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V-T36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Sequence Analysis of the Coat Protein Gene of Citrus Tristeza Virus Isolated form Cheju Island

  • Park, Hyoun-Hyang;Kim, Dae-Hyun;Hyun, Woo-Taek;Moon, Doo-Khil;Koh, Young-jin;Park, Tae-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43-47
    • /
    • 2000
  • Citrus tristeza virus (CTV) is the causal agent of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of citrus. Recently, CTV has been detected in Cheju Island by ELISA. The coat protein (CP) gene of CTV isolated form Cheju Island was cloned by RT-PCR and the nucleotide was analyzed in this study. Citrus leaves were collected from trees showing decline symptoms from various region of Cheju Island in the summer of 1998 and 1999. The CP gene open reading frame is composed of 670 nucleotides and encodes a polypeptide of 223 amono acids. Sequence analysis the CP gene revealed that two CTV strains present in Cheju Island. Viruses collected form Sogwipo area and Cheju City area in 1999 ahowed 91-93%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CTV T36 strain. Viruses collected form Cheju City area in 1999 and Sogwipo City in 1998 showed 94-98%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CTV SY568 strain. A efficient viral RNA extraction methods was developed by modifying procedure for animal virus RNA purification methods and PCR product was detected form one tenth of RNA purified from as small as 45 mg fresh or frozen tissue.

  • PDF

분할치료간(Interfraction) 내부 장기 움직임 오류 분석을 통한 전립선암의 전신정위적방사선치료(SBRT) 가능성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about prostate SBRT by analyzing interfraction errors of internal organs)

  • 홍순기;손상준;문준기;김보겸;이제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86
    • /
    • 2016
  • 목 적 : 분할치료간(Interfraction) 움직임에 의한 오류가 많은 직장과 방광 그리고 전립선의 변화를 MR영상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보정치료계획(adaptive plan) 없이 SBRT 선량제한을 충족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ViewRay MRIdian System(ViewRay, ViewRay Inc., Cleveland, OH, USA)을 이용하여 전립선암에 총 선량이 70 Gy, 28회의 분할치료인 IMRT 치료를 시행한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 치료방법을 가정하기 위해 ViewRay 모의치료계획과 동일한 날짜와 조건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영상에 초기 치료계획을 생성하였고, 전산화치료계획은 Eclipse(Ver 10.0.42, Varian, USA)를 이용하였다. 분할치료간(Interfraction) 장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치료계획용 CT영상에 각 5회 치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MRI)을 Registration 한 후, 초기 치료계획을 각 치료영상에 적용하여 선량체적곡선 변화와 각 장기의 절대용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방선량은 5회에 걸쳐 PTV에 총 선량이 $V_{36.25}$ Gy $${\geq_-}$$ 95%가 되도록 하였고, 전립선 SBRT 선량제한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장과 방광의 $V_{100%}$, $V_{90%}$, $V_{80%}$ $V_{50%}$을 측정하였으며, CTV의 $V_{100%}$, $V_{95%}$, $V_{90%}$도 측정하였다. 결 과 : 총 5회의 CTV, 직장, 방광의 선량평균값은 5명 모두 SBRT 선량제한을 충족하였으나 각 치료 영상을 분석한 결과 1회 이상 선량제한을 초과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초기 치료계획과 분할치료의 MR영상을 비교하여 절대용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직장에서 최대 1.72배, 방광에서 최대 2.0배 차이를 보였다. 직장의 경우 초기 치료계획에서 5명의 측정값이 평균 $V_{100%}=0.32%$, $V_{90%}=3.33%$, $V_{80%}=7.71%$, $V_{50%}=23.55%$로 선량한도 이하로 계획 되었으나, 실제 분할치료 중 최대 3회까지 선량한도를 초과하기도 하였다. 방광의 경우도 초기 치료계획의 절대용적이 평균 117.9 cc 였으나 실제 치료 5회 평균용적은 79.2 cc 로 나타났다. CTV의 경우 방광과 직장의 용적 변화 등으로 인해 5 mm 여백을 포함한 PTV에 치료계획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100% 처방선량 영역을 벗어나기도 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5회 치료 평균으로 분석한 결과 선량한도를 벗어난 경우는 없었으나, 각각의 분할치료에서는 직장과 방광의 오차가 비교적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전립선암 SBRT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선량 전달 정확성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시간 영상추적과 보정치료계획이 필수적이며 이것은 모든 방사선 치료가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