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Chemoprevention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4초

Modulation of Nrf2/ARE and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s by Hericium erinaceus Mycelia Extract

  • Jin, Kyong-Suk;Park, Ji-Young;Cho, Mi-Kyung;Jang, Ji-Hyun;Jeong, Jae-Han;Ok, Seon;Bak, Min-Ji;Song, Young-Sun;Kim, Myo-Jeong;Cho, Chung-Won;Jeong, Woo-S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04-1211
    • /
    • 2009
  • Hericium erinaceus is an edible mushroom used as a medicinal food in Asian countries. In this study,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H. erinaceus mycelia hot water extract (HEW) were evaluated. HEW remarkably induced the luciferase activity of the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RE), located in the promoter region of phase 2 and antioxidant genes and regulated by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 (Nrf2). The up-regulation of ARE activity by HEW corresponded with the induction of Nrf2 and the antioxidant enzyme, hemeoxygenase-1. Th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COX-2) activity is a promising effective approach in cancer chemoprevention, and HEW prominently suppressed COX-2 protein expression in HepG2 cells. Furthermore, HEW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modulating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inducible NO synthase,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and the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kappa}B$,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 erinaceus possessed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the modulation of Nrf2/ARE and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s, and may therefore have potential use as a natural chemopreventive agent.

염증-치주 질환과 암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ancer: A Recent Research Trend)

  • 이신화;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02-608
    • /
    • 2013
  • 만성적인 염증이 다단계 발암과정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치주 질환의 원인은 구강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내독소들과 염증 유발인자들의 생성 등이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며, 이는 잘못된 구강 위생 관리가 신체의 여러 가지 전신병적 원인과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비위생적인 구강 상태와 연관된 만성 염증, 흡연, 알콜 섭취의 증가 등은 암의 발병 위험 요소로 작용함은 명확한 사실이다. 최근에는 구강 위생과 치아 손실이 위장관암, 폐암 및 췌장암 뿐만 아니라 혈구암 발병 증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흡연은 악성 질환 발병의 위험 요소로서 구강 위생의 강력한 위해요인임은 명백하며, 역학적 조사결과들에 의하면 구강 박테리아에 의한 치주 질환은 만성 염증을 통하여 흡연과 알콜 연관 발암원을 활성시킴으로서 다양한 암의 발병 위험 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암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질환의 예방을 위한 적절한 구강 관리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암예방을 위한 악성질환의 위해 요소로서 염증과 치주질환 및 구강 위생과의 연관성을 논하였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luteolin이 화학적으로 유도한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teolin on chemical 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high fat diet-fed obese mouse)

  • 박정은;김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14-22
    • /
    • 2018
  • 본 연구는 LUT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마우스의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각 10마리씩 정상식이 (ND)군, 고지방식이 (HFD)군, HFD + 0.0025% LUT 보충 (HFD LL)군, 그리고 HFD + 0.005% LUT 보충 (HFD HL)군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실험군은 AOM을 1회 복강 주사하고 AOM 투여 1주일 후 총 3 cycle의 1 ~ 2% 농도의 DSS를 음용수로 공급하여 대장암을 유발하였다. 실험식이는 AOM 발암시점부터 총 11주간 급여하였다. 연구결과, 군간 식이섭취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HFD 급여군에서 체중과 식이효율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으며 HFD군과 비교했을 때 LUT 보충에 따른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LUT 보충은 ND군에 비해 HFD군에서 나타난 대장 무게/길이 비, 대장종양 수, 혈장 $TNF-{\alpha}$ 농도, 대장 iNOS와 COX-2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HFD HL군이 HFD LL군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조절과는 별개로 LUT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대장의 염증반응 억제를 통하여 비만과 연관된 대장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향후 비만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adipokine 분비, 그리고 장내 균총 변화에 따른 대장 점막세포 증식과 대장암 발생에 LUT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더 깊이 있게 수행한다면 비만으로 인한 대장암 발생에 LUT이 효과적인 화학적 예방 (chemoprevention)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of Ginsenoside $Rg_3,\;Rg_5,\;Rh_2$ and BST from Enzymatically Fermented Korean Ginseng Extract

