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ylobacter jejuni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8초

Ethyl 2,6-Di-O-benzyl-3-O-(3,4,6-tri-O-acetyl-2-deoxy-2-N-phthalimido-$\beta$-D-glucopyranosyl)-1-thio-$\beta$-D-galactopyranoside의 합성법의 개발 및 갈락토스 받게의 2,3,4-OH기들의 위치 선택성에 대한 연구 (A Facile Synthesis of Ethyl 2,6-Di-O-benzyl-3-O-(3,4,6-tri-O-acetyl-2-deoxy-2-N-phthalimido-$\beta$-D-glucopyranosyl)-1-thio-$\beta$-D-galactopyranoside and Studies on the Regioselectivity of 2,3,4-OH Groups of Galactosyl Acceptor)

  • 박정수;윤신숙;윤미경;전근호;남정이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49-558
    • /
    • 1998
  • Campylobacter jejuni 그램 음성균의 O-antigen 부위를 구성하는 반복 단위 삼탄당 합성의 주요 중간체인 이당류들을 글루코스아민 주게와 갈락토스 받게를 ${\beta}(1{\rightarrow}3)$ 클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함으로서 합성하였댜. 이들의 합성 과정에서 갈락토스 당 부위의 2, 3, 4 번 OH기들의 글루코스아민 받게에 대한 높은 위치선택성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2, 4번 OH에 대한 선택적 보호과정을 생략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합성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 PDF

D-알알 유도체의 1, 2-trans 글리코시드 형성 반응을 이용한 $\alpha$ -알트로피라노시드 결합을 갖는 이당류의 효과적 합성법의 개발 (A Facile Synthesis of Disacharides Containing $\alpha$ -Altropyranosidic Linkage by 1, 2-trans Glycosidation of D-allal Derivatives)

  • 최종락;윤신숙;전근호;남정이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8-83
    • /
    • 1998
  • Campylobacter jejuni 그램 음성균의 O-antigen 부위를 구성하는 삼탄당의 반복 단위를 합성하기 위해서 먼저 이들에 포함된 알트로헵토오스의 합성과 ${\alpha}$-알트로피라노시드를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알알 유도체에 선택적으로 1, 2-trans glycosidation을 시킴으로서 ${\alpha}$-알트로피라노시드 결합을 갖는 이당류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4, 6-O-Benzylidene-D-allal을 DMDO(3, 3-dimethyl diox-irane)와 반응시켜 1, 2-무수당 중간체를 만들고 아릴 알코올과 글루칼 유도체들과 반응시킨 결과 아릴 ${\alpha}$-알트로피라노시드 유도체와 ${\alpha}$-알트로피라노시드 결합을 갖는 이당류를 효과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으며 마노오스등에서 간접적으로 ${\alpha}$-알트로피라노시드를 만드는 기존의 방법을 대체할 새로운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비가열 섭취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 정승혜;허명제;주정화;김경애;오성숙;고종명;김용희;임정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0-25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잎채소의 미생물 오염을 평가하는 것이다. 신선한 채소에서 미생물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 및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Eschey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와 같은 식중독균을 검사하였다. 또한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일반 소비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수돗물 세척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척전후로 검사하였다. 깻잎, 미나리, 배추, 부추, 상추, 쑥갓, 참나물, 치커리의 8종류의 야채 124건을 인천 도매시장에서 채취하였다 야채 각각에 대해 총호기성균의 평균은 $2.2\times10^6\;CFU/g$부터 $6.0\times10^7\;CFU/g$이고, 총대장균군은 $4.1\times10^5\;CFU/g$부터 $9.8\times10^6\;CFU/g$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모두 3월부터 9월의 기간 중 여름철에 최고수치를 보였다. 수돗물로 세척한 후 감소율은 총호기성균은 81.0%이고 대장균군은 82.5%이었다. 식중독균은 Staphylococcus aureus 8.1%, Bacillus cereus 14.5%, Clostridium perfringens 5.6%, Escherichia coli 18.5%로 검출되었다. 이 중에서 11가지 검체에서는 두가지 균이 검출되었다. 각각의 야채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최고 검출율과 최저 검출율이 0.0% 에서 22.2%, Bacillus cereus가 0.0%에서 29.4%, Clostridium perfringens는 0.0%에서 23.1%, Escherichia coli는 0.0%에서 35.0%로 검출되었다.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신선한 야채에서의 병원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Characterization of Campylobacters Newly Isolated from Swine Gastric Mucosa

