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scan

검색결과 1,323건 처리시간 0.029초

인체등가형 흉부팬텀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고해상력 및 저선량 CT의 선량측정 (Measurement of Radiation Dose of HR CT and Low Dose CT by using Anthropomorphic Chest Phantom and Glass Dosimetry)

  • 권대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33-939
    • /
    • 2019
  • MDCT에서 인체등가형 흉부팬텀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고해상력 및 저선량 CT로 검사하여 영상의 평가 및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을 측정하여 임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고자한다. 인체등가형 흉부팬텀내부에 유리선량계를 삽입하여 조직선량을 측정하였다. 64-slice CT system (SOMATOM Sensation 64, Siemens AG, Forchheim, Germany)과 CARE Dose 4D를 이용하였고, 고해상력 CT에서의 파라메터는 관전압 120 kVp, Eff. mAs 104, scan time 7.93 sec, slice 1.0 mm (Acq. 64×0.6 mm), convolution kernel (B60f sharp)의 스캔 파라메터가 사용되었고, 저선량 CT는 120 kVp, Eff. mAs 15, scan time 7.41 sec, slice 3.0 mm (Acq. 64×0.6 mm), convolution kernel B50f medium sharp의 스캔하였다. 인체등가형 흉부팬텀을 이용하여 스캔에 따른 CTDIvol은 고해상력 CT에서 8.01 mGy, 저선량 CT는 1.18 mGy로 측정되었다. 저선량 CT 검사는 고해상력 CT 검사에 비해 흡수선량이 85.49%가 감소하였고 영상의 차이는 없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Helical CT 시스템에 있어 Slice Sensitivity Profile과 Reconstruction Resolution에 관한 연구 (Study on Slice Sensitivity Profile and Reconstruction Resolution on Helical CT System)

  • 윤한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0권1호
    • /
    • pp.15-20
    • /
    • 1997
  • Unlike conventional CT scan, the helical CT scan uses continuous rotating CT equipment with a slip ring to move the patient's coach at a constant speed while continuously scanning. Slice sensitivity profiles in the Z-position(SSPz) using the conventional X-ray CT have a shape similiar to a rectangular wave, which slightly spreads out into plains below the mountain. However, in the helical CT, with an expansion of the base, the rectangular shape collapses and a mouatain-like shape can be seen. We need to investigate the fellowing factors in helical CT scanning;the ability to scan along the axis of the body, effective slice width, slice shape and the precision of coach velocity, Helical scanning with sprial X-ray track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canning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image reconstruction performed. We believe that the problems in helical scanning can be solved by understanding new the special parameters such as the bed moving speed and the interval of image reconstruction.

  • PDF

전신 PET/CT 영상 획득 시 투과 스캔에서의 방사선 선량 (Radiation Dose during Transmission Measurement in Whole Body PET/CT Scan)

  • 손혜경;이상훈;남소라;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89-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압 값과 전류 값에 따른 CT 투과 스캔 동안의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고, 우리 기관에서 사용하는 임상 전신 PET/CT 환자 영상 획득 방식 중 감쇠 보정을 위해 사용하는 $^{137}Cs$ 투과 스캔과 환자의 진단용 고화질 CT 투과 스캔에 대한 방사선 선량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사선 선량 측정을 위해 Philips GEMINI 16 슬라이스 PET/CT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튜브 전압 값과 시간에 따른 전류 값에 대해 표준 CTDI 머리 팬텀과 몸 팬텀을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100 mm의 유효 길이를 가지는 펜슬 이온 전리함과 전기계를 선량 측정에 이용하였다. 측정은 공기 중, 팬텀의 중심, 그리고 팬텀의 가장 자리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평균 흡수선량인 가중 CTDI ($CTDI_w=1/3CTDI_{100,c}+2/3CTDI_{100,p}$) 값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등가 선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자가 속한 기관에서의 전신 임상 PET/CT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한 투과 스캔에서의 방사선 선량 측정을 위해 Alderson 팬텀과 TLD를 이용하여 $^{137}Cs$ 투과 스캔과 고화질 CT투과 스캔을 각각 수행하여 각 인체 기관별 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TLD는 10 MeV X-선을 이용하여 교정한 후 ${\pm}5%$ 이내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만 측정에 사용하였다. 장기 또는 조직은 ICRP 60을 참고로 선택하였다. 표준 CTDI 머리 팬텀과 몸 팬텀을 이용한 CT 투과 스캔에 대한 선량 측정 결과, 선량 값이 튜브 전압과 전류에 의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7}Cs$ 투과 스캔과 고화질 CT 투과 스캔에 대한 유효 선량 측정 결과는 0.14 mSv와 29.49 mSv였다. PET/CT 시스템에서 표준 CTDI 팬텀과 이온 전리함, 그리고 Alderson 인체 팬텀과 TLD를 이용하여 투과 스캔에 대한 방사선 선량을 평가할 수 있었다. PET/CT 영상 획득 시, 우리가 원하는 영상의 화질을 유지하면서 환자에 대한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상 획득 방식의 최적화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반복적인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시행 시 환자선량 감소를 위한 관전압 변화 적용의 유용성 (Usefulness of Application of Tube Voltage Changes to Reduce Patient Dose during Abdominal CT Follow up)

