (MDBO). Therefore, covered SEMS with longer stent patency and fewer migrations are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linical performance of a novel, fully covered SEMS for unresectable MDBO. Methods: This was a multicenter single-arm prospective study. The primary outcome was a non-obstruction rate at 6 months. The secondary outcomes were overall survival (OS), recurrent biliary obstruction (RBO), time to RBO (TRBO),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and adverse events. Results: A total of 73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non-obstruction rate at 6 months was 61%. The median OS and TRBO were 233 and 216 days, respectively. The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were 100% and 97%,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rate of occurrence of RBO and adverse events was 49% and 21%, respectively. The length of bile duct stenosis (<2.2 cm)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stent migration. Conclusions: The non-obstruction rate of a novel fully covered SEMS for MDBO is comparable to that reported earlier but shorter than expected. Short bile duct stenosis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stent migration.

부분 신장 절제술 계획을 위한 하이브리드 CNN-트랜스포머 네트워크를 활용한 신장 종양 분할 (Kidney Tumor Segmentation Using a Hybrid CNN-Transformer Network for Partial Nephrectomy Planning)

  • 김고운;안진서;이유빈;홍헬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11-18
    • /
    • 2024
  • 신장암 치료를 위한 부분 신장 절제술에서 수술 계획을 위한 신장 종양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 등의 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신장 종양을 정확하게 분할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종양이 주변 장기와 밝기값이 유사하고 위치 및 크기가 환자마다 다양하여 분할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장 종양의 분할 성능 개선을 목표로, 영상 내 지역적 및 전역적 특징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과 트랜스포머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UNETR++와의 비교 실험에서 다이스 유사계수 78.54%, 정밀도 85.07%로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종양 크기별 분석에서는 UNETR++에서 관찰되는 과대 분할 및 이상치가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colorectal neoplasia performed with a waterjet system-assisted knife: higher en-bloc resection rate than conventional technique

  • Paolo Cecinato;Matteo Lucarini;Francesco Azzolini;Mariachiara Campanale;Fabio Bassi;Annalisa Cippitelli;Romano Sassatelli
    • Clinical Endoscopy
    • /
    • 제55권6호
    • /
    • pp.775-783
    • /
    • 2022
  • Background/Aims: Colorectal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burdened by its associated high risk of adverse events and long procedure time. Recently, a waterjet-assisted knife was introduced to simplify and speed up the proced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waterjet-assisted ESD (WESD)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ESD (CESD) technique. Methods: The charts of 254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colorectal ESD between January 2014 and February 2021 for colorectal neoplasms were analyzed. The primary outcome was the en-bloc resection rate. Secondary outcomes were complete and curative resection rates, the need to switch to a hybrid ESD, procedure speed, the adverse event rates, and the recurrence rates. Results: Approximately 174 neoplasias were considered, of which, 123 were removed by WESD and 51 by CESD. The en-bloc resection rate was higher in the WESD group (94.3% vs. 84.3%). Complete resection rates and curative resection rates were similar. The need to switch to a hybrid ESD was greater during CESD (39.2% vs. 13.8%). Procedure speed and adverse event rates were similar. During follow-up, one recurrence occurred after a WESD. Conclusions: WESD allows a high rate of en-bloc resections and less frequently requires a rescue switch to the hybrid ESD compared to CESD.

MBNL3 Acts as a Target of miR-302e to Facilitate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Angiogenesis of Gastric Adenocarcinoma via AKT/VEGFA Pathway

  • Weiping Tang;Can Huang;Bing Jiang;Junjun Lin;Yecai L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7호
    • /
    • pp.1433-1442
    • /
    • 2024
  • Gastric adenocarcinoma (GAC) is a common, malignant type of tumor in human, and is accompanied with higher mortality. Muscleblind-like 3 (MBNL3) was found to be a pivotal participator in aggravating this cancer's progression. However, the regulatory effects of MBNL3 on GAC development have not been investigated. We therefore sought to study the functions of MBNL3 in GAC progression. In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MBNL3 exhibited higher expression, and GAC patients with higher MBNL3 expression had poor prognosis. Overexpression of MBNL3 facilitated, and knockdown of MBNL3 suppressed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angiogenesis in GAC. Further experiments showed that miR-302e targets MBNL3. Rescue assays then uncovered that the miR-302e/MBNL3 axis aggravated GAC progression. In addition, MBNL3 activated the AKT/VEGFA pathway, and the suppressive regulatory impacts of MBNL3 knockdown on GAC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angiogenesis could be rescued after 740 Y-P treatment. Through in vivo assay, it was proved that MBNL3 accelerated tumor growth in vivo. In conclusion, MBNL3 acted as a target of miR-302e to facilitate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angiogenesis of gastric adenocarcinoma through the AKT/VEGFA pathway. Our findings illustrate that MBNL3 may be an available bio-target for GAC treatment.

