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Content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34초

연어 Frame 육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of Muscle From Salmon Frame)

  • 허민수;김형준;윤민석;박도영;박권현;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52-1456
    • /
    • 2008
  • 연어 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연어 frame 유래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연어 fillet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어 frame 근육의 일반 성분은 수분의 경우 73.2%이었고, 건물 100 g 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76.9%, 15.7% 및 4.1%이었다. 연어 frame 근육의 pH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6.63 및 16 mg/100 g으로 신선하여 수산가공원료로 사용 가능하였다. 연어 frame 근육의 헌터 색조는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각각 55.34, 16.60 및 19.99이었고, 색차가 48.83이었으며, 이는 fillet 근육에 비하여 명도의 경우 높았으나,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의 경우 낮았다.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연어 frame 근육이 542 mg/100 g으로 연어 fillet 근육의 612 mg/100 g에 비하여 낮았다. 연어 frame 근육의 지방산 조성, 총 아미노산 함량 및 칼슘, 인 함량과 같은 영양성분은 물론이고, 색조 및 냄새와 같은 관능평가의 결과도 연어 fillet 근육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가공 부산물인 frame 유래 근육은 연어 가공소재로 재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연어 frame 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nned Salmon Frame)

  • 박권현;윤민석;김정균;김형준;신준호;이지선;노윤이;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3-9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canned salmon frame and to characterize its food components. In the preparation of high-quality canned foods, the boiling water generated in the pre-heating process should be removed, and then the pre-treated canned salmon frame should be sterilized for an $F_0$ value of 12 m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canned salmon frame prepared under optimal conditions (CSFP) was 58.4% moisture, 15.7% protein, 21.4% lipid, and 3.5% ash. Based on the results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microbiological tests, the CSFP was acceptable. The sensory score for the color of CSFP was 4.1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canned salmon frame (CCSF).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scores for flavor and taste between CSFP and CCSF.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CSFP was 14.58 g/100 g, which was 4.9% lower than that of CCSF. The major amino acids in CSFP were aspartic acid (11.0%), glutamic acid (14.8%), and lysine (10.6%), which accounted for 36.4% of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The CSFP was high in calcium and phosphorus, while it was low in magnesium and zinc. The major fatty acids in CSFP were 16:0 (15.2%), 18:1n-9 (17.0%), 18:2n-6 (16.7%), 20:5n-3 (9.3%), and 22:6n-3 (8.8%). Based on the results, CSFP is a high-quality canned food in terms of hygiene and nutrition.

섬오갈피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물의 함량 변화 (Changes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by Harvest Time and Parts of Acanthopanax koreanum)

  • 좌창숙;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06-109
    • /
    • 2000
  •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Nakai)을 이용하기 위한 알맞은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용 성분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4년생 섬오갈피 나무의 성분 조성은 부위에 따라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이 각각 $2.98%{\sim}3.90%,\;1.93%{\sim}2.34%,\;3.52%{\sim}4.23%$이었다. 수확시기 및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은 평균적으로 K가 835.9 mg/100g, Ca 971.3 mg/100g, Mg 168.7 mg/100g, Na 38.8 mg/100g, Fe 18.6 mg/100g, Cu 8.5 mg/100g이었다. Ca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줄기와 뿌리에서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았다. 줄기에서의 당 함량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각각 $0.71{\sim}0.75%,\;0.31{\sim}0.03%,\;0.16{\sim}0.21%$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381.0\;mg/100g{\sim}504.9\;mg/100g$으로 수확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이었다. 아미노산은 12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33.56\;mg/100g{\sim}48.60\;mg/100g$으로 9월에 수확한 것이 가장 높았다. 줄기에 함유된 주요 아미노산은 argin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이었다.

  • PDF

동일비료연용(同一肥料連用)이 답토양(畓土壤)의 봄잡초(雜草) 발생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Annual Repeated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Occurrence of Paddy Weed in Spring)

