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Examination

검색결과 1,140건 처리시간 0.029초

Diode laser surgery in the treatment of oral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associated with HPV-16 infection

  • Bombeccari, Gian Paolo;Garagiola, Umberto;Candotto, Valentina;Pallotti, Francesco;Carinci, Francesco;Gianni, Aldo Bruno;Spadari, Francesc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16.1-16.5
    • /
    • 2018
  • Background: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PVL) is an oral potentially malignant disorder, characterized by multifocal expression, progressive clinical evolution, and a high rate of malignant transformation. Evidence-based information regarding optimal PVL management is lacking, due to the paucity of data.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a case of PVL associated with HPV-16 infection and epithelial dysplasia treated by diode laser surgery, and the outcome of disease clinical remission over a 2-year follow-up period. Case report: A 61-year-old Caucasian male with oral verrucous hyperkeratosis presented for diagnosis. The lesions were localized on the maxillary gingiva and palatal alveolar ridge. Multiple biopsy specimens have been taken by mapping the keratotic lesion area. Microscopic examination was compatible with a diagnosis of PVL with focal mild dysplasia, localized in the right maxillary gingiv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one for human papillomavirus (HPV) detection which revealed presence of HPV DNA, and the genotype revealed HPV 16 in the sample. The PVL in the right gingival area was treated on an outpatient basis by excision with a diode laser. This approach resulted in good clinical response and decreased morbidity over a 2-year follow-up period. Conclusions: This case illustrates the benefit of a conservative approach by diode laser treatment than wide surgical excision for management of the PVL lesions associated with mild dysplasia and HPV-16 infection.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the interaction between BMR and BMI in obese Korean women including overweight

  • Lee, Myoungsook;Kwon, Dae Young;Kim, Myung-Sunny;Choi, Chong Ran;Park, Mi-Young;Kim, Ae-j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115-124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is is the first study to identify common genetic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body mass index (BMI) in obese Korean women including overweight. This will be a basic study for future research of obese gene-BMR interaction. SUBJECTS/METHOD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 by 2 with variables of BMR and BMI.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as conducted in the overweight and obesity (BMI > $23kg/m^2$) compared to the normality, and in women with low BMR (< 1426.3 kcal/day) compared to high BMR. A total of 140 SNPs reached formal genome-wid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P < $1{\times}10^{-4}$). Surveys to estimate energy intake using 24-h recall method for three days and questionnaires for family history, a medical examin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conducted. RESULTS: We found that two NRG3 gene SNPs in the 10q23.1 chromosomal region were highly associated with BMR (rs10786764; $P=8.0{\times}10^{-7}$, rs1040675; $2.3{\times}10^{-6}$) and BMI (rs10786764; $P=2.5{\times}10^{-5}$, rs10786764; $6.57{\times}10^{-5}$). The other genes related to BMI (HSD52, TMA16, MARCH1, NRG1, NRXN3, and STK4) yielded P < $10{\times}10^{-4}$. Five new loci associated with BMR and BMI, including NRG3, OR8U8, BCL2L2-PABPN1, PABPN1, and SLC22A17 were identified in obese Korean women (P < $1{\times}10^{-4}$). In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umber of starvation periods per week, family history of stomach cancer, coffee intake, and trial of weight control in each group. CONCLUSION: We discovered several common BMR- and BMI-related genes using GWAS. Although most of these newly established loci were not previously associated with obesity, they may provide new insights into body weight regulation. Our findings of five common genes associated with BMR and BMI in Korean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replication and validation of future studies on the metabolic rate.

