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f Diarrhea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한우에서 BVDV 지속감염우의 정액 성상에 관한 연구 (Semen Properties of a Hanwoo bull persistently infected by BVDV)

  • 김찬란;김민수;김남태;전익수;김성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1-208
    • /
    • 2017
  • 소에 있어서 BVDV는 반추류에서 중대한 감염을 야기하여 번식장애, 설사 및 유량감소를 야기하여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지속감염우의 확인과 도태는 농가 내 감염원을 제거하는 중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PI개체의 바이러스의 감염과 전파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입된 수컷에서 PI를 확인하였으며 전혈 검사를 실시 하면, PI 혈액 성상에서 림프구가 낮게 관찰되며 전체 WBC의 수는 정상범위에 속하나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I 수컷에서 생산된 정액은 정자 수가 매우 낮으며, 신선 정액의 생존성도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자 기형율 또한 증가되었으며 특히 공포와 중편부의 소적을 가진 기형정자의 비율이 높았다. PI수컷은 나이가 들수록 정액 성상이 불량하여 불임화되었고 이는 BVDV가 정소의 정자 생산능력을 낮추어 사출된 정액내 정자수 감소 현상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인된 PI 개체에 의한 전체군의 감염 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는데, 이는 적절한 백신 프로그램에 의하여 PI에 의한 간접적인 전파의 위험성이 낮다고 판단된다.

$textsc{k}$-Casein, GMP, Sialic Acid가 한우송아지 Rotavirus와 제주도 Bovine Rotavirus(JBR)의 MA-104 세포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xtsc{k}$-Casein, GMP and Sialic Acid on the Infection of MA-104 Cells by Korean Native Cattle Rotavirus and JBR)

  • 유제현;김종헌;박범석;유대환;신원선;김세민;지병주;송진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4-280
    • /
    • 2002
  • 로타바이러스는 유아와 어린 포유동물에 있어서 위장염을 일으키는 원인체로서 다양한 혈청형에 의해 발병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백신 개발이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분리 한우송아지 로타바이러스 S97과 JBR(Jeju island bovine rotavirus)에 $textsc{k}$-casein, GMf, sialic acid를 첨가하여 MA-104세포에 감염시켰을 때 그 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한우송아지 로타바이러스 597과 JBR을 무혈청 Ml99배지의 MA-104세포에 감염시켜 37$^{\circ}C$에서 6일간 회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다음, 로타바이러스 역가를 분석하였고, MA-104 세포에 활성화된 BRV를 감염시키고, $textsc{k}$-casein, GMP sialic acid를 각각 농도에 따라 첨가하여 15시간 배양한 다음 AEC 염색법으로 염색시켜 현미경 상에서 감염된 세포수를 계산하였다. 한우송아지 로타바이러스 S97과 GMR의 역가는 각각 2.5$\times$107과 2.0$\times$106 PFU/ml이었다. $textsc{k}$-casein, GMP의 농도 20001M에서 S97의 세포감염율은 97.4%와 97.44%로 나타났고, $textsc{k}$-casein, GWP의 농도 2000$\mu$M에서 JBR의 세포감염 억제율은 99.52%와 99.78%로 나타났다. Sialic acid의 농도 2000$\mu$M에서의 S97과 JBR의 세포감염 억제율은 3.85%와 3.63%로 나타났다. $textsc{k}$-casein, CU는 로타바이러스 S97과 JBR에 대해 농도 2000UM에서 97%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sialic acid는 억제효과가 거의 없었다. K-casein, GMP는 송아지뿐만 아니라 유아의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설사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한 및 무제한 포유방법이 홀스타인 송아지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 libitum and Restricted Milk Feeding on Growth Performance of Holstein Calves)

  • ;이현준;이왕식;기광석;김현섭;안병석;박수봉;홍중산;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71-880
    • /
    • 2006
  • 본 연구는 2개월간의 포유기간 동안 홀스타인 젖소 송아지를 무제한 포유방법을 사용하여 무제한 포유시 송아지의 최대 우유섭취량과 급여회수를 조사하고 관행의 제한 포유방법(10%/live weight, kg)과 송아지의 성장능력, 설사발생, 사료건물 섭취량 등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신생 홀스타인 젖소 20두를 공시하여 체중의 10%로 제한 포유구(conventional)와 무제한포유구(4~6회/일)로 각각 10두씩 구분하여 초유는 출생 후 3일 동안 급여하고 이후 60일령에 이유할 때까지 5일 간격의 체중조사 값에 따라 관행방법과 무제한 포유방법을 각각 개체별로 실시하였다. 무제한 포유송아지의 출생당일에 생체중의 13.49%에서 30일령에는 23.51%로 섭취량이 최대값을 나타났다가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유기간 전체 평균 우유섭취량은 관행포유구는 4.3kg, 무제한포유구는 9.8kg으로 나타났다(p<0.05). 어린송아지사료(젖떼기용 사료)와 혼합목초건초 섭취량은 시험송아지 모두가 일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40일령까지는 시험구간에 현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시험 전기간 동안의 관행포유구의 송아지가 건물 섭취량, 조단백 섭취량 및 가소화영양소총량(TDN) 섭취량에서 무제한 포유구의 것보다 각각 18.4%, 20.0% 및 18.9% 많이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1개월령과 2개월령 및 포유기간 전기간 동안의 송아지의 체중 증가에 있어서 무제한 포유구 송아지의 것이 관행구 송아지의 것에 비해 각각 49%, 18.4%, 26%의 증체효과를 나타냈는데, 20일령까지는 시험구간의 체중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지만 30일령이후 90일령(이유 후 30일령)까지는 무제한 구의 송아지의 체중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120일령 이후 180일령까지 체중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시험구간 체중은 비슷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료효율은 무제한 포유구의 것보다 관행구의 것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시험 전기간 동안 감기, 발열, 설사 등의 질병은 모든 시험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시험을 통해 우리는 무제한 포유방법은 이유 전 송아지의 빠른 성장과 건강유지에 도움이 됨과 이 영향은 최소한 90일령까지 지속된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