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3초

한우육 및 돈육의 부위별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Beef and Pork)

  • 장혜림;박서연;이종헌;황명진;최용민;김세나;김진형;황진봉;서동원;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03-7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식육인 한우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채끝살, 목심살, 앞다리살, 부채살, 우둔살, 차돌박이, 아롱사태, 갈비살)와 돈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목심살, 앞사태살, 항정살, 뒷사태살, 홍두깨살, 삼겹살, 갈매기살, 갈비살)의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부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각종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우육의 지방 함량은 5.25~35.94%로 우둔살이 가장 낮은 함량을, 차돌박이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C16:0)와 stearic acid(C18:0),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C18:1, n-9)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oleic acid가 지방산 중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가장 유사한 지방 함량을 보인 부위는 등심살과 갈비살이었으나 지방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채끝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C18:3, n-3)가 100 g당 38.63 mg이, 갈비살에는 오메가-6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 n-6)가 100 g당 564.71 mg이 함유되어 있어 부위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채끝살, 부채살 및 갈비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arachidonic acid(C20:4, n-6)가 존재하였으며, 그 함량은 갈비살(2.50 mg/100 g)> 채끝살(1.33 mg/100 g)> 부채살(1.19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우둔살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다른 부위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P<0.05),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돌박이($1.83{\pm}0.02$)가 가장 높고 앞다리살($1.03{\pm}0.00$)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돈육의 지방 함량은 4.16~18.47%로 삼겹살이 가장 높고 안심살이 가장 낮았으나 안심살, 등심살, 앞사태살, 뒷사태살, 홍두깨살의 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삼겹살에는 다양한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등심에는 검출되지 않은 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미엘린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ervonic acid(C24:1)는 오직 등심에서만 검출되었다. 삼겹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 n-3)가 존재하였다. 돈육의 10부위 중 앞사태살과 뒷사태살, 홍두깨살은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같은 앞다리라도 앞사태살과 항정살의 지방산 함량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돈육의 총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삼겹살(143.58 mg/100 g)> 항정살(127.86 mg/100 g)> 목심살(101.36 mg/100 g)> 갈비살(94.91 mg/100 g)> 갈매기살(86.68 mg/100 g)> 안심살(29.57 mg/100 g)> 뒷사태살(27.97 mg/100 g)> 홍두깨살(27.49 mg/100 g)> 앞사태살(25.98 mg/100 g)> 등심살(15.45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으며,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뒷사태살이 2.01로 가장 높고 갈매기살이 1.28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한우육과 돈육 각 10부위에 대한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함량과 조성의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잣기름이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사육한 토끼의 혈장 총지방산 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 of Korean Pinenut Oil on Plasma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in Cholesterol-fed Rabbits)

  • 윤태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6
    • /
    • 199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theroscleorotic New Zealend white(NZW) rabbit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Korean pinenut oil, on plasma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In study I, NZW rabbits were fed 10 weeks on a commercial chow diet supplemented with 5% of energy as fats(soybean oil or pinenut oil) or 10% of energy as fats(soybean oil or pinenut oil) with the addition of 1% cholesterol to the diet. Nineteen fatty acids ranged from myristic acid (14:0) to cervonic acid (22:6 ${\omega}3$) were identified in all the samples. The c5, c9, $c12{\sim}18$ : 3 acid was not reported in the fatty acid methyl ester profiles of each group because it was included in the linoleic acid peak. The major constitutent fatty acids in the chow diet group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In the cholesterol group,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In plasma of cholesterol-fed animals, the levels of 16:1 ${\omega}$ 7 and 18:1 1 ${\omega}$ 9 were increased. Linole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soybean oil/cholesterol and pinenut oil/cholesterol groups. Plasma linoleic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sed from 4 to 6% by the supplementation of 5% soybean or 5% pinenut oil in the cholesterol diet for 5 weeks, compared to cholesterol group. Plasma 16 : 1 ${\omega}$ 7 levels in animals fed with 5 or 10% pinenut oi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ose fed cholesterol for 5 weeks. After 10 weeks on the soybean oil and pinenut oil di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tudy II, the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the types or levels of oils supplemented for 5 weeks. After 10 weeks on the oil diets 16:1 ${\omega}$ 7 and 18:1 ${\omega}$ 9 were decreased in 10% soybean in oil/cholesterol and 10% pinenut oil/cholesterol groups, compared to cholesterol group.

