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g ratio

검색결과 775건 처리시간 0.035초

PDP 보호막용 MgO 박막의 저전압 특성에 미치는 알카리토금속산화물 첨가 효과 (Effect of Alkaline Earth Metal Oxides addition on the Low-voltage Characteristics of MgO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AC PDPs)

  • 조진희;김락환;김정열;이유기;김희재;박종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41-445
    • /
    • 1999
  • Alkaline earth metal oxides were added to the conventional MgO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dielectric materials to have lower firing voltage(Vf) of the plasma display panel(PDP). Panels with various protective layers of MgO-alkaline earth metal oxides were prepared on glass by using e-beam evaporation and its effect on firing voltag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a-Mg)O films had poor voltage characteristics because of higher activation energy of BaO. But, (Sr-Mg)O, (Ca-Mg)O and (Ca-Sr-Mg) O had better voltage characteristics than the conventional MgO. A mixture film of (Mg-Ca-Sr)O show the lowest firing voltage which is less than that of MgO by 20V. The chemical composition to have lowest firing voltage is MgO:SrO:CaO ratio of 6:2:2. The mixture of MgO-Alkaline earth metal oxides films showed good transmittance properties within the visual range.

  • PDF

사춘기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인자 및 혈액과 뇨중 무기 이온 농도 (Dietary Factors and Serum and Urinary Electrolytes Affecting Blood Pressure in Adolescents)

  • 이정원;나효숙;곽충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70
    • /
    • 1996
  • Correlations of adolescents' blood pressure with dietary factors and blood or urinary electrolyt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creening for blood pressures of 960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3-16 years, 30 students with the mean value of SBP and DBP above 96th percentile(high blood pressure group) and the other 30 with the mean blood pressure between 48th and 52th percentiles(normal blood pressure group)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SBP/DBP of the high and talc normal blood pressure groups were $141.8{\pm}9.0$ / $83.6{\pm}5.1$ mmHg and $116.4{\pm}3.5$ / $69.8{\pm}3.7 mmHg$,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of age, weight, height, BMI, degree of relative crude physical activity, and family incom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mong nutrients for which intakes were determined by 24 hour-recall and expressed as percent RDA, intakes of total and animal calcium were lower in the high blood pressure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SBP and DBP even when the effects of related general and other dietary factors were excluded. Whereas energy, total, animal and vegetable protein, total and animal lipid, and riboflavin were higher in intake in the high blood pressure group than in fille normal, and they were in positive correlations with SBP and/or DBP. Vitamin A and ascorbic acid intakes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DBP, though ascorbic acid intake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igh blood pressure group preferred higher concentration of thin rice gruel than normal group and talc preferred salt concentrations was ill positive correlation with SBP. Serum and urinary levels of Ca, Mg, Ca/Mg ratio, Na, K and Na/K ratio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owever serum Ca/Mg retio was in negative and se겨m Mg was ill positive correlations with SBP, and urinary Na excre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BP. Calcium intak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 Ha and Na/K ratio. Our data indicated that dietary intake of Ca, energy, protein, lipid, vitamin A and C as well as salt preference were associated with blood pressure in adolescents. It might be assumed that Ca lowered blood pressure by increasing serum Ca/Mg ratio and decreasing serum Ca/K ratio though urinary excretion of Na.

  • PDF

Homes 방법(方法)에 의(依)한 다량요소(多量要素)의 적정시용(適正施用) 비율(比率) 결정(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초지토양별(草地土壤別) 음(陰)이온 N : Ca : Mg 적정시용(適正施用) 비율(比率) (The Optimal Combination of Major Nutrients Computed by the Homès Systematic Variation Technique II.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mbination of Cations K:Ca:Mg in Fertilization on the Various Grassland Soils)

