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orific value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9초

Characterization of MABIK Microalgae with Biotechnological Potentials

  • Jo, Seung-Woo;Kang, Nam Seon;Lee, Jung A;Kim, Eun Song;Kim, Kyeong Mi;Yoon, Moongeun;Hong, Ji Won;Yoon, Ho-Sung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0-49
    • /
    • 2020
  • This article emphasize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marine microalgal strains obtained from the cultur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arine Biodiversity Institute of Korea (MABIK). Therefore, in this study, 13 different marine microalgal strains belonging to the phylum Chlorophyta were analyzed for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elements, photosynthetic pigments, and monosaccharides, as well as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primary fatty acids were palmitic (C16:0), palmitoleic (C16:1 n-7), stearic (C18:0), oleic (C18:1 n-9), linoleic (C18:2 n-6), and α-linolenic (ALA, C18:3 n-3) acid in the evaluated microalgae. The lipid contents of heterotrophically grown strains ranged from 15.1% to 20.4%. The calorific values of the strains were between 17.4 MJ kg-1 and 21.3 MJ kg-1. The major monosaccharides were galactose, glucose, and mannose, while the primary photosynthetic pigments were chlorophyll-a (Chla), chlorophyll-b (Chlb), and lutei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microalgal strains showed high potentials in the use of microalgae-based technologies to produce biochemicals, food, and renewable fuels as they are rich in sustainable sources of high-value bio-compounds, such as antioxidants, carbohydrates, and fatty acids.

에너지사용시설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 연구 -유연탄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CO2) from Bituminous coal Fired Power Plants)

  • 전의찬;사재환;이성호;정재학;김기현;배위섭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7-116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 for power plant using bituminous coal. The power plant is a major source of greenhouse gases among the sectors of fossil fuel combustion, thus information of its emission factors is very essential to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strategies for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se emission factors deriv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 S. EPA, AGO and CCL. The $CO_{2}$ concentrations in the flue gas were measured using NDIR analyser and the GC-FID with a methanizer. The amount of carbon (C) and hydrogen (H) in fuel was measured using an elemental analyzer. Calorific values of fuel were also measured using a calorimeter. Caloric value of bituminous coal used in the power plants were 5,957 (as received basis), 6,591 (air-dried basis) and 6,960 kcal/kg (dry basis). Our estimates of carbon emission factors were lower than those of IPCC. The CO2 emission factors for the power plants using bituminous coal were estimated to be 0.791 Mg/MWh (by carbon contents and caloric value of the fuel) and 0.771 Mg/MWh (by $CO_{2}$ concentration of the flue gas). The $CO_{2}$ emission factors estimated in this study were $3.4\sim 5.4\%$ and $4.4\sim 6.7\%$ lower than those of CCL (2003) and U. S. EPA (2002).

The amelioration of plasma lipids by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in middle-aged women: A cross-over study with western cookie

  • Hong, Sun Hee;Kim, Mijeong;Woo, Minji;Noh, Jeong Sook;Lee, JaeHwan;Chung, Lana;Song, Yeong 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6호
    • /
    • pp.590-596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lasma lipid profiles are affected differently by snack kinds with equal calorific values. SUBJECTS/METHODS: We compared a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dasik) with Western confectionery (cookie) in this regard. Controlled cross-over study consisted of two 3-week snack intake phases and for separating, a 2-week washout period (3-2-3) was carried out with 30 healthy women aged between 40-59 years old. Brown rice based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and wheat flour based Western confectionery were used. The participants consumed either dasik or cookie every day for 3 weeks, providing 93 kcal a day. RESULTS: The total cholesterol (TC) in the dasik group had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3 weeks (P < 0.05). Furthermore, in the dasik group, reduction in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cookie group (P < 0.05). CONCLUSIONS: Prioritizing functional snacks like dasik improves plasma lipid profiles; this may be useful information for individuals who cannot refrain from snacking.

벽지의 종합적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tal Fire Risk Assessment of Wallpapers)

  • 박미라;김광일;김태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벽지의 방염성능 및 열 안정성을 평가하고 연소가스인 CO, $CO_2$, HCN, HCl의 독성지수를 정량적으로 독성평가를 하여 벽지의 종합적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방염성능은 방염성능기준인 45。 연소실험방법으로 열 안정성은 DSC분석과 TGA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독성평가는 CO, $CO_2$, HCN, HCl 연소가스의 농도를 NIST N-GAS Model에 적용하여 독성지수로서 평가하였다. 위의 평가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염성능 평가결과 방염한 종이벽지, 콜크벽지, PVC벽지는 방염성능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 안정성 평가인 DSC분석 결과 미방염한 종이벽지, 콜크벽지, PVC벽지가 방염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저온부에서 발열개시가 되었으며, 더 많은 발열량을 내었으므로 열적으로 더 위험하였다. 그리고 TGA분석 결과 미방염한 종이벽지, 콜크벽지, PVC벽지의 분해속도가 방염한 것보다 휠씬 빨랐으므로 열 분해 위험성이 더 크다고 판단된다. 셋째, 연소가스 독성평가 결과는 방염한 종이벽지, 콜크벽지, PVC벽지가 미방염한 것보다 독성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종이벽지와 콜크벽지보다 PVC벽지가 상대적으로 독성지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액화기술 적용 식물체 잔사별 원유 생산량 비교 (Comparative Crude Oil Productions on Liquefaction of Crop Residues)