저염건 조기의 냉동저장 중 화학적 변화 (Chemical Changes of Low Salt-dried Yellow Corvenia Muscle During Frozen Storage)

  • 은종방;이진철;정동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60-666
    • /
    • 1997
  • 참조기에 $14\%$ 정도 천일염을 가해 저열건조기를 가공한 후 근육만을 $-20^{\circ}C$에서 냉동저장 하면서 영양 및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염검 조기의 수분, 단백질, 지방, 회분은 각각 $74.6\%,\;18\%,\;3.4\%$$2.3\%$로 냉동 저장 중 큰 변화는 없었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는 저장 중 약 2배 정도 증가 하였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rid, alanine, lysine, glycine이었다. 근육에서 추출한 중성지방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palmitoleic acid, docosahexaenoic acid 이었으며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docosahexaenoic acid, palmi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이었다. 유리지방산 함량 및 산값은 가공직후 각각 $3.8{\mu}M/g,\;0.25mg/100g$에서 냉동 10개월 후에는 $7{\mu}M/g$과 0.4mg/100g로 약간의 증가 후세를 보였고, TBA값은 $20{\mu}M/kg$에서 저장 2개월째 $60{\mu}M/kg$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산도 및 pH는 냉동 저장 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태질소는 가공직후 90mg/100g에서 자장 10개월째에는 18mg/100g으로 약간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VBN은 초기 18mg/100g에서 저장 5개월째에 초기 부패 단계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저염건 조기를 $-20^{\circ}C$ 냉동저장할 경우, 5개월 정도 저장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가다랑어 내장으로부터 지방산 추출 및 단백질 농축물의 제조 (Processing of Protein Concentrate and Fatty Acid Extraction from Tuna Viscer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전병수;윤성옥;이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12
    • /
    • 2001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가다랑어 내장으로부터 지방산 추출 및 단백질 농축물의 제조를 위하여 초임계 추출장치의 조건을 압력 1,500-2,000psig, 온도$25^{\circ}C\~40^{\circ}C$으로 하여 추출실험을 하였다. 유속 50mL/min, 압력 1,800psig, 온도 $35^{\circ}C$, 입자크기 0.25mm에서 약 $97\%$ 이상의 지질 추출효율을 보였고, Fig. 5와 6에서 알 수 있듯이 압력 1,800psig, 온도 $35^{\circ}C$, 입자크기 0.25mm의 조건에서 지질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약 $50\%$의 단백질이 회수되었고 대부분의 이 취가 제거된 것을 관능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조건에서 추출된 지질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16: 0), oleic acid(18:1) 등이었고, 주요 유리 아미노산는 taurine 등이었으며, 주요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등이었다.

  • PDF

어성초의 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균효과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Volatile Flavor Concentrate from Houttyunia cordata Thunb)

  • 신성의;서두석;정길록;차월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7-301
    • /
    • 2006
  • SDE연속추출장치로 추출, 농축한 어성초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물이 15종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어성초의 추출물은 주로 Vibrio와 Bacillus속의 세균들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S. aureus와 epidermidis, S. dysenteriae, C. xerosis, L. monocytogene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E. coli, S. typhi, E. cloaceae, Y. enterocolitica와 같은 세균들은 어성초 휘발성 향기성분 농축물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성초의 잎과 줄기에 대한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섬유는 줄기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잎에서 9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줄기에서는 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총 8.81 mg/l00 g 으로 더욱 많이 검출되었다.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잎과 줄기에 linolenic acid (C18:3), linoleic acid (C18:2), palmitic acid (C16:0)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무기성분 중 잎과 줄기에서 K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Ca, P, Mg, Fe, Zn, Cu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한국산 시판 유화형 소시지의 영양품질 및 저장(1$0^{\circ}C$) 중 이화학적 성분변화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Emulsified-Sausages Sold at Korean Markets during Storage at 1$0^{\circ}C$)

  • 권관웅;이성갑;김동수;이옥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300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3대 회사의 비엔나, 푸랑크푸르트 및 보일드 소시지를 대상으로 저장 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여 소시지 제품의 품질개선 및 품질특성 변화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중제품을 구입하여 1$0^{\circ}C$에서 40일간 10일 간격으로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50.4~53.4%, 조단백질은 12.3~16.0%, 조지방 22.8~26.5%, 조회분 2.O~2.9%, 탄수화물 6.5~9.8%였다. 조지방에 대한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바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이었다. 소시지의 아질산염은 3가지 시료에서 모두 식품공전상의 기준치인 0.07g/kg보다 적은 함량을 나타냈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의 관능평점보다 조금씩 낮아지는 반응을 보여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전반적인 기호도는 점차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초기에는 <$10^2$cfu/g 이하의 균수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늘어나면서 총균수는 1.9$\times$10~2.9$\times$$10^4$cfu/g까지 증가하였다. TBA가의 변화는 저장초기에 0.25mg/kg에서 저장 40일에는 0.70~0.75mg/k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한편 VBN 값은 저장초기 5.0~5.3mg%에서 저장기간 40일에는 16.5~8.7mg%의 분포를 나타냈다.