흉부 및 복부 CT 검사 시 안구와 갑상선의 방사선 피폭선량 저감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Dose of Eyeball and Thyroid for Chest and Abdomen CT Scan)

  • 이준석;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47-151
    • /
    • 2019
  • 흉부 및 복부 CT 검사 시 산란선에 의한 안구와 갑상선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피폭선량의 감소를 위해 차폐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정도를 조사하였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흉부 및 복부 CT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안구와 갑상선의 차폐체 사용 전과 후의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안구와 갑상선의 표면선량은 OSL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란선을 차폐하기 위해 바륨, 텅스텐 시트와 고글과 목 차폐체를 사용하였다. 흉부 CT 스캔 시 차폐를 하지 않고 스캔한 안구는 3.01 mSv, 갑상선은 6.21 mSv로 측정 되었고 복부 CT 스캔 시 차폐를 하지 않고 스캔한 안구는 0.55 mSv, 갑상선은 3.22 mSv를 나타내었다. 바륨과 텅스텐 시트는 흉부 CT 검사 시 안구와 갑상선의 차폐율이 11~13%이었고, 복부 CT 검사 시에는 34~49%까지 방사선 피폭의 저감 효과가 있었다. 흉부 및 복부 CT 검사 시 방사선 피폭 정도가 상당하기 때문에 검사가 반복,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방사선 피폭으로 인해 갑상선 암, 백내장 등 방사선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검사 시 차폐체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유방 보존술 중 절제면 동결절편검사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a Frozen Section of Breast Resection Margin during Breast-Conserving Surgery)

  • 최병일;진수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33-240
    • /
    • 2021
  • 유방 보존술 중 절제면 동결절편검사는 빠른 시간 내에 암세포의 유무를 판단하고 환자의 수술 범위 및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유방조직의 특성상 많은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방조직의 양에 따라 유방조직 동결절편검사의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 보존술에서 시행하는 절제면 동결절편검사에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동결절편검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동결절편블록의 표면을 알코올로 닦아내면 지방조직이 순간적으로 용해되면서 실질조직이 표면으로 노출될 것이라 예상하였다. 실제로 총 98례 중 기존의 동결절편검사보다 개선된 동결절편검사에서 더 높은 실질조직 비율을 얻는 경우는 37례였다. 또한 개선된 동결절편검사에서 더 높은 실질조직 비율을 얻은 37례 중 이전의 동결절편검사에서는 음성으로 진단되었으나, 개선된 동결절편검사와 영구표본조직 슬라이드에서 관상피내암으로 진단이 나온 경우는 2례였다. 비록 turn around time (TAT) 등의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 결과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계속한다면 동결절편검사 시 조직학적 병리검사의 진단 정확성을 재고할 것이라고 사료되며, 환자 안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된다.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Estimation of Multi-Route Exposure and Aggregated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nd Lead)

  • 유창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7-601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

엽산: 2020 영양소 섭취기준과 한국인의 영양상태 (Folate: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 한영희;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30-347
    • /
    • 2022
  • 엽산은 비타민 B군에 속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핵산 합성과 아미노산 대사에서 단일탄소를 전달해 주는 반응의 조효소 역할을 한다. 엽산은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어 성장하는 임신기와 성장기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며, 여성의 임신 전 적절한 엽산 영양상태는 신경관 결손증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엽산 섭취 부족은 빈혈,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심혈관질환, 암, 인지 장애, 우울증 등 다양한 질병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엽산은 전 생애주기 동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0 한국인 엽산 섭취기준의 개정 근거를 살펴보고, 국민건강영양조사로부터 엽산 섭취량과 혈청 엽산 농도를 성별, 연령대별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엽산 섭취기준 개정에 참고할 만한 내용을 제언하였다. 표준체중의 변경에 따라 영아 후기의 충분섭취량과 15-18세의 평균필요량이 2015년과 달리 변경되었으나,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대부분의 연령에서 엽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15-29세 여성의 섭취량이 권장섭취량 대비 매우 낮았다. 임신부와 수유부의 엽산 섭취량도 권장섭취량 대비 60% 이하로 낮았으나, 혈액수준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아 보충제를 섭취한 결과로 보인다. 앞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보충제 섭취량도 조사해야 할 것이며, 엽산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서는 생식품, 조리된 식품, 강화식품 중의 엽산 함량에 대한 DB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혈청 엽산 뿐 아니라 적혈구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분석방법에 대한 질 관리가 필요하다.