  • 정연규;윤상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3
    • /
    • 1981
  • 초지개발(草地開發)이 유망시(有望視)되는 전국각지(全國各地)의 미개간(未開墾) 산지토양(山地土壤)의 표토(表土)를 채취(採取)하여 Hom$\grave{e}$s의 Systematic Variation 방법(方法)에 의(依)한 다량요소(多量要素) Cations K: Ca: Mg 적정시비비율(適正施肥比率) 결정(決定)을 위(爲)한 Pot 시험(試驗)을 수원(水原)에서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1. 안양등(安養等) 6개지역(個地域)의 토양(土壤)에 대(對)한 혼파재배(混播栽培) 시(時) 각(各) 토양(土壤) 및 초종별(草種別) 다수확(多收穫)을 위(爲)한 당량비 기준(基準) Cations K: Ca: Mg 적정시비비율(適正施肥比率)이 계산(計算)되었다. (표(表)4). 2. 혼파목초중(混播牧草中) 두과수량증수(荳科收量增收)를 위(爲)해서는 대구(大邱), 대관령토양(大關嶺土壤)에서는 K, 광주(光州), 운봉(雲峰)은 Ca, 제주(濟州)는 Mg 적정시비비율(適正施肥比率)이 높았고 이는 토양중(土壤中) 이들 이온들의 함량(含量) 또는 함량비율(含量比率)이 낮은 것과 병관되었다. 3. 두과목초수량(荳科牧草收量)은 화본과수량(禾本科收量)보다 Cations 시비비율(施肥比率) 및 시비량(施肥量)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고 이에따라 혼파목초(混播牧草)의 총수량(總收量), 품질(品質), 식생비율(植生比率)이 또한 영향(影響)을 받는다. 4. 화본과(禾本科) 및 두과목초(荳科牧草)의 K, Ca, Mg 함량(含量)에 미치는 이들 ion간(間)의 길항효과(拮抗效果)의 차(差)와 그리고 이들 ion들이 Na, Fe, Mn, Cu, Zn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해 논하였다. 5.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에서 K-group 처리(處理)에서만 K/(Ca+Mg) 당량비가 grass tetany 한계치(限界値)인 2.2보다 훨씬 높은 2.4~3.3에 달(達)했고 반면(反面)에 두과목초(荳科牧草)는 0.9~1.2로 미달(未達)되었다. 이는 적당한 화본과(禾本科) 두과(荳科) 식생비율유지(植生比率維持)는 grass tetany 유발(誘發)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슬래그 내 양이온 추출 및 불순물 분리 연구 (A Study on Cation Extraction and Impurity Separation in Slag)

  • 이예환;강혜린;장영희;이시진;김성수
    • 청정기술
    • /
    • 제25권4호
    • /
    • pp.311-315
    • /
    • 2019
  • 제철산업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자원화를 위하여 슬래그 내 양이온 추출 및 불순물 분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종류(Slag-A, B)의 슬래그를 사용하였으며, XRD 및 XRF 분석을 통해 30 ~ 40%의 Ca2+와 함께 Fe3+ (20 ~ 30%), Si4+ (15%), Al3+ (10%), Mn2+ (7%), Mg2+ (3 ~ 5%), 등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2 M의 HCl을 추출용제로 사용하여 S/L ratio 별로 슬래그 주입하였으며, 추출액의 ICP 분석을 통해 S/L ratio가 높아짐에 따라 Ca2+ 추출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2+ 추출 시 최적 S/L ratio는 0.1이며 Ca2+ 추출량은 8,940 (Slag-A), 10,690 (Slag-B) mg L-1로 나타났다. 하지만 추출액은 강산성(< pH 1)을 띠었으며 Ca2+ 이외에도 타이온(불순물)이 추출되었다. 슬래그를 고부가가치의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Ca2+의 순도를 증진시키고자 pH-swing을 진행하였다. pH가 증가함에 따라 불순물이 침전되었으나 일정 pH 이상에서 Ca2+의 침전량이 급증 하였다. pH-swing을 통해 불순물을 분리하고 Ca2+의 선택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pH 10.5 조건에서 Ca2+ 선택도는 99% 이상으로 나타났다. Ca2+가 선택적으로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은 탄산화 공정에 적용되어 CO2를 저감하고 탄산칼슘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리대두단백 두부의 제조를 위한 가열시간 및 혼합응고제의 영향 (Effect of Heating Time and Mixed Coagulants for Prepared SPI Tofu)

