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scan

검색결과 1,323건 처리시간 0.042초

갑상선 결절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Computed Tomography in Thyroid Nodules)

  • 이승호;최종욱;이남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15
    • /
    • 1993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icacy of CT scan in the diagnosis of the thyroid nodules. CT scan was useful in the identification of nodal metastasis. extracapsular spread and intrathoracic extension. and multiple cystic degeneration or calcification on CT scan suggested a high possibility of thyroid malignancy.

  • PDF

CT 검사에서 대동맥박리(aortic dissection)의 발생빈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Aortic Dissection using CT)

  • 동경래;최성관;장영일;노상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2호
    • /
    • pp.115-121
    • /
    • 2008
  • 목적: 혈관의 내층과 외층을 급속히 해리시키는 예후가 매우 위험한 질환으로 대동맥 박리증(aortic dissection)의 임상적 진단을 위해 CT를 시행하여 대동맥 박리 증으로 판명된 환자 수와 연령별로 발생 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2년간 C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CT를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연도별로 증감 추세를 조사해 보고, 성별, 연령별, 진료과별로 조사 해 보았으며, 정확한 관찰을 위해 CT scan 후의 재구성 영상인 MIP와 SSD 그리고 VRT영상을 획득하여 CT와 일반 Chest PA 상을 비교하여 결과를 조사 연구하였다. 결과 및 결론: 1. CT를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검사건수는 2005년도 37명으로 41.9%를 보였고, 2006년도는 65명으로 58.1%로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4배 증가되었다. 2. CT를 시행한 환자의 성별분포는 남성이 45명으로 40.1%, 여성이 67명으로 59.9%를 차지하고 있고 남성 45명 중 대동맥 박리증 환자는 9명으로 20%, 여성은 67명 중 21명으로 31.3%로 대동맥 박리증 환자가 남성에 비해 여성이 1.6배 많이 발생되었다. 또한 검사자 수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CT를 시행한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30세 미만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41세에서 80세까지가 전체에 88.3%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동맥 박리증 질환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발생빈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1). 4. CT를 의뢰한 과는 응급의학과에서 46명(41.1%), 순환기 내과에서 37명(33.0%), 흉부외과에서 13명(11.6%), 기타 과에서 16명(14.3%)으로 응급의학과와 순환기내과가 전체의 74.1%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동맥 박리증 질환의 환자는 주로 응급실로 내원하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 대동맥 박리 환자 30명 중 22명(73.3%)은 일반 X-ray상 정상으로 판독되었고, 8명(26.7%)만이 일반 X-ray상 이상소견이 나왔다. 따라서 대동맥 박리 질환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CT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X-ray CT 스캔을 이용한 사질토 간극비 측정 (Estimation of Void Ratio of Sandy Soil Using X-ray CT Scan)

  • 김광염;신휴성;허성준;임성빈;권영철;김홍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87-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 전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X-ray CT의 지반분야 적용을 위해 X-ray CT를 이용한 사질토의 간극비 측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고분해능 X-ray CT 시스템의 적용에 문제가 되는 빔하드닝(Beam hardening) 및 동심원상 화상결함(Ring artifact) 등에 대한 문제점 지적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X-ray CT를 이용한 간극비 산정을 위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주문진 표준사의 간극비를 측정하여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64 채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관상동맥검사의 선량 : 검사 프로토콜 다변화에 따른 환자선량 감소 (Doses of Coronary Study in 64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Reduced Radiation Dose According to Varity of Examnination Protocols)

  • 김문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3호
    • /
    • pp.299-306
    • /
    • 2009
  • MDCT의 시간분해능 향상과 등방성 해상능(isotrophic resolution) 영상의 획득, 그리고 지능적인 심전도 동조를 바탕으로 하여 심혈관 질환의 효과적인 진단검사로 인정받고 있는 후향적 심전도 동조화(retrospective ECG gating) 하의 coronary CT angiography는 상대적으로 많은 환자선량을 제공함으로 인해 우수한 진단방법으로서의 장점을 반감시키고 있다. 이에 각 장치 제조사에서는 환자선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의 연구가 활성화되어 왔으며, 이의 일환으로 지능적인 cardiac dose modulation 기술과 전향적 심전도 동조화(prospective ECG gating)를 사용한 sequential scan이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4 채널 MDCT에서 54 kg, 163 cm인 여성 인체모형팬텀을 대상으로 하고 형광유리선량계를 사용하여 후향적 심전도 동조화 하의 coronary CT angiography 프로토콜에서 환자선량의 정량적 평가와 환자선량 감소를 위해 본원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5가지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effective dose와 중요 부위의 organ dose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ose modulation없이 120 kVp와 210 mAs의 노출조건으로 retrospectively ECG gated helical scan으로 시행한 conventional coronary CT angiography 프로토콜의 effective dose는 17.8 mSv였으며, 심장의 organ dose는 103.8 mGy였다. 2) 관전압을 120 kVp에서 100 kVp로 낮추었을 경우 effective dose는 11.0 mSv로 conventional coronary CT에 비해 38.2%가 감소하였으며, 심장은 67.3 mGy로 45.2%가 감소하였다. 3) Cardiac dose modulation을 적용한 경우 effective dose는 13.3 mSv로 conventional coronary CT에 비해 25.3%가 감소하였으며, 심장은 80.0 mGy로 22.9%가 감소하였다. 4) 100 kVp의 저관전압과 cardiac dose modulation을 적용한 경우 effective dose는 8.1 mSv로 conventional coronary CT angiography에 비해 54.5%가 감소하였으며, 심장은 49.5 mGy로 52.3%가 감소하였다.