  • Yun Taik-Koo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5-46
    • /
    • 2002
  • Panax ginseng C. A. Meyer has been one of the most highly recognized medicinal herbs in the Orient. Previous experiments have demonstrated that $Rg_3,\;and\;Rg_5$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cidence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lung tumor, $Rh_2$ showed tendency of decrease and $Rh_1$ showed no effect.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Rg_3,\;Rg_5\;and\;Rh_2$ are active cancer chemopreventive components in red ginseng and they either singularly or synergistically act in the prevention of canc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of $Rg_3,\;Rg_5\;and\;Rh_2$(purity: more than $60\%$) isolated from fermented ginseng extract and BST fermented ginseng with fortified ginsenoside $Rg_3\;and\;Rh_2$. The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experimental groups treated with benzo(a)pyrene(BP) with ginsenoside $Rg_3,\;Rg_5\;Rh_2\;or\;BST$ at three doses of $50^{\circ}C/ml,\;100^{\circ}C/ml\;and\;200^{\circ}C/ml$ When mice given with $50^{\circ}C/ml$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g_3$ combined with BP for 6 weeks after BP administration, $Rg_3\;showed\;60\%$ of lung tumor incidence, where as $100^{\circ}C/ml\;and\;200^{\circ}C/ml\;of\;Rg_3$ combined with BP groups had significant decrease of incidence $(40.0\%)$ respectively, with the inhibition rate being $35.5\%.$ While the tumor incidence was not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BP and 50 of $Rg_5,$ the incidence was $34.0\%\;and\;32.0\%$ in the group treated with BP and 100 and 200 of $Rg_5$, respectively. These incidence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e group treated with BP alone, with the inhibition rate being $45.2\%\;and\;48.4\%,$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treated with BP and 50 of ginsenoside $Rh_2,$ the tumor incidence was not decreased. However, the incidence was $40.0\%\;and\;38.8\%$ in the experimental treated with BP and 100 and 200 of $Rh_2,$ respectively, with the inhibition rate being $45.2\%\;and\;48.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cidence showed the tendency to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BP and 50 of BST which contained $16.2\%\;of\;Rh_2,\;15.4\%\;of\;Rg_3\;and\;2.5%\;of\;Rg_5.$ The tumor incidence was $54.0\%$ in this group. In the group treated with 100 and 200 of EST, the incidence was $34.0\%\;and\;30.0\%,$ respectively, the incidences significantly being lower than the group treated with BP alone, with the inhibiting rate being $45.2\%\;and\;51.6\%,$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ed that ginsenoside $Rg_3,\;Rg_5\;and\;Rh_2$ are the active components of red ginseng having a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and $Rg_5$ is the strongest cancer chempopreventive among them.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demonstrating that the incidence of lung tumor was more markedly reduced by BST fermented ginseng with fortified ginsenoside $Rh_2\;or\;Rg_3$ compared to the single component alone,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these components may remarkablely improve the cancer preventive effect

  • PDF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침윤억제 기전 (Mechanism of Anti-Invasive A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

  • 신소연;김용조;송경섭;;김나영;정소연;박지훈;서강식;허준영;권현주;박종일;박승길;권기량;윤완희;황병두;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1-571
    • /
    • 2010
  • 대장암은 미국 등 서양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번째로 많이 발병이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omega}3$-PUFAs를 많이 섭취한 인종에서 대장암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최근 ${\omega}3$-PUFAs는 수종의 암에 대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DHA 등 ${\omega}3$-PUFA의 항침윤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및 EPA는 대장암 세포주 SW480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AA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며 TUNEL assay로 apoptotic cell death가 확인 되었다. DHA는 $\beta$-catenin 단백 및 TCF/LEF lucifer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SW480 세포의 침윤능은 DHA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DHA처리 후 MMP-9 및 MMP-2 mRNA양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되었다. NF-kB 및 p-IkB 단백질양도 DHA의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F-kB promoter의 활성도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omega}3$-PUFA는 대장암에서 NF-kB 신호전달 차단에 의한 MMP-2 및 MMP-9 발현을 억제하여 침윤을 억제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omega}3$-PUFA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인체 구강암 세포주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세포독성 기전 (Cytotoxic Mechanism of Docosahexaenoic Acid in Human Oral Cancer Cells)