  • 신중두;윤순철;백이;박상원;최홍림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4호
    • /
    • pp.50-56
    • /
    • 2008
  • 본 연구는 볏짚, 보리짚, 밀짚 및 유채대를 이용한 액화공정을 적용하여 중유를 생산할 때 그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촉매제로 $K_2CO_3$, NaOH 및 KOH와 같은 촉매제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320^{\circ}C$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액화공정 시스템은 외부전기화로, 교반기 및 5,000ml 반응기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기에 식물체 잔사 160g, 증류수 2,000ml 및 촉매제를 혼합하였으며, 촉매제량은 식물체 잔사량의 10%(wt/wt)를 투입하였다. KOH 촉매제를 사용하며, 보릿짚을 이용할 경우 바이오매스 투입량과 비교하여 최고 중유 생산량은 29%였다. 바이오매스 발열량과 비교하여 식물체 잔사로부터 전환된 중유의 발열량은 55~66% 범위이었다. 밀짚으로부터 전환된 중유의 발열량은 약 6190 kcal/kg으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 PDF

Characterisation and Co-pyrolytic Degradation of the Sawdust and Waste Tyre Blends to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Yield of the Products

  • Shazali, Erna Rashidah Hj;Morni, Nurul Afiqah Haji;Bakar, Muhammad Saifullah Abu;Ahmed, Ashfaq;Azad, Abul K;Phusunti, Neeranuch;Park, Young-Kwon
    • 공업화학
    • /
    • 제32권2호
    • /
    • pp.205-213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pyrolysis of sawdust biomass and scrap tyre waste employing different blending ratios of sawdust to waste tyre such as 100:0, 75:25, 50:50, 25:75, and 0:100. The therm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eedstocks was carried out by employing the proximate, ultimate analysis, and thermogravimetric (TGA) analyses, calorific value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oupl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SEM-EDX) to select the blending ratio having better bioenergy potential amongst the studied ratios. The blending ratio of 25:75 (sawdust to waste tyre) was selected for the co-pyrolysis study in a fixed-bed pyrolysis reactor system based on its solid biofuels properties such as heating value (30.18 MJ/kg), and carbon (71.81 wt%) and volatile matter (63.82 wt%) contents. The pyrolysis temperatures were varied as 500, 600 and 700 ℃ while the other parameters such as heating rate and nitrogen flowrate were maintained at 30 ℃/min and 0.5 L/min respectively. The bio-oil yields as 31.9, 47.1 and 61.2 wt%, bio-char yields as 34.5, 34.2 and 31.4 wt% and gaseous product yields as 33.6, 18.60 and 7.3 wt% at the pyrolysis temperatures of 500, 600 and 700 ℃ respectively were obtained. The blends of sawdust and waste tyres showed the improved energy characteristics which could provide the solution for the beneficial management of sawdust and scrape tyre wastes via co-pyrolysis processing.

식품부산물인 커피박과 폐식용유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파일럿 규모의 평다이 성형기로 제조한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의 연료적 특성 (Fuel Characteristics of Pitch Pine and Mongolian Oak Pellets Fabricated with Coffee Waste and Used Frying Oil as an Additive Using a Pilot-scale Flat-die Pellet Mills)

  • 양인;;한규성
    • 신재생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23-31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coffee waste (CW) and used frying oil (UFO) as an additive in the production of pitch pine (PIP) and Mongolian oak (MOK) pellets. Ash contents obtained from CW and UFO were 0.5% and <0.1%, respectively. The calorific values of UFO (31.4 MJ/kg) and CW (26.3 MJ/kg) are higher than PIP (20.6 MJ/kg) and MOK (19.1 MJ/kg). For pellets fabricated using a pilot-scale flat-die pellet mill, regardless of fabricating conditions, moisture content (MC) and bulk density of PIP and MOK pellets satisfied the A1 wood pellet standard for residential and small-scale commercial uses, as design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CW was used as an additive, durability of PIP pellets made with 12%-MC sawdust and MOK pellets increas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ing PIP and MOK pellets could be by adding 20 mesh CW as an additive and the using of 12%-MC sawdust. However, durability of PIP pellets and ash content MOK pellets did not satisfy the A1 wood pellet standard of NIFOS.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wood pellets with additives.