  • PDF

관골궁 골절의 정복 시 술중 이동식 CT의 유용성 (Closed Reduction of Zygomatic Arch Fracture with Intraoperative Mobile Computed Tomography Scan)

  • 김명국;노용준;이훈영;김민호;이신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91-94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usefulness of intraoperative mobile CT scans in the reduction of zygomatic arch fracture. Method: Two patients with zygomatic arch fractures were selected who were indications of closed reduction by Gilles' approach. After the reduction was done in the operating room with zygomatic arch elevator, intraoperative CT scan was done to check the extent of reduction. Additional reduc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btained images from the intraoperative mobile CT scan. Examination of the preoperative CT, intraoperative CT after the reduction, and postoperative plain X-ray films were done for documentation and analysis. Results: Reduction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to the patients without any complications. Both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ostoperative cosmetic and functional outcome. Revisional surgery was not necessary during the 6 months follow up. Conclusion: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t is easier to obtain three dimensional relationships of the fracture site. Furthermore, the operator is less exposed to radiation hazards compared to other methods that obtain intraoperative images such as the C-arm. In conclusion, intraoperative mobile CT scan can be a useful surgical aid in the reduction of zygomatic arch fractures.

Utility of Spinal Injury Diagnosis Using C-Spine Lateral X-Ray and Chest, Abdomen and Pelvis Computed Tomography in Major Trauma Patients with Impaired Consciousness

  • Jang, Yoon Soo;So, Byung Hak;Jeong, Won Jung;Cha, Kyung Man;Kim, Hyung Mi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1권3호
    • /
    • pp.151-158
    • /
    • 2018
  • Purpose: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manage the patients with major blunt trauma according to the process appropriate to each hospital rather than standardized protocol of the major trauma cente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influence on prognosis of additional cervical-thoracic-lumbar-spine computed tomography (CTL-spine CT) scan in diagnosis of spinal injury from the victim of major blunt trauma with impaired consciousness. Methods: The study included patients visited the urban emergency medical center with major blunt trauma who were over 18 years of age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6. Data were collected from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measured for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diagnostic methods. Results: One hundred patients with Glasgow coma scale ${\leq}13$ underwent additional CTL-spine CT scan. Mechanism of injury was in the following order: driver, pedestrian traffic accident, fall and passenger accident. Thirty-one patients were diagnosed of spinal injury, six of them underwent surgical management. The sensitivity of chest, abdomen and pelvis CT (CAP CT) was 72%, specificity 97%, false positive rate 3%, false negative rate 28% and diagnostic accuracy 87%. Eleven patients were not diagnosed of spinal injury with CAP CT and C-spine lateral view, but all of them were diagnosed of stable fractures. Conclusions: C-spine CT scan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initial examination process. When CAP CT scan is performed in major blunt trauma patients with impaired consciousness, CTL-spine CT scan or simple spinal radiograph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gnosis of the patient and can be performed if necessary.

전립선암에서 골전이 진단에 대한 F-18 FDG PET/CT와 골스캔의 불일치 (Discrepancy of Bone Metastases between F-18 FDG PET/CT and Bone Scan in a Patient with Prostate Cancer)

  • 최승진;김철수;변성수;현인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5호
    • /
    • pp.275-278
    • /
    • 2006
  • We report the case of a 73-year-old man who had prostate cancer with bone metastases. Tc-99m HDP Whole body bone scan revealed multiple areas of increased bony uptake consistent with widespread bone metastases. F-18 fluorodeoxyglucose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demonstrated mild F-18 FDG uptake in the lymph nodes of neck, abdomen, and pelvis. However, abnormal F-18 FDG uptake was not seen in the skeletal system. Biops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left supraclavicular mass showed metastatic prostate adenocarcinoma. Currently, there are a few reported cases of F-18 FDG PET/CT evaluation of bone metastases in prostate cancer. We discuss the discrepancy between F-18 FDG PET/CT and bone scan in the detection of osseous metastases of prostate cancer.