  • 구경형;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30
    • /
    • 1994
  • 분리대두단백(SPI)을 주원료로 마쇄와 여과, 압착 과정을 생략한 두부의 연속적 제조 방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분리대두단백의 보수력과 보유력, 가열시간, 단일응고제 소요량, 혼합응고제에 따른 두부의 텍스쳐 및 수율변화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PI 분산액의 $100^{\circ}C$에서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aCl_{2}$와 GDL응고제 양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고, $MgCl_2$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CaSO_{4}$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큰 차이가 없었다. 응고에 필요한 응고제의 양은 $CaSO_{4}>GDL>MgCl_{2}>CaCl_{2}>$순이었다. 압착두부 제조방법에 의한 두부의 수율은 $CaSO_{4}$로 응고한 두부로 가열시간 6분일 때 가장 높았으며, GDL로 응고한 두부의 수율은 다른 응고제에 비하여 낮았으나 6분에서 약간 높은 수율을 보였고, 이외의 응고제에 의한 두부수율은 가열시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SPI의 보수력은 $100^{\circ}C$에서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고, 보유력은 9분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또 혼합응고제$(CaSO_{4}-GDL,\;CaSO_{4}-CaCl_{2},\;CaCl_{2}-GDL)$로 응고한 압착두부의 물리적 특성은 $CaCl_{2}$와 GDL 비율이 많아짐에 따라 경두부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최고의 수율은 $CaSO_{4}$ 100% 응고두부였으며, 최소의 수율은 GDL로 응고한 두부였다. 관능검사 결과 $CaSO_{4}$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부드럽고, 균일한 조직을 얻었으며, GDL과 $CaCl_{2}$의 비율이 많은 혼합응고제로 제조한 두부는 신맛과 쓴맛의 강도가 컸다.

  • PDF

과원토양의 화학적 환경이 신고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chards on 'Niitaka' Pear Quality)

  • 김익렬;장태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259
    • /
    • 2008
  • 과수의 생육기간동안 양분흡수는 과원토양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수확기에 신고 배에 Ca 결핍장해과로 보이는 과실의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과실에 생리장해가 발생한 4개 지역(울산,경주,평택,안성)의 과원 토양의 화학성 및 잎과 과실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과실에 생리장해가 발생한 과원 토양의 치환성 Ca 함량은 정상관원에 비해 낮은 반면, 치환성K와 Mg 함량 및 T-N 함량은 높았다(P=0.05). 생리장해 과실의 과육과 과피의 Ca 함량은 건전한 과실에 비해 낮았으며, 과육과 과피의 Mg/Ca 비율은 건전 과실보다 높았다(P=0.05). 잎에 N/Ca 및 K/Ca 비율은 생리장해가 발생한 나무가 건전한 나무의 잎 보다 높았다. 따라서 신고 배의 생리장해는 Ca 함량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유부과로 판단되며, 이는 토양에 치환성 K와 Mg 이온 및 T-N가 Ca 이온의 흡수에 장해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분무열분해법에 의해 제조된(Ca, Sr)2MgSi2O7:Eu2+ 형광체의 발광 특성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Ca, Sr)2MgSi2O7:Eu2+ Phosphor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 이호민;정경열;정하균;이종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284-288
    • /
    • 2006
  •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Ca,Sr)_{2-y}MgSi_2O_7:Eu^{2+}{_y}$ 형광체 분말을 제조하고 $Eu^{2+}$의 농도, 후열처리온도 변화 및 Ca/Sr 비에 따른 발광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Ca/Sr의 비를 변화시켜 발광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a_2MgSi_2O_7$$Sr_2MgSi_2O_7$ 분말 모두 $1,0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했을 때 순수한 정방정계 상이 제조되었다. $Ca_2MgSi_2O_7:Eu^{2+}{_y}$ 녹색 형광체는 $Eu^{2+}(y)$의 농도가 5 mol%, 후열처리 온도가 $1,250^{\circ}C$ 일 때 가장 높은 발광 강도는 보였다. ${(Ca_{1-x},Sr_x)}_{1.95}MgSi_2O_7:{Eu^{2+}}_{0.05}$의 발광 파장은 Sr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결정장 감소로 인해 524nm에서 456nm로 점진적으로 blue shift 되었다. $Sr_2MgSi_2O_7:Eu^{2+}$는 Sr 자리에 약 10 mol% Ca를 치환시킴으로써 청색 형광체의 발광 강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제조된 분말들은 치밀하지 못하고 다공성 구조를 가져 후열처리 전에는 구형을 유지하였으나 열처리($900{\sim}1,300^{\circ}C$) 후에는 구형의 형상을 잃고 입자들 간의 응집이 발생하였다.