Co/HY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Bicyclo[2.2.1]hepta-2,5-diene 이량화를 통한 고에너지밀도 연료 제조 (Synthesis of High-energy-density Fuel through Dimerization of Bicyclo[2.2.1]hepta-2,5-diene over Co/HY Catalyst)

  • 김종진;심범석;이가영;한정식;전종기
    • 공업화학
    • /
    • 제29권2호
    • /
    • pp.185-190
    • /
    • 2018
  • Bicyclo[2.2.1]hepta-2,5-diene (norbornadiene)의 이량체는 고에너지밀도 연료로 사용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 담지가 HY 제올라이트 촉매의 산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norbornadiene의 이량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HY 제올라이트 촉매에 코발트를 담지하면 산점의 양은 큰 변화가 없으나 산 세기는 약해졌다. 이는 $Br{\ddot{o}}nsted$산의 감소와 Lewis산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HY 제올라이트와 Co/HY를 촉매로 사용하여 norbornadiene 이량화 반응을 수행한 결과, Co/HY 촉매는 HY 제올라이트 촉매보다 더 높은 norbornadiene 전환율과 norbornadiene 이량체수율을 나타내었다. Norbornadiene 이량화 반응에서 Co/HY 촉매의 활성이 HY 촉매보다 더 높은 것은 Lewis 산점의 역할이 더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Co/HY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norbornadiene 이량체의 밀도와 발열량이 문헌에 알려진 값과 잘 일치하며, 본 연구에서 제조한 norbornadiene 이량체가 고에너지밀도 연료로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첨가제로서 낙엽송의 수피 및 건조폐액이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k and Drying Waste Liquor of Larix kaempferi Used as An Additive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Fabricated with Rigida Pine and Quercus mongolica Sawdust)

  • 양인;채현규;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58-267
    • /
    • 2017
  • 리기다소나무와 신갈나무 목분에 낙엽송 수피 또는/그리고 인공건조시 발생하는 폐액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연료적 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고등급 목재펠릿 제조를 위한 원료 및 제조조건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첨가제에 대한 화학적 조성을 조사한 결과, 수피는 90% 이상의 전섬유소와 리그닌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폐액은 대부분 당 성분이라 추정되는 0.1%의 고형분을 가지고 있었다. 신갈나무 목분은 수피의 포함으로 회분 함량(2.2%)이 높았으며, 수피와 건조폐액도 4% 이상의 회분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분 및 첨가제의 발열량은 모두 국립산림과학원(NIFOS)에서 고시한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의 목재펠릿 1급 기준(18.0 MJ/kg) 보다 높았다. 피스톤형 펠릿성형기로 제조한 펠릿은 첨가제의 양이 2 wt%인 관계로 회분함량과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내구성의 경우, 대부분의 제조 조건에서 첨가제의 사용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한편 첨가제로 수피 그리고 목분의 함수율 조절을 위하여 건조폐액을 함께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첨가제없이 제조한 펠릿과 차이가 없었으며, 수피 또는 건조폐액을 각각 첨가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펠릿보다 낮았다. 그러나 펠릿 제조비용 측면에서 건조폐액은 폐수처리에 따른 수익이 가능한 관계로 수피와 건조폐액을 공동으로 펠릿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피스톤형 펠릿성형기로 제조한 펠릿의 연료적 특성 측정 결과를 토대로 파일럿 규모의 평다이펠릿성형기로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은 목분 및 첨가제의 사용과 상관없이 NIFOS 1급 기준($${\leq_-}$$10%)을 모두 만족하였다. 이에 대한 겉보기밀도와 내구성 측정결과를 종합하면, 첨가제의 사용은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목분 함수율을 10%로 조절하고 수피나 건조폐액을 사용하는 것이 그리고 신갈나무의 경우 12%의 목분 함수율에 수피를 사용하는 것이 각각의 최적 목재펠릿 제조 조건이라 생각한다. 신갈나무 펠릿의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 이 조건에서 제조한 목재펠릿의 품질은 NIFOS 목재펠릿 1급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수송용 연료의 물성 및 CO2 배출계수 산정연구 (A study on Property and CO2 Emission Factor of Domestic Transportation Fuel)

  • 강형규;도진우;하종한;나병기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72-81
    • /
    • 2014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기구(IPCC)는 온실가스 배출통계 작성과 관련한 국제적 기준을 정한 보고서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통계의 정밀도 및 난이도를 고려하여 Tier 1/2/3의 세 가지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경우 기존의 인벤토리 구축은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소비량을 교통수단별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 졌었고, 배출계수는 승용차의 계속적인 증가와 도로 구간 변화가 반영되지 못한 국내 교통상황에서 진행되었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있어 $CO_2$의 배출량은 연료에 따른 탄소 함량으로 산정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할 수 있다고 IPCC에서 제시함에 따라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 수송용 연료에 대하여 국가 고유 탄소 함량을 월별 또는 계절별 분석을 통하여, 국가 온실가스 통계의 정확도 제고와 최신 배출통계를 통해 앞선 기후변화 대응 대책 수립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