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 excre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인의 일상식이를 섭취하는 여대생들의 칼슘 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 Metabolism of College Women eating Usual Korean Diet)

  • 유춘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11호
    • /
    • pp.1049-1055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calcium metabolism in seven healthy college women, aged from 19 to 21 years old. For this purpose, metabolic studies were conducted for two weeks. During the first week, the subjects ate experimental diet which nutrients composition was similar to their usual intake. And during the consecutive second week, they ate the same experimental diet supplemented with 500mg of calcium dai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Fecal excretion of calcium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ut urinary excretion of that did not show any change after supplementary intake of calcium. 2) Mean apparent calcium absorption was 28.5% and retention was 182mg/day when subjects ate the experimental diet without calcium supplementation. Calcium retention was significantly ate the experimental diet without calcium supplementation. Calcium retention was decreased to 24.1% by additional intake of calcium. 3) Phosphorus balance did not show any change after additional intake of calcium. 4) Serum calcium level was also not changed by additional intake of calcium. 5) Serum calcium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P<0.05) but serum phosphorus level did not show any change after additional intake of calcium.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tion of 500mg calcium daily can be helpful to increase calcium retention as well as the peak bone mass in young women eating usual Korean diets.

  • PDF

일상식이를 섭취하는 일부 한국 농촌여성의 Mg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g Status in Adult Korean Rural Women on Self-Selected Diet)

  • 승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1호
    • /
    • pp.25-36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g stat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Mg the blood pressure in 30 healthy women, 26 to 57 year of age,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 Dietary intake of the subjects on self-selected diet were recorded. Duplicated food sample and 24-hour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or 3 days. Mean daily dietary Mg intake level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alysis of duplicated food samples and mean daily urinary Mg excretion was measured from urine samples. Fasting serum Mg levels of each subjects was measured on the 3rd day of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mean daily intakes of energy, protein were 1770.36㎉ and 55.55g, respectively. Carbohydrare, fat and protein supplied 77.1%, 10.4% and 12.5% of total energy intake. 2) The dietary M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bohydrate(P<0.05), vitamin A and vitamin B2(P<0.01), energy, Ca, P, fiber, vitamin B1 and niacin(P<0.001),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P<0.05). 3) The daily mean intake of Mg was 259.07$\pm$74.54mg and the urinary excretion of Mg was 75.48$\pm$33.14mg which was 29.5% of the dietary intake of Mg.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he dietary intake and the urinary excretion of Mg. 4) The dietary fiber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BP and DBP(P<0.05). 5) The serum and urinary concentrations of Mg were normal range and the serum M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etary vitamin C(P<0.05, r=-0.3655). It was concluded that the dietary Mg level of Korean rural women consuming self-selected diets was lower than that of RDA of American women but higher than that of RDA of Canadian. And the dietary intake levels of Mg and fiber, which are contained mostly in cereals and vegetables are useful to prevent hypertention.

  • PDF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횐쥐의 장기능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Bowel Function and Serum Lipid in Rats)

  • 왕수경;윤은영;임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0-567
    • /
    • 1996
  • 본 연구는 기능성 식이섬유음료의 섬유급원인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장기능 및 혈청내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Drague-Dawley(평균 체중 819)의 흰쥐를 3군으로 나누어 control군으로 무섬유소 식이군(IC), 섬유소간의 비교를 위해 5% pectin군(IP), 5% 난소화성 덱스트린군(ID)으로 6주간 사육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은 식이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 섭취량이 높을수록 체중 증가량이 증가하였다. ID군이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각군간의 간, 비장, 콩팥의 무게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부고환 지방의 무게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IP군이 가장 적었고 ID군도 IC군 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다. 맹장의 무게는 섬유소를 섭취하지 않은 IC군 보다 ID군에서 유의적으로(p<.05) 무거웠으며, IP군도 IC군 보다는 무거운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 무게와 길이도 ID군과 IP군이 IC군 보다 더 무겁고 긴 경향을 보였다. 배설된 변량은 ID군과 IP군이 IC군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 장 통과시간은 IP군이 다른 군 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ID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모두 IC군에서 높아 pectin이나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고지혈증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변내 지방 함량은 IP군이 가장 많았고(p<.05), ID군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IC군 보다는 많아서 지방의 흡수율이 IC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Ca의 흡수율은 IP군이 가장 낮았고(p<.05), ID군과 IC군과는 별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식이음료 중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장 통과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전반적인 장기능을 증진시키고, Ca의 홉수를 방해하지 않고 지방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내 지방대사에 다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성인 여성의 단백질 섭취수준과 동.식물성 급원이 칼슘 및 인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s and Sources on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in Young Korean Women)