수용액에서 Poly-dibenzo-18-crown-6를 이용한 금속이온들의 흡착 및 분리 특성 (Adsorption and Separation Behaviors of Metal Ions Using a Poly-Dibenzo-18-Crown-6 in Aqueous Solution)

  • 김해중;장정호;신영국
    • 분석과학
    • /
    • 제11권4호
    • /
    • pp.248-253
    • /
    • 1998
  • 수용액에서 poly-dibenzo-18-crown-6를 이용한 알칼리, 알칼리토금속이온 및 전이금속이온들의 흡착 및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칼리금속이온들과 알칼리토금속이온들의 흡착정도와 분포비의 순위는 각각 Li(I)

  • PDF

Mozzarella Cheese의 무기질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eral Contents in Domestic Mozzarella Cheese)

  • 차광종;연제한;유제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147-155
    • /
    • 1996
  • 본 실험은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는 5개사의 Mozzarella cheese 25개 제품을 구입 하여 일반 성분과 Ca, P, Mg, Na, K, Fe 등의 무기물을 분석, 비교하므로서 국산Mozzarella cheese의 품질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ozzarella cheese의 평균 일반 조성은 수분 49.01%, 지방 22.54%, FiDM 44.16%, 단백질 24.36%, 회분 2.55%였으며 PH는 5.29였다. Mozzarella cheese의 평균 무기물 함량은 Ca 696.44mg, P 466.31mg, Mg 22.08mg, Na 310.8mg, K 82.84mg, Fe 0.36mg이었다. Ca, P, Mg 등은 C사 제품이 797.41mg, 536.61mg, 25.54mg으로 가장 높았고, Na은 A사 제품이 450.83mg으로 가장 높았으며, K, Fe 등은 B사제품이 98.92mg, 0.51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Ca, P의 비율은 1.5 : 1로 적절한 수준을 유지했고, Mozzarella cheese 645g에는 Ca, P, Na 등의 무기물 1일 권장량이 충분히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위적인 토양 산성화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Artificially Acidified Soils)

  • 이충화;이승우;김은영;김영걸;변재경;원형규;진현오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89-393
    • /
    • 2005
  •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인위적으로 산성화시킨 화강암 풍화 모재의 갈색 산림 토양에 2-1 소나무(Pinus densiflora) 묘목을 이식하고, 1998년 4월 29일부터 9월 22일까지 21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킨 후 건물생장량과 토양 pH, Al, Mn 농도 또는 염기성 양이온 몰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토양내 $H^+$ 부하량의 증가는 토양중 Al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 생장량은 토양의 Al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토양의 (Ca+Mg+K)/Al 몰비와 건물 생장량 사이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r=0.97, p<0.01)가 있었으며, 몰비가 1.0인 경우에 약50%의 건물 생장량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산성 강하물에 의한 토양 산성화가 수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토양의 Al과 같은 유해금속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Ca+Mg+K)/Al 몰비는 산성 강하물의 삼림생태계 피해예측을 위한 한계 부하량의 평가에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