만성 경막하 혈종의 성장에 대한 뇌 CT 소견 및 치료 방침 (Evolution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based on Brain CT findings and Appropriate Treatment Methods)

  • 이영배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209-216
    • /
    • 2012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chronic subdural hematomas based on brain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CT scan) findings an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evolution and treatment methods. Methods: One hundred thirty-ni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chronic subdural hematoma and who available for follow up assessment 6 months post-surger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resence of trauma and past medical history were reviewed and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brain CT scan findings were examined. Results: Initial brain CT scans revealed a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106 patients, a subdural hygroma in 24 patients, and an acute subdural hematoma in 9 patients. In all cases where the initial acute subdural hematoma had progressed to a chronic subdural hematoma, final was a hypo-density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case where the initial subdural hygroma had progressed to a chronic subdural hematoma, the most cases of hematoma were hyper-density and mixed-density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total, 173 surgeries were performed, and they consisted of 97 one burr-hole drainages, 70 two burr-hole drainages and 6 craniotomi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ebleeding and osmotic effects are mechanisms for enlarging of a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most cases, one burr-hole drainage is a sufficient for treatment. However, in cases of mixed or acute-on-chronic subdural hematomas, other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ies are required.

18F-FDG와 99mTcO4-를 이용한 당일 검사 시 상호 영향에 대한 Phantom 연구 (Phantom Study of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18F-FDG and 99mTcO4- on the Same Day)

  • 함준철;박민수;반영각;임한상;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18권2호
    • /
    • pp.68-72
    • /
    • 2014
  • 핵의학 검사는 반감기로 인한 동위원소의 잔류로 당일에 두 가지 검사를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18}F$-FDG와 $^{99m}TcO_4{^-}$의 상호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당일 검사를 진행할 경우 고려될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NEMA-1994 Phantom을 이용하여 세 번의 실험을 진행했다. 첫 실험은 $^{99m}TcO_4{^-}$을 HOT과 BKG 비 4:1로 만들어 GE사의 INFINIA 장비로 SPECT를 시행하였고, BKG 영역에 $^{18}F$-FDG 37 MBq을 주입 후 동일 조건으로 60분에 1회씩 13회 Scan 했다. 두 번째는 $^{18}F$-FDG를 HOT과 BKG 비 4:1 로 만들어 GE사의 PET/CT Discovery 600 에서 Scan 하였고, BKG 영역에 $^{99m}TcO_4{^-}$을 148 MBq 주입 후 동일 조건으로 60분에 1회씩 6회 Scan 했다. 마지막 실험은 $^{18}F$-FDG를 HOT과 BKG 비 4 : 1로 만들고 1 Bed Scan 후 $^{99m}TcO_4{^-}$을 148 MBq 및 296 MBq씩 증가 시키며 같은 조건으로 1 Bed Scan했다. HOT과 BKG 영역의 비, CNR 혹은 SNR 그리고 총 획득 계수를 측정 후 비교 했다. $^{18}F$-FDG는 SPECT 시행 시 비율 및 CNR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99m}TcO_4{^-}$는 PET/CT 시행 시 비율 및 SNR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99m}TcO_4{^-}$이 PET/CT 검사의 Total Counts를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획득했다. PET/CT 검사를 한 경우 12시간 까지도 $^{99m}TcO_4{^-}$을 이용한 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99m}TcO_4{^-}$를 먼저 시행한 경우에는 PET/CT 검사에 SUV 및 SNR에 영향은 없지만 검출 효율을 감소시켰다. 당일 검사 시에는 $^{99m}TcO_4{^-}$을 이용한 검사를 먼저 진행하고 PET/CT의 검사 시간을 늘려 검출 효율을 보완하는 방법을 권장하고자 한다.

  • PDF

PET/CT 장치의 감마선 검출과정 (Gamma Ray Detection Processing in PET/CT scanner)

  • 박성옥;안성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3호
    • /
    • pp.125-132
    • /
    • 2006
  • SPECT camera와 PET scanner 그리고 PET/CT 장치는 감마선을 검출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정보화 한다. 특히 PET/CT 장치는 PET영상에서 나타나는 해부학적 불선예함을 CT로 보완하여 선예한 해부학적 구조의 영상 묘출능력이 뛰어나 양질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고 있게 되었다. 신속 정확한 자료의 획득과 정보화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검출기(detector)에서의 효율적인 감마선검출은 매우 예민하고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섬광체(scintillator)의 개발과 함께 data 처리를 위한 software의 발전은 영상재구성처리시간의 단축은 물론 영상의 질적인 향상을 초래하였다. PET scanner에서는 SPECT camera의 $100{\sim}200\;keV$와는 달리 511 keV의 고에너지 감마선을 검출한다. 섬광체 GSO, LSO는 PET scanner의 섬광체로 비교적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고에너지 감마선에너지를 빛으로 전환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정보화하는 과정은 결과적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비롯한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정보획득에 목적을 두고 있다. 화질의 질적향상은 획득한 정보량에 대한 영상의 재구성 방법과 기술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PET/CT 장치에서 특히 PET부분에서 섬광체(scintillator)의 특성과 감마선의 검출과정에서부터 영상 재구성단계까지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요약 설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