  • 구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2호
    • /
    • pp.124-131
    • /
    • 1991
  • 식이 단백질 섭취수준 및 동·식물성 단백질 급원이 칼슘 및 인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10명의 한국성인 연성을 대상으로 26일간의 통제 식이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사실험 연구는 6일간의 적응기간과 10일간의 중단백식이(60g 단백질 545mg Ca)와 10일간의 고단백질 식이(90g 단백질 575mg Ca)로 구성되었다 중·고단백 식이기간 동안 동물성 단백질(75%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75% 식물성 단백질) 식이군으로 나누어 같은 식이에서 중단백식이 후 고단백식이를 섭취토록 하였고 실험식이 마지막 4일간은 각 2명에게 300mg 칼슘을 보충시켰다. 칼슘 흡수율은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시 동물성 단백질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칼슘 보충은 급원에 관계없이 칼슘 흡수를 증가시켰다. 중단백 식이기간 동안 동물성과 단백질 식이에서 칼슘흡수율은 약 30% 이었으며 고단백질식이 기간 동안 동물성 단백질에서 46% 식물성 단백질에서 37% 이었다. 칼슘을 보충시켰을 때 중단백 식이기간동안 칼슘 흡수율은 약 46% 이었으며 고단백 식이군에서 53%이었다 뇨중 칼슘배설은 단백질 섭취수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동물성 단백질 식이에서 식물성 단백질 식이보다 칼슘배설양이 많았다. 칼슘 균형을 단백질 섭취증가와 칼슘 보충으로 호전되었다. 인의 흡수는 단백질 섭취수준에는 영향을 받지않았으며 인 섭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인 흡수율은 동물성 단백질 식이군에서 약 77∼81% 로 식물성 단백질 식이군에서의 55∼65%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단백질 섭취수준 60g에서 90g으로의 증가와 칼슘보충은 뇨중 칼슘 배설에는 영향을 주지않으며 칼슘 흡수를 증진시켜 칼슘균형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육성돈에 있어 성장 및 영양소 배설에 대한 미생물성 Phytase의 첨가 효과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Excretion in Growing Pig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민병준;이원백;문태현;이지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5-94
    • /
    • 2002
  • 시험 1은 개시시체중 38.630.68kg의 3원 교잡종 육성돈 80두를 공시하여 26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RC(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대조구(CON, adequate P diet), 대조구 사료에서 총 인의 함량을 20% 낮춘 사료에 미생물성 Phytase를 500FTU/kg를 첨가한 처리구(Low-p, Low P diet+500FTU/kg microbial phytase, (주)이지 바이오시스템)로 2개 처리로 하였다. 총 26일간의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 증체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Low-P 처리구가 더 높았으며,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Low-P 처리구의 질소, 조회분, 칼슘 그리고 인 소화율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시험 2는 개시시체중 32.7kg의 3원 교잡종 육성돈 6두를 공시하며 12일간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시험 1과 동일한 처리구로 하였다. Low-P 처리구의 질소(8.70 vs. 6.43g/d), 조회분(38.13 vs. 25.33g/d), 칼슘(6.03 vs. 3.93g/d) 및 인(4.53 vs. 2.77g/d) 배설량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육성돈 사료의 총 인 함량을 20% 낮추어도 미생물성 phytase를 첨가하면 돼지의 성장이나 영양소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자료는 저공해성 사료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칼슘의 보충 섭취가 한국 청년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in Normotensive Young Korean Adults)