18F-FDG PET/CT에서 코로나 백신접종과 액와 림프절 섭취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f COVID-19 Vaccination and Axillary Lymph Nodes Uptake in 18F-FDG PET/CT)

  • 김민찬;최용훈;임한상;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26권2호
    • /
    • pp.32-36
    • /
    • 2022
  •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인하여 백신접종이 시작되었고 코로나 백신으로 인한 림프절병증의 여러사례가 발표되고 있으며, 18F-FDG PET/CT에서는 액와 림프절에 위양성 섭취를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코로나 백신 접종 후 기간에 따른 접종 측 액와 림프절의 SUVmax의 변화 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환자는 접종 후 기간을 0~2주, 3~6주, 7~10주, 11주 이상으로 4개 집단으로 나누었고 FDG를 3.7 MBq/kg을 주입하고 한 시간 뒤 1 bed 당 2분 동안 촬영했다. 장비는 Discovery 600 (GE Healthcare, MI, USA)을 사용하였다. 검사 후 핵의학 판독의가 육안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접종 측액와 림프절의 섭취 여부를 구분하였다. 그 후에 유방암 부위 반대 측 팔에 백신이 접종되었으며 그로 인해 섭취가 발생한 액와 림프절에 관심 영역을 그려 SUVmax를 측정하였다. 백신접종 후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접종 측 액와 림프절에 섭취된 환자의 비율과 SUVmax는 감소하였다. 또한 4개 집단의 섭취된 액와 림프절의 SUVmax를 Kruskal-Wallis test를 한 결과 4개 집단 간 SUVmax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Mann-Whitney test로 사후 검정한 결과 0~2주는 다른 집단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나머지 3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참고자료로써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PET/CT 검사 전 코로나 백신접종 정보를 기록하여 진행하는 것을 권고한다.

유방 초음파 검사에서 석회화 유발 환경에 따른 반짝 허상과 팸텀을 활용한 영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Change Using Twinkle Artifact Images and Phantom according to Calcification-Inducing Environment in Breast Ultrasonography)

  • 전철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51-759
    • /
    • 2023
  • 유방 초음파 검사는 지방형 유방에서 영상화가 어렵고 미세 석회화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미세 석회화의 발견은 유방암 선별 검사에 매우 중요하다. 초음파의 컬러 도플러 허상 중 반짝 허상은 영상에서 주로 결석이나 석회화 같은 강한 반사체에 발생되며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이 임상적으로 사용 중이다. 본 연구는 유방 석회화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인산칼슘을 이용한 유방 모의 팬텀을 제작하여 초음파 장비의 컬러 도플러 설정 변수인 펄스 반복 주파수, 앙상블, 퍼시스트, 월 필터, 평활화, 선밀도, 임계값에 대해 실험을 진행했고 이를 통해 유방 초음파 검사에서 반짝 허상의 대조도를 개선하는 조건과 임상에서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펄스 반복 주파수가 3.6 kHz ~ 7.2 kHz 범위에서 반짝 허상이 발생하며 10.5 kHz 이상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앙상블의 경우 낮은 조건에서는 모든 크기의 석회화에 반짝 허상이 발생하였고 임계값 설정에서는 80에서 100 조건에서만 반짝 허상이 조금 증가했으며 1 mm 크기의 석회화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퍼시스트, 월 필터, 평활화, 선밀도 설정은 반짝 허상이 발생하긴 했으나 조건별로 증가하지는 않아 설정 변수에 큰 의미가 없었으며 반짝 허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펄스 반복 주파수, 앙상블, 임계값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검사자가 컬러 도플러 설정을 조절하여 반짝 허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최적의 조건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Large Duct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 Morphological Variant of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With Distinct CT and MRI Characteristics