  • 이재석;김상효;최대웅;윤재탁;박노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4-311
    • /
    • 1985
  • 본시험(本試驗)은 경상북도농촌진흥원(慶尙北道農村振興院)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8개(個) 연간(年間) 동일비료(同一肥料)를 연용(連用)하여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이 다른 답토양(畓土壤)에서 발생(發生)하는 봄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狀)이 크게 차이(差異)가 있어 처리별(處理別)로 발생(發生)된 초종(草種), 잡초(雜草)의 수량(收量),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 등을 조사(調査)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생(發生)된 전초종(全草種)은 1~6종(種) 이었는데 인산흠제구(燐酸欠除區)는 너도방동산이만 발생(發生)되었고 3요소구(要素區), N+P구(區), 3요소(要素)+퇴비구(堆肥區) 등은 4~6 종(種)으로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게 발생(發生)되었다. 2. 인산단용구(燐酸單用區), P+K구(區), NPK+퇴비구(堆肥區), 3 요소구(要素區) 등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가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고 인산흠제구(燐酸欠除區)와 질소단용구(窒素單用區)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3. 독새풀, 여뀌, 명아주 등의 발생량(發生量)은 토양중(土壤中)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1~5% 정(正)의 유의적(有意的)인 상관계(相關係)가 있었다. 4. 토양중(土壤中)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은 잡초(雜草)의 생육(生育)과 군락상호간(群落相互間)의 초종구성(草種構成)에 영향(影響)을 미쳤다. 5. 잡초중(雜草中)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보면 개여뀌, 명아주, 여뀌 등은 질소(窒素), 인산(燐酸), 석회(石灰) 고토(苦土) 등이 많았고 독새풀, 너도방동산이, 벼룩나물 등에서는 적었다.

  • PDF

돌나물 즙을 첨가한 젤라틴 젤리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duction of Sedum Extract Adding Jelly and Assessment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모은경;김현호;김승미;조현호;성창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9-624
    • /
    • 2007
  • 돌나물(Sedum sarmentosum Bunge)은 영양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산채류이나 저장성이 낮고 이를 이용한 가공 식품이 없어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식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돌나물의 이용률과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돌나물추출액을 첨가하여 젤라틴 젤리를 제조하고,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돌나물 젤리의 ascorbic acid 함량은 돌나물 즙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농도가 증가하였다. 돌나물 젤리에 함유된 양이온 농도를 측정한 결과, 칼슘은 대조구보다 4-28배가 증가하였고, 대조구에 없었던 철분은 각각 0.023-1.031 mg/100 g(젤리 건조 중량)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돌나물 즙 첨가 젤리는 영양소 강화 등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ascorbic acid, 칼슘, 철분 및 마그네슘 등의 영양소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돌나물 젤리의 녹색도(a value)와 황색도(b value)도 돌나물 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돌나물 즙 2% 첨가구와 3% 첨가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다. 돌나물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sol 상태)의 pH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돌나물 젤리의 hardness와 gumminess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와 0.5-1% 돌나물 즙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또한 돌나물 즙을 2% 첨가한 젤리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4Ca^{2+}$ on $Cd^{2+}$ -induced Physiological Toxicity in Commelina communis L.

  • Lee, Sun-Hwa;Lee, Joon-Sang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03-308
    • /
    • 2002
  • 3-weeks old Commelina was transferred to and grown in Hoagland solution ($\pm$ 100 $\mu{M}$ $Cd^{2+}$, 100 $\mu{M}$ $Cd^{2+}$ + 100$\mu{M}$ $Ca^{2+}$, 100 $\mu{M}$ $Cd^{2+}$ + 200 $\mu{M}$ EGTA) for two weeks and then a number of physiological activities was investigated. $Cd^{2+}$ reduced total chlorophyll content up to 29% at a week and 75% at two weeks. In the treatment of $Cd^{2+}$$Ca^{2+}$,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was reduced to 29% at a week and 80% at two weeks. $Cd^{2+}$ reduced 24% of Fv/Fm after two weeks. In case of $Cd^{2+}$$Ca^{2+}$, Fv/Fm was reduced 55% at a week, but after two weeks, the plants were almost dead and Fv/Fm could not be measured. When EGTA was treated with $Cd^{2+}$, the value of Fv/Fm was not affec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water potential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of $Cd^{2+}$+EGTA toy a week, but in other treatments. water potential was reduced. $Cd^{2+}$ reduced about 21% of water potential and $Cd^{2+}$$Ca^{2+}$ reduced 43% of water potential after two weeks. $Cd^{2+}$ inhibited 21% of photosynthetic activity at a week and 32% at two weeks. In case of photosynthetic activity, $Cd^{2+}$$Ca^{2+}$ inhibited 58% at a week and 73% at two weeks. $Cd^{2+}$+EGTA inhibited 15% of photosynthetic activity at a week and 21% at two weeks.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stomatal conductanc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treatment of $Ca^{2+}$ with $Cd^{2+}$ induced more reduction of a series of physiological responses than those of the treatment of $Cd^{2+}$ alone.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Ca^{2+}$ did not reduce the toxicity of $Cd^{2+}$, but enhanced $Cd^{2+}$ -induced physiological toxicities, but EGTA induced an decrease of $Cd^{2+}$ -induced physiological toxicities.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Ion에 의한 다당류내 1차 알코올의 특이적 산화 (Oxidation of Primary Alcohol Groups of Polysaccharides with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Ion)