  • 이정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4호
    • /
    • pp.232-241
    • /
    • 198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the reduction of blood pressure in normotensive young adults. Fortyseven healthy college students(23 male and 24 female) were divided into Ca and placebo groups, and were orally given with calcium(1g/day, 2.5g as CaCO3) and placebo, respectively, for 20 weeks. Blood pressure was measured by Korotokoff method in seated position every two weeks. Average daily dietary calcium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626-643mg in men and 513-552mg in women. Average initial level of serum calcium of the subjects belonged to normal range. 1.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BP and DBP) of Ca group showed significant continuously decreasing tendency from 6-8 weeks until final 20 weeks of the supplementation in both men and women. But placebo groups did not. Comparing with the basal value, reduction of SBP and DBP after 20 weeks were 6.53$\pm$4.30%(8.9mmHg) and 8.10$\pm$3.30%(7.4mmHg) in men, and 6.56$\pm$2.41%(8.1mmHg) and 7.33$\pm$3.75%(6.2mmHg) in women. The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seemed to be greater in the subjects with higher basal SBP. 2. Serum calc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alcium supplementation in both men and women, and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r=-.213) and DBP(r=-.301) in women. Serum Ca/Mg ratio of Ca group was also elevated and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BP(r=-.174) and DBP(r=-.194) in total subjects. 3. Urinary excretion of N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by calcium supplementation in both men and women and showed no correlations with blood pressures.

  • PDF

소아에서 소변 Na/K 비를 통한 칼슘 배설량 예측 (A Study on Method for Screening of Hypercalciuria in Children)

  • 고한성;최정훈;최병민;유기환;홍영숙;이주원;김순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11-16
    • /
    • 2000
  • 목 적 : 소변내 Ca 배설량을 측정하는데 있어 24시간 뇨 Ca 배설량 측정이 흔히 사용되어 왔으나, 이의 결과를 알기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어 빠른 시간내에 결과를 알 수 있는 간편한 검사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소변내 Ca 배설량이 소변내 sodium(Na), potassium(K), creatinine(Cr)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 착안하여 일회뇨(Spot urine) Na/K 비를 이용하여 요칼슘배설량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5월부터 7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소아과에 비뇨기계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 84명을 대상으로 spot urine에서 Na, K, Ca, Cr를 측정하여 Ca/cr비와 Na/K 비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고칼슘뇨증 (Ca/cr비 >0.21)으로 예측할 수 있는 Na/K 비의 cut off value를 계산하여 그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를 구하였다. 결 과 : 1) spot urine Ca/cr비와 Na/K비와는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r=0.496,P<0.001, Ca/cr=Na/K x 0.01671-0.061). 2) 고칼슘뇨증으로 예측할 수 있는 spot urine Na/K비의 cut off value를 2.68로 정했을 경우 민감도 $100\%$, 특이도 $54.5\%$, 양성예측도 $37.5\%$, 음성예측도 $100\%$를 보였다. 결 론 : 소변내 Ca 배설량을 예측하는데 spot urine Na/K 비를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이는 고칼슘뇨증의 선별에도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

이온성 고분자를 이용한 나트륨 섭취 감소 효과 (Effect of Ionic Polymers on Sodium Intake Reduction)

  • 박세현;이영주;이종휘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533-538
    • /
    • 2013
  • 염화나트륨은 우리 몸의 체액에 존재하며, 혈액 속에 약 0.9 wt%의 농도로 존재하여 삼투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섭취하는 소금의 양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과량 섭취로 인해 고혈압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적합성 이온성 고분자들의 특정 반대이온을 칼슘과 칼륨으로 치환시켜 나트륨 이온과의 이온교환을 통해 고분자에 나트륨이 흡착되어 대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지를 in vitro 실험과 in vivo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조사된 고분자들 중 칼슘과 칼륨의 폴리스티렌설폰산, 칼슘 치환된 카라기난과 타마린드가 우수한 나트륨 치환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체온과 인공위액 및 인공장액의 조건에서도 나트륨 치환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분자들의 난용성 특징을 통해 구강 내에서는 맛의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나트륨을 흡착해 배설하는 메카니즘을 나트륨 과다 섭취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 음료가 카드뮴 섭취 흰쥐의 카드뮴 축적과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Beverages on Cadmium Accumulation and Excretion in Rats Given Cadmium)