성문암 세기조절 방사선치료에서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선량변화 평가 (Evaluation of Dose Change by Using the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IR) on the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with Glottis Cancer)

  • 김우철;민철기;이석;최상현;조광환;정재홍;김은석;여승구;권수일;이길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5권3호
    • /
    • pp.167-175
    • /
    • 2014
  • 본 연구는 IMRT가 적용된 성문암 환자에 대하여 CBCT영상과 변형영상 정합기법을 이용하여 치료기간 동안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는 선량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B-spline 알고리즘을 사용한 변형영상정합 시스템을 통해 치료 중 1주 간격으로 얻은 CBCT를 재구성하고 치료계획을 재계산하여 종양과 결정장기의 선량 분포를 비교하였다. 체중에 따른 체적변화는 3~5 주부터 평균 1.38~2.04 kg로 증가하였으며 체표면의 변화는 평균 2.1 mm로 감소하였다. 또한, 3주 이후의 경동맥에 전달된 선량은 계획되었던 값보다 최대 8.76%로 증가하였고, 갑상선샘은 26.4%로 감소하였다. 종양의 물리적의 평가인자인 PITV, TCI, rDHI, mDHI 그리고, CN은 치료 계획된 값보다 각각 평균 4.32%, 5.78%, 44.54%, 12.32% 그리고, 7.11%로 감소하였다. PTV에 대한 $D_{max}$는 평균 2.99% 증가하였고, $D_{mean}$, $V_{67.50}$, $D_{95}$는 각각 평균 1.52%, 5.78%, 11.94%로 감소하였다. 체중변화에 따른 체적의 변화가 없더라도 체형변화는 발생하였고, 좁은 여유마진을 가지는 IMRT는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성문암에 대한 IMRT 적용 시 환자의 체중변화를 관찰과 함께 변화를 기록하고 치료 중 변형영상정합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량분포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최종적으로 치료 중 실제 전달되는 선량평가는 적응형치료계획을 통하여 확인하고 정확한 선량전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

구강암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타액량, 총 단백 및 IgA 농도의 변화 (THE CHANGE OF SALIVARY FLOW RATE, AND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AND IGA AFTER RADIATION THERAPY OF ORAL CANCER)

  • 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3호
    • /
    • pp.249-256
    • /
    • 1999
  • 구강암 환자에서 방사선 조사를 받은 경우에 있어 타액의 성분 및 성질 변화를 알아내는 기초적 조사로 주 5회 180-225cGy fraction의 $Co^{60}$ 치료 예정자 중 총 6,000cGy 이 상자 7명에서 자극전타액 채취를 통해 타액분비량, 총단백 및 IgA의 농도를 방사선치료 직전, 방사선 조사 후 1일, 2일, 3일, 4일, 5일, 1주, 2주, 4주,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째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액분비량은 방사선조사 전에는 $0.8671{\pm}0.4057ml/min$이었으며, 방사선조사 후 3일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4주째에 최소치를 나타냈다($0.2621{\pm}0.2858Ml/min$). 이후 타액분비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일년째에는 타액분비량이 회복되는 추세였다. 2. 총 단백 및 IgA 농도는 방사선 조사 전에는 각각 $137.2000{\pm}16.9912mg%$, $3.4200{\pm}1.4114mg%$였으나, 방사선조사와 함께 유의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6주째에 각각 $366.4000{\pm}174.0583mg%$, $43.4800{\pm}29.1207mg/ml$으로 최고점에 도달하였고, 방사선조사 완료와 함께 회복 되기 시작하여 12개월째에는 $165.4000{\pm}21.1495mg%$$4.6200{\pm}2.1580mg/ml$으로 그 농도가 낮아졌다. 3. 타액 총단백에 대한 IgA의 비율은 방사선조사 전에는 2.5%에서 방사선 조사 1주 이후부터는 조사량이 증가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다가(방사선 조사 6주 때 11.9%), 일년째에는 방사선 조사전의 비율로 회복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