  • 장판식;조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46-451
    • /
    • 1997
  • 구조와 용해도가 다른 4종류의 다당류(옥수수전분, 쌀전분, 고구마전분 및 셀룰로오스)내의 1차 alcohol group을 $25^{\circ}C$에서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unium (TEMPO)을 사용하여 carboxyl group으로 산화, 전환하였다. TEMPO/bromite 촉매를 이용한 산화반응계에서 최적 pH, TEMPO함량 및 NaBr 함량은 각각 $10.5{\sim}11.0$, 10 mmol/mol of primary alcohol, 0.49 mol/mol primary alcohol이였으며, 반응 최적조건하에서의 산화율은 4종류의 다당류 모두 90%이상이였다. 산화반응은 다당류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매우 증가시켰는 바, 물에 불용성인 셀룰로오스의 경우 산화에 의하여 8.42% (w/v)로 증가되었으며, 옥수수전분, 쌀전분 및 고구마전분과 같이 물에 거의 불용성인(0.10% (w/v) 이하) 다당류들도 약 45% (w/v) 수준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의 산화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산화물질은 $Ca^{2+}$이온과의 겔 형성능을 갖게됨을 확인하였는 바, 각종 gum, gel 및 film의 새로운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재배지역별 청양고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 황인국;김하윤;이준수;김행란;조명철;고인배;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340-13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74~19.98%, 지방함량은 4.54~7.17%, 회분함량은 6.07~9.81% 범위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지역별 차이를 보였지만 주요 무기성분은 K이었다. pH 및 총산도는 각각 4.86~5.26 및 2.10~4.25% 범위였다. 청양고추의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검출되었고 각각 8.55~17.06% 및 3.25~10.47% 범위로 지역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색도 중 a값은 28.89~37.12의 범위였고, ASTA값은 76.54~139.57의 범위로 a값에 비해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Capsaicin 함량은 100.27~261.54 mg%, dihydrocapsaicin 함량은 51.01~84.58 mg% 범위였고 capsaicinoid 함량은 11개 지역에서 200 m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양고추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한 함량 변이를 나타냈으며, 추후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재배지역에 따른 품종 특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on the Compon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 권순복;강희주;김민정;김진희;신해식;김강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4-244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ith the aim of obtaining basic data for utilizing the plant as a food ingredient, as well as for processing. Methods: Leaves and stem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harvested at Cheongcheon-myeon, Geosan-gun, Chungcheongbuk-do, and were subsequently freeze-dried and ground to a fine powder for chemical component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Results: The moisture conten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were respectively 65.07% and 40.97%, and the crude ash contents were 1.32% and 0.91%. In addi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11.97% and 3.77%, and the crude fat contents were 2.52% and 0.36%, respectively. Th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32.13 mg/g and 56.17 mg/g for leaves, and 11.38 mg/g and 10.59 mg/g for stem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leaves were palmitic acid (31.79%) and stearic acid (14.79%), and those for stems were linolenic acid (32.78%) and palmitic acid (26.75%).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leaves and stems were 1.32 mg/g and 0.30 mg/g respectively. The calcium conten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minerals tested, both in the leaves and stems, with the levels being 166.17 mg/100 g for leaves and 592.34 mg/100 g for stems. The content of organic acid was greater in leaves than in stems, with that of malic acid accounting for more than 75% of total organic acids for both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50.64 mg/g and 13.53 mg/g in leaves and 96.47 mg/g and 18.53 mg/g in stems, respectively. No changes were shown in the number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MNPCE) among 2,000 polychromatic erythrocyte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in order to investigate acute toxicity. The $LD_{50}$ values in rats were above 2,000 mg/kg.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an be used as natural ingredients i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materials.

천연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njang(Soy Sauce) Fermentation with Bamboo Sap, Xylem Sap and Gorosoe)

  • 조숙현;최용조;오주열;김낙구;노치웅;최철웅;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4-30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수액으로 채취하는 수종인 대나무, 참다래 나무, 고로쇠나무의 수액을 이용하여 메주에 천일염과 죽염을 섞어 재래식 제조방법으로 3개월 발효 숙성시킨 후 간장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천일염으로 제조한 참다래수액 간장이 높았으며, 색도는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보다 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색도(명도)가 높았고, 식염과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참다래수액 간장이 높게 나타났다. 수액종류에 따른 간장의 유기산 조성은 mal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무기물은 대나무수액에 천일염으로 제조한 간장이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칼슘함량이 4배정도 높았다. 수액간장의 총 아미노산함량은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참다래수액간장이 2배, 고로쇠수액간장이 1.4배로 높았고, alanine과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다. 또한 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항산화능을 살펴보면 천일염으로 제조한 대나무수액에 천일염으로 제조한 간장이 우수하였고, 관능검사 결과 고로쇠수액에 천일염으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