  • 김태경;박범호;이상일;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68
    • /
    • 2008
  • 말차, 오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가 Cd에 중독된 SD계 흰쥐의 해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일반 물 추출물에 비하여 색상, 향, 맛에 대한 기호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오룡차 음료가 4.18점, 홍차음료가 4.14점으로 말차음료나 보이차 음료의 $3.74{\sim}3.88$점에 비하여 높았다. SD계 흰쥐를 정상군 (NC), Cd 대조군(Cd-Co), Cd투여 말차음료 15% 급여군 (Cd-Gt), Cd투여 오룡차음료 15% 급여군(Cd-Ot), Cd투여 홍차음료 15% 급여군(Cd-Bt) 및 Cd투여 보이차음료 15% 급여군 식이군(Cd-R)의 6군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차 음료 식이군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Cd에 의하여 감소된 현상을 상당히 개선하였다. 식이효율, 뇨량 및 분변량은 각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d의 투여는 간과 신장의 중량, 경골의 중량 및 대퇴골의 길이를 감소시켰으나 차 음료의 섭취로 다소 개선되었다. 혈청 AST 및 ALT 활성은 모두 Cd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대퇴골의 조회분 함량은 Cd-Co군에서 40.72%, Cd 투여-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35.31{\sim}37.02%$로 차음료의 급여에 의하여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조회분 함량은Cd-Co군에서 40.72%, Cd 투여-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35.3{\sim}37.02%$로 차음료의 급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Cd함량은 NC군에서는 0.08 ppm이었으나 Cd-Co군은 123.28 ppm, 실험식이군에서는 $23.07{\sim}28.82 ppm$으로 차음료의 급여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Ca 함량은 NC군에서 6700 ppm, Cd-Co군에서 3760 ppm, 실험식이군에서는 $4040{\sim}5420 ppm$이었다. 분변의 회분함량은 Cd-Bt군이 14.80%로 높았으나 기타 음료군은 Cd-Co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변의 Cd 함량은 NC군 0.02 ppm, Cd-Co군 2.06ppm, 실험식이군 $4.38{\sim}5.35ppm$로 차 음료 급여군에서 높았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Ca함량은 차음료 급여군에서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말차, 오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는 상호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으나 모두 섭취한 Cd를 체외로 배설시킴으로서 Cd에 의한 장기 손상을 경감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Dietary Energy Concentration and Lysine on the Digestible Energy Ratio for Apparent Amino Acid Digestibility in Finishing Barrows

  • Cho, S.B.;Lee, H.J.;Chung, I.B.;Long, H.F.;Lim, J.S.;Kim, Y.Y.;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232-236
    • /
    • 2008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energy levels and four lysine:digestible energy (DE) ratios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finishing pig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2{\times}4$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wenty-four cross-bred finishing barrow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64.2{\pm}0.69kg$ were assigned to one of eight treatments. Each barrow was placed in an individual metabolism crate and dietary treatment and water was provided ad libitum. Diets were designed to contain lysine:ME ratios of 1.5, 1.8, 2.1 and 2.4 g/Mcal at 3.35 and 3.6 Mcal/kg of diet in a $4{\times}2$ factorial arrangement. Dry matter (DM), ash, Ca and P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energy density or lysine:DE ratios. Crude fat digestibility increased as the energy density increased from 3.35 to 3.6 Mcal of DE/kg. Increasing the lysine:DE ratio also increase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energy density and lysine:DE ratio in terms of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excretion via feces was not affected by energy density and lysine:DE ratio, while nitrogen excretion via uri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energy density and lysine:DE ratio.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all amino acids except for isoluecine, arginine and aspartic acid as well as average values of essential amino (EAA), non-essential amino acids (NEAA) and total amino acid digestibility (p>0.05) were not affected by energy density.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all amino acids except for leucine, proline, alanine and tyrosine, NEAA and total amino acid digestibilit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lysine: DE ratio (p<0.05). Interactive effects of energy and lysine:DE ratio also significantly affected amino acid digestibility except for isoleucine, alanine, cystine, leucine, phenylalanine, glutamine and proline (p<0.0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intaining the appropriate lysine:DE ratio becomes more important as the energy density of the diet increase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lysine:DE ratio can result in increase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and urinary nitrogen excretion, although apparent protein digestibility and nitrogen excretion were not affected by energy density Furthermore, increasing the lysine:DE ratio also increase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essential amino acids, except for leucine, regardless of energy density. The optimum lysine:DE ratio for maximum essenti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the $64.2{\pm}0.69kg$ pig is approximately 2.4 g of lysine/Mcal of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