  • 홍태화;김훈;신소연;;정소연;임현;윤동혁;정기은;이명렬;박종일;권기량;박승길;황병두;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9-697
    • /
    • 2013
  • 오메가-3 지방산은 많은 암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고 보고 되어 왔으나 구강암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암세포에서 오메가-3 지방산 중 DHA의 세포독성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는 구강암 세포주 SCC-4 및 SCC-9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FACS 분석, TUNEL assay 및 PARP cleavage 등에 의해 자가사멸을 유도함이 확인 되었다. 또한 DHA는 LC-3II 단백증가, GFP-LC-3 dot 형성 및 autophagic flux assay 등에 의해 자가포식도 유도됨이 규명되었다. SCC-9 세포에서 AMPK의 인산화는 DHA 에 의해 증가 하였으나, p-$AKT^{Thr308}$, p-$AKT^{Ser473}$ 및 mTOR단백양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DHA는 구강암세포에서 AMPK 활성증가 및 AKT 억제에 통한 mTOR 신호경로 차단에 따른 자가사멸 및 자가포식에 의해 세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DHA는 구강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기전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sms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김은지;이용진;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6-523
    • /
    • 2006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한랭한 삼림지대에서 자라는 자작나무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항종양 및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차가버섯의 항암기전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대장암에서 유래한 HT-29 세포를 사용하여 차가버섯 물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차가버섯을 열수추출하여 냉동 건조하여 얻은 물추출물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100{\mu}g/mL$)로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차가버섯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다. 차가버섯 물추출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DNA합성은 감소하였고, apoptotic cell의 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Apoptosis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수준은 차가버섯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으나, cleaved caspase-8, -9, -3의 단백질 수준은 차가버섯에 의해 증가하였다. Caspase-8, -9, -3의 활성도 모두 차가버섯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aspase-3의 표적 단백질로 세포의 생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PARP단백질의 분해도 차가버섯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차가버섯 물추출물이 DNA합성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하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caspase 경로의 활성을 증가하므로써 apoptosis를 유도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차가버섯 물추출물을 대장암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Geldanamycin과 17-AAG가 구강편평세포암종 세포주에 미치는 암예방 효과 (Cancer Chemoprevention Effects of Geldanamycin and 17-AAG in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이은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2-469
    • /
    • 2018
  • HSP90은 세포성장, 분화, 생존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들의 안정화 및 활성조절을 담당 한다. HSP90은 구강을 포함하는 두 경부에 발생하는 편평세포암종의 발생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HSP90 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암을 치료하고자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구강 편평세포암종세포에서 증식과 세포주기에 대한 HSP90 억제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구강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세포의 생존능 측정, 세포주기분석, 전기영동 분석을 시행하였다. HSP90 억제제 처리 후 세포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효한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났고, YD-10B세포와 YD-38세포에 Geldanamycin과 17-AAG를 0, 0.1, 0.3, 1, $10{\mu}M$ 농도로 24 hr 처리한 결과 YD-38에 비해 YD-10B세포가 세포 성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유세포 분석기로 확인해 본 결과 G2 arrest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구강암 세포주 YD-10B 세포와 YD-38 세포에서 Geldanamycin은 G2 arrest를 유도하고, $p-GSK-3{\beta}$ pathway를 통하여 세포증식을 억제하여 세포생존을 막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SP90 저해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치료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Level of UVB-induced DNA Damage and Chemoprevention Effect of Paeoniflorin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oncytes

  • Lim, Jun-Man;Park, Mun-Eok;Lee, Sang-Hwa;Kang, Sang-Jin;Cho, Wan-Goo;Rang, Moon-Jeong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2호
    • /
    • pp.111-115
    • /
    • 2005
  • Ultraviolet (UV) radiation to mammalian skin is known to alter cellular function via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NA damage and DNA lesions, such as pyrimidine dimmers and photoproducts, which could lead to DNA mutation if they are not repaire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DNA damage and of apoptosis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genetic effect of paeoniflorin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 After UVB irradiation from $10\;to\;500mJ/cm^{2}$ to NHEK, Mean Tail Moments (MTM) were increased with UVB dose increase. The greatest amount of strand breaks was induced at $500mJ/cm^{2}$ of UVB. Even at the lowest dose of UVB ($10mJ/cm^{2}$), change in MTM was detected (P<0.0001). Pretreated cell with 0.1% paeoniflorin maximally reduced the level of DNA damage to about 21.3%, compared to untreated cell. In the lower concentrations less than 0.01% of paeoniflorin, MTM had a small increase but paeoniflorin still had reductive effects of DNA damage. We measured the apoptosis suppression of paeoniflorin with annexin V flous staining kit. As we observed under the fluorescence microscopy to detect apoptosis in the irradiated cell,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clearly increased in the untreated cell, but decreased in treated cells with paeoniflor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eoniflorin reduces the alteration of cell membranes and prevents DNA damage. Therefore, the use of paeoniflorin as a free radical scavenger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UV lights such as chronic skin damage, wrinkling and skin cancer can be useful to prevent the formation of photooxidants that result in radical damage.

Mechanism of Inhibition of Human Cytochrome P450 1A1 and 1B1 by Piceatannol

  • Chae, Ah-Reum;Shim, Jae-Ho;Chun, Young-J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4호
    • /
    • pp.336-342
    • /
    • 2008
  • The resveratrol analogue piceatannol (3,5,3',4'-tetrahydroxy-trans-stilbene) is a polyphenol present in grapes and wine and reported to have anti-carcinogenic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piceatannol, the effects on CYP 1 enzymes were determined in Escherichia coli membranes coexpressing recombinant human CYP1A1, CYP1A2 or CYP1B1 with human NADPH-P450 reductase. Piceatannol showed a strong inhibition of CYP1A1 and CYP1B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C_{50}$ of human CYP1A1 and CYP1B1 was 5.8 ${\mu}M$ and 16.6 ${\mu}M$, respectively. However, piceatannol did not inhibit CYP1A2 activity in the concentration of up to 100 ${\mu}M$. Piceatannol exhibited 3-fold selectivity for CYP1B1 over CYP1A1. The mode of inhibition of piceatannol was non-competitive for CYP1A1 and CYP1B1. The result that piceatannol did not inhibit CYP1B1-mediated $\alpha$-naphthoflavone ($\alpha$-NF) metabolism suggests piceatannol may act as a non-competitive inhibitor as well. In human prostate carcinoma PC-3 cells, piceatannol induces apoptosis and prevents Aktmediated signal pathway. Taken together, abilities of piceatannol to induce apoptotic cell death as well as CYP1 enzyme inhibition make this compound a useful tool for cancer chemo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