  • Lee, Yeon-Hee;Lee, Jin-Hui;Cho, Hyun-Joo;Shin, En-Joo;Park, Jong-Hwan;Park, Jae-Ha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6호
    • /
    • pp.778-783
    • /
    • 1999
  • Campylobacter is a pathogen for both humans and animals that can be transferred from animals to humans. Four isolates, which grew under 5-10% $CO_2$ and had small and translucent colonies, were obtained from swine gastric mucosa and characterized using various methods. These bacteria were gram negative, spirally shaped with round ends. One or two non-sheathed polar flagella were observed under electron microscopy. A PCR with species-specific protein (SSP) primers for 16S rRNA gene in Campylobacter produced a typical 462 bp fragment. The isolates had various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which differentiated them from other Campylobacters. The isolates were catalase and oxidase positive, urease (rapid) negative, nitrate reduction positive, indoxyl acetate hydrolysis positive, y-glutamyl transpeptidase negative, and alkaline phosphatase negative. All four isolates showed growth at $37^{\circ}C{\;}and{\;}42^{\circ}C{\;}but{\;}not{\;}at{\;}25^{\circ}C$, were resistant to cephalotin and cefoperazone, and susceptible to carbenicillin. The isolates showed various results in the reduction of chloride to triphenyl tetrazolium (TTC) and a susceptibility to nalidixic acid. Western blot analysis of these isolates with antiserum raised against one isolate showed different patterns from those of reference strains. A dendrogram drawn with the RAPD results showed that these isolates belonged to a new Campylobacter spp. group different from those of C. jejuni, C. doylei, C. lari, and C. coli.

  • PDF

PCR Kit와 선택배지를 이용한 계란의 병원성세균 검출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PCR Kit and a Selective Medium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in Eggs)

  • 김동호;윤혜정;송현파;임상용;조민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65-970
    • /
    • 2009
  • 유통중인 계란의병원성균 오염상태를 시판되는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PCR) kit로 검사한 결과, 총 90개의 검사시료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검출된 계란시료는 30개로,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3.3% 수준이었다.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Y. enterocolitica는 16개(17.8%), L. monocytogenes 15개(16.7%), St. aureus 12개(13.3%), E. coli O157:H7 4개(4.4%)의 검출빈도를 보였다. 한편, 선택배지를 이용한 viable cell count 방법에서는 27개의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어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0.0% 수준이였으며,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14개(15.6%) 시료로, Y. enterocolitica는 16개(17.8%)에서 12개(13.3%)로, L. monocytogenes는 15개(16.7%)에서 13개(14.4%)로, St. aureus는 12개(13.3%)에서 10개(11.1%)로 감소하였으며, E. coli O157:H7은 두 가지 검출방법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출 대상 미생물 9종 가운데 Campylobacter jejun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및 Shigella spp.는 두 방법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CR을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 방법은 viable cell count 방법보다 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박테리오신 OR-7을 생산하는 항균 효모의 제작 (Construction of A Bacteriocidal Yeast Producing Bacteriocin OR-7)

  • 이옥희;장민경;이동근;이재화;하종명;하배진;안익용;조동인;이상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1-105
    • /
    • 2008
  • 박테리오신의 일종인 OR-7을 생산하는 효모의 제작을 위하여 180 bp 길이의 개시코돈과 종지코돈을 포함하는 OR-7의 유전자를 합성하여 효모 발현 vector pAUR123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DNA를 작성하였다. 재조합 DNA로 형질전환된 효모가 박테리오신 OR-7 생산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효모로부터 분리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PCR로 확인하였고, OR-7의 생산은 SDS-PAGE로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효모는 그람양성 대표세균인 고초균(B. subtiliws)과 그람음성 장내세균인 대장균(E. coli)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농흉이나 중이염의 원인이 되는 녹농균(P. aeruginosa)과 식중독균(C. jejuni)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부패하기 쉬운 식품들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존제 대체물질 또는 가축 사료에서 병원균의 생육을 저해하기 위한 항생제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박테리오신을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모세포를 제작하였다.