Cyclodextrin의 Inclusion Complex 형성능과 Fatty Acid와의 Complex 형성조건과 특성 (Comparison of Inclusion Complex Formation Capacity of Cyclodextrins with Various Molecules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dextrin-fatty Acid Complex)

  • 이용현;정승환박동찬
    • KSBB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49-158
    • /
    • 1995
  • 각종 CD와 여러 종류의 화합물, pH indicator, biostain, 아미노산, 천연배당체, 그리고 fatty acid 간의 inclusion complex 형성능을 비교하였다. Fatty acid가 각종 CD에 대한 포접형성능과 선택성 이 높아 CD 분리용 ligand로 적합함을 알았다. Fatty acid의 포접능과 선택성은 탄소쇄의 길이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capric acid는 ${\alpha}$- CD와 palmitic acid는 ${\beta}$-CD와 높은 선택성을 보였다. Complex형성에 미치는 반융조건인 흔합 농도비, pH, ionic strength, 그리고 온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적정 혼합 농도비는 CD가 50mM 그리고 lig and 인 fatty acid가 50mM 일 때 였으며 , 온도가 중 요한 형성조건으로 작용하였다. 포접되지 않은 CD 와 fatty acid가 포접 된 CD의 분자구조를 X-ray diffraction과 IR spectrum을 사용하여 비교 검토하였으며, DSC로 inclusion complex 형성반응의 en­t thalpy의 변화값(${\gamma}H$)을 측정하여 발열반응임을 확인하였다.

  • PDF

Nutritional Value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as Food Source

  • Ravzanaadii, Nergui;Kim, Seong-Hyun;Choi, Won-Ho;Hong, Seong-Jin;Kim, Nam-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5권1호
    • /
    • pp.93-98
    • /
    • 2012
  • Nutrition value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was analyzed due to increasing demand of usage as a protein source for domestic animals and even further for human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work was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tion of the Tenebrio molitor larvae, adult that were maintained under standard condition for further usage of mass-rearing system and its exuvium, and excreta. Tenebrio molitor, larvae, adult, exuvium and excreta contained 46.44, 63.34, 32.87, and 18.51% protein respectively, suggested that even excreta could be used as an additional supplement in food recycling process. This protein was also rich in amino acids such as Isoleucine, leucine and Lysine which all met the nutritional value recommended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tty acid composition was detected with high component of oleic acid (C18:1), along with linoleic acid (C18:2) and palmitic acid (C16) in all adult, larvae, exuvium and excreta. These oleic acid (C18:1), linoleic acid (C18:2) and palmitic acid (C16) components were the same or even highly contained in excreta of mealworm 22.29, 47.19 and 19.17% respectively. Longer chains of unsaturated fatty acids consisted of two to three double bonds are known as healthy product was recognized in large amount. These results show new ways to consume mealworms and its waste for animal and human consumption.

부추(Allium tuberusum) 씨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ek (Allium tuberusum) Seeds)

  • 차재영;김성규;김현정;송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3-278
    • /
    • 2000
  • 식용식물 이면서 한방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부추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부추씨의 이화 학적 특성과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부추씨의 일반적 조성을 보면 조단백질 25.7%, 조지방 16.6%, 조회분 2.9%, 수분 4.4%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건물 중량 100g 당 proline 11.0 g 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 4.91 g, arginine 2.12 g, aspartic acid 1.62 g, leucine 1.31 g, valine 1.16 g, methionine 1.15 g 순으로 나타났다. 부추씨의 무기질 성분은 칼륨 215 ppm, 칼슘 142 ppm, 철 124 ppm, 마그네슘 100 ppm 순으로 나타나 칼슘과 철분을 많이 함유하였다. 주요 지방산으로 linoleic acid (C18:2) 71.9%, oleic acid(C18:1) 12.7%, palmitic acid(C16:0) 8.6% 및 stearic acid(C18:0) 1.4% 순 으로 전체의 약 93%를 차지하였다. 부추씨로부터 열침 온도에 따른 총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 변동은 2$0^{\circ}C$ 추출물에 비해 4$0^{\circ}C$ 추출물에서 27%, 6$0^{\circ}C$ 추출물에서 51% 증가하였다. 부추씨 수용성 추출물을 DPPH 환원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부추씨는 BHT 보다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부추 씨는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가치를 가지는 식품재료로 이용될 가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부자극에 대한 포화지방산의 물성평가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aturated Fatty Acids for External Stimulus)

  • 조완제;구창권;송경호;박태곤;박근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2
    • /
    • 1998
  • The structural changes of molecules on the water surface were measured by displacement currents and $\pi$-A isotherm. By using a theoretical equations we calculated charges($\Delta$Q) and dipole moment( $m_{z}$) of saturated fatty acids( $C_{12}$, $C_{14}$, $C_{16}$). The dynamic behavior of saturated fatty acid monolayers at the air/water interface was investigated using a displacement current-measuring technique coupled with the so called Langmuir film technique and also the dipole moment of the acids was determined.as determined.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