  • Se Jin Choi;Sung Joo Kim;Dong Wook Kim;Seung Soo Lee;Seung-Mo Hong;Kyung Won Kim;Jin Hee Kim;Hyoung Jung Kim;Jae Ho Byu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2호
    • /
    • pp.1232-1240
    • /
    • 2023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imaging characteristics of large duct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LD-PDAC) on comput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patients with LD-PDAC (63.2 ± 9.7 year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umor morphology on CT and MRI (predominantly solid mass vs. solid mass with prominent cysts vs. predominantly cystic mass) was evaluated. Additionally, the visibility, quantity, shape (oval vs. branching vs. irregular), and MRI signal intensity of neoplastic cysts within the LD-PDAC were investigated. The radiological diagnoses rendered for LD-PDAC in radiology reports were reviewed. Results: LD-PDAC was more commonly observed as a solid mass with prominent cysts (45.7% [16/35] on CT and 37.1% [13/35] on MRI) or a predominantly cystic mass (20.0% [7/35] on CT and 40.0% [14/35] on MRI) and less commonly as a predominantly solid mass on CT (34.3% [12/35]) and MRI (22.9% [8/35]). The tumor morphology on imag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the cancer gland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P = 0.020 [CT] and 0.013 [MRI]). Neoplastic cysts were visible in 88.6% (31/35) and 91.4% (32/35) of the LD-PDAC cases on CT and MRI, respectively. The cysts appeared as branching (51.6% [16/35] on CT and 59.4% [19/35] on MRI) or oval shapes (45.2% [14/35] on CT and 31.2% [10/35] on MRI) with fluid-like MRI signal intensity. In the radiology reports, 10 LD-PDAC cases (28.6%) were misinterpreted as diseases other than typical PDAC, particularly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Conclusion: LD-PDAC frequently appears as a solid mass with prominent cysts or as a predominantly cystic mass on CT and MRI. Radiologists should be familiar with the imaging features of LD-PDAC to avoid misdiagnosis.

B-values 변환 자기공명영상: 국소 직장암 수술 전 검출을 위한 적합한 b-value 유용성 (Usefulness of High-B-value Diffusion - Weighted MR Imaging for the Pre-operative Detection of Rectal Cancers)

  • 이재승;구은회;이선엽;박철수;최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83-69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암 국소병변의 수술 전 검출을 위한 고 확산경사계수(High-b-values)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직장암의 진단을 위하여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60명의 환자 중 연령분포는 38 - 78세(평균 60세)였고 남자 40명, 여자가 20명 이었다. 사용된 장비는 1.5 Tesla 자기공명 영상기기(GE, General Electric Medical System, Excite HD)로 사용하였고, 검사 프로토콜은 고속기법 T2, T1강조영상을 얻은 후 정확한 병변 검출을 위하여 같은 위치를 정하여 확산강조영상을 얻었다. 확산강조영상의 b-value$(s/mm^2)$값은 250, 500, 750, 1000, 1500, 2000까지 변화시키면서 얻었다. 영상평가는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직장, 방광과 종양간 대조도대 잡음비(rectum, bladder to tumor contrast noise ratio, 이하 CNR)를 GE software Functool tool을 사용하여 비교분석 하였고. 정성적 분석방법은 영상내의 인공물의 유무, 병변의 명확성, 직장벽 구분을 기준으로 네 명의 경험 있는 영상의학과 의사와 세 명의 방사선사가 영상을 분석하였다. 영상의 유의성 평가는 각 b-values 값에 대하여 ANOVA 검증과 Freedman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정량적 분석결과는 b-values 값 중 1000에서 직장, 종양의 평균 대조도대잡음비는 27.21, 24.44로 가장 높았고(p<0.05), 이때 확산계수는 $0.73\times10^{-3}$이었다. 정성적 분석결과로서, 병변의 명확성과 직장벽 구분은 $4.0\pm0.14$, $4.4\pm0.16$로 1000 값에서 가장 높았으며, 인공물유무는 $4.8\pm0.25$로 2000 값에서 높은 결과 이었다(p<0.05). 결론적으로, 확산강조영상은 수술 전 직장암 환자의 병변 검출에 유용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었으며, 정확한 종괴의 발견을 위해는 고 확산경사계수 값 1000 영상이 가장 우수한 확산경사계수 값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