우리나라 도계장 수거계육의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조사 (Survey on the Statu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hicken Meats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in Nationwide)

  • 우용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6-192
    • /
    • 2007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규모로 15개 시 도에 위치한 도계장에서 직접 수거한 도계육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도 조사로서 총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포도상구균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특히 주요 인수공통 병원성 세균들인 Salmonella 속균과 Campylobacter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E. coli O157:H7 균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도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처리를 위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인 염소(20mg/L포함)를 첨가한 염소수로서 수세한 처리계육과 그렇지 않은 비처리 도계육 상호간에 대해서도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과 기타 균종의 억제효과에 대해서도 비교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로서 강원지역을 비롯한 전국 6개 시 도의 도계장 유래 계육에 대해서 세균오염도의 비교조사에서는 포도상구균수, 대장균군수 및 총세균수의 순서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이 성적은 시판계육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보다는 $10{\sim}100$배 이상 낮은 오염도 성적이었다. 그리고 동일계육에 대한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은 63.3%(19/30)였고, S. enteritidix (33.3%)가 가장 지배적인 혈청형이었으며, 동시에 S. typhimurium (3.3%), S. muenchen (30.0%)도 분리되었다. 하편, 염소수로 세척한 도계육은 총세균수와 대장균군수의 비교조사에서 비처리 계육보다도 약 100배정도로 균수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포도상구균수에서는 양자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알았다. 또한 Salmonella 속균에 대한 억제효과의 비교조사에서도 20 ppm의 염소처리로서는 포도상구균과 마찬가지로 Salmonella 속균에 대해서도 뚜렷한 억제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보다 확대된 규모의 조사결과에서 제주도를 포함한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전남, 광주, 전북, 충남, 대전, 충북, 강원, 서울, 인천 및 경기지역을 포함하여 총 15개 시 도의 도계장 수거계육에서 Salmonella속균은 58.3%(67/115)에서 분리되었고, S. muenchen (57.3%)과 S. enteritidis (22.7%)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수공통병원균 중에서는 L. monocytogenes(43.5%), C. jejuni(37.4%), S. aureus(30.4%)의 순서로 분리되었으나, E. coli O157:H7은 국내 계육에서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도계육이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시판되기 위해서는 최종적인 도계공정 이후 다양한 유통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교차 및 추가오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한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 대책과 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식중독 세균 신속 검출방법 및 Liposome immunoassay를 이용한 검출법의 개발

  • 김명희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년도 제31차 춘계 학술대회
    • /
    • pp.15-23
    • /
    • 2003
  • 식품으로 인한 질병은 개인의 생명을 위협할 뿐 아니라 건전한 노동력의 상실로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의료비를 증가시켜 개인의 행복 및 국가 경제에 부담을 준다 (Buzby et al. 1996, Mead et at. 2000). HACCP와 여러 식품안전에 관한 규제의 시행 등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Salmonella serotypes, Staphylococcus aureus, Camp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enterotoxigenic and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와 같은 식품기원 병원성 세균으로 인한 질병은 줄어들고 있지 않다. 오히려 외식 위주로 변해가는 생활습관은 식품을 통한 이들 병원성 세균의 전파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게다가 새로운 병원성균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0157:H7, Aeromonas spp., Plesiomonas spp.) 의 출현 또는 특정 식품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특정 subtype (Salmonella serotype Enteritidis) 의 출현은 이제까지 통용되어왔던 식품기원 세균을 위한 제어프로그램과는 다른 각도로 재원을 활용해야 할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 PDF

살모넬라 감염 후 발생한 길랑-바레 증후군 1예 (Case of Guillain-Barre Syndrome Following Salmonella Typhi Infection)

  • 이지현;하상욱;문지수;김민정;유봉구;김광수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7권1호
    • /
    • pp.25-27
    • /
    • 2005
  • The Guillain-Barre syndrome (GBS) is an acute polyradiculoneuropathy marked by flaccid areflexic paralysis. Although the pathogenesis of GBS remains incompletely defined, considered as an autoimmune disease most frequently triggered by an previous infection. Antecedent infections with Campylobacter jejuni, cytomegalovirus, Ebstein-Barr virus, Mycoplasma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enterovirus, rotavirus are common. But, it is rare that GBS following typhoid fever. We present a case of typical GBS after antecedent Salmonella typhi inf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