  • 윤준;김현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93-299
    • /
    • 2021
  • CT 장치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의 불가항력적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스캔 파라미터 중 X선의 투과력과 밀접한 관전압의 변화를 통해 환자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캔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많이 적용하는 120 kVp 대신 100 kVp를 적용하여 스캔 시 CTDI가 약 41 % 감소하였다. 또한 화질 변화정도는 CT value는 1046.1±3.7 HU, Pixel value는 71.4±7.9로 측정되었으며 통계분석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0.05

안와파열골절의 수술결과 평가에서 두 단면의 CT영상 필요성 (Need of Two Planes of CT Scan for Evaluation of Orbital Blowout Fracture Reconstruction)

  • 이수향;범진식;김양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94-198
    • /
    • 2005
  • In many reports on the reconstruction of an orbital blowout fracture, CT(computed tomography) imaging has been used for postoperative evaluation. However, in most cases, only one plane of the CT scan was presented, which may not be sufficient for accurate evalu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CT scans presented in the related 49 articles (56 cases), and investigated our patients (150 cases) to investigate where were the most frequent unfavorable reconstructions, and to determine which planes should be presented for accurate evaluation. One plane of the CT scan was presented in 70% of the cases. On the other hand, 30% of the cases presented two planes of the CT scans. In our cases, the most prevalent sites for an unfavorable reconstruction were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inferior wall, and the posterior and the inferior portion of the medial wall. In order to accurately evaluate an orbital wall reconstruction, at least two planes of a CT scan are needed. For an inferior wall evaluation, both the middle and the posterior planes of the coronal section or both the coronal and the sagittal sections are necessary. In addition, for the medial wall evaluation, both the axial and the coronal sections or both the middle and the posterior planes of the coronal section are required.

Establishment of Injection Protocol of Test Bolus for Precise Scan Timing in Canine Abdominal Multi-Phase Computed Tomography

  • Choi, Sooyoung;Lee, In;Choi, Hojung;Lee, Kija;Park, Inchul;Lee, Youngw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3-96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injection protocol to determine the precise CT scan timing in canine abdominal multi-phase CT using the test bolus method. Three dynamic scans with different contrast injection parameters were performed using a crossover design in eight normal beagle dogs. A contrast material was administered at a fixed dose of 200 mg iodine/kg as a test bolus for dynamic scans 1 and 2, and 600 mg iodine/kg as a main bolus for dynamic scan 3. The contrast materials were administered with 1 ml/s in dynamic scan 1, and 3 ml/s in dynamic scan 2 and 3. The mean arrival time to the appearance of aortic enhancement in dynamic scan 3 was similar to that in dynamic scan 2, and different significantly to that in dynamic scan 1. The mean arrival time to the peak aortic and pancreatic parenchymal enhancement in dynamic scan 3 was similar to that in dynamic scan 1, and different significantly to that in dynamic scan 2. In multi-phase CT scan, a test bolus should be injected with the same injection duration of a main bolus, to obtain the precise arrival times to peak of arterial or pancreatic parenchymal enhancement.

PET-CT 검사 시 호흡동조 시스템을 이용한 인공물 감소에 대한 비교 평가 (The Research of Comparison Evaluation on the Decline in Artifact Using Respiratory Gating System in PET-CT)

  • 김진영;이승재;정석;박민수;강천구;임한상;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19권2호
    • /
    • pp.63-67
    • /
    • 2015
  • 환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인공물의 감소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 호흡동조 시스템(이하 Q static scan)과 비교하여 CTAC Shift 보정방법, Additional scan(추가 검사방법)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5년 2월에서 5월까지 본원을 내원한 환자들 중 영상에서 호흡에 의해 인공물이 발생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장비는 PET-CT Discovery 710 (GE Healthcare, MI, USA)과 호흡동조 시스템인 Varian사의 RPM system을 사용하였다. 환자는 24시간동안의 운동금지, 12시간동안 커피와 담배 금지, 8시간동안 금식을 한 후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도착시 혈관확보를 한 후 혈당 체크를 진행하며 $^{18}F$-FDG를 kg당 5.18 Mbq을 주사하였다. 그 후 1시간동안 안정을 취하고, 배뇨 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CT조건은 관전압 120 kVp와 관전류 60 mAs, DFOV는 70 cm, Matrix size는 $192{\times}192$으로 모두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인공물이 발생한 영상을 기준으로 Additional scan, 호흡동조 시스템을 연동한 Q static scan, CTAC Shift 보정방법을 통해 영상화하였다. 각각의 영상에서 인공물의 감소를 비교하였으며, 육안적 평가와 SUVmax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공물이 발생한 Whole body scan(WBS)을 통해 얻은 영상 대비 CTAC Shift 보정방법을 통해 얻은 영상의 경우 12~56%, Q static scan 영상은 17~54%, Additional scan 영상은 -27~46%의 변화율을 보였다. Blind Test에서는 CTAC Shift 보정영상이 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Q static scan 영상이 3.5점, Additional scan 영상이 3.4점의 점수를 얻었다. Oneway ANOVA 검정을 통해 기준이 된 WBS scan 영상과 세 가지 Scan방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세 가지 Scan방법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Blind test에서는 세 가지 Scan방법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dditional scan과 Q static scan은 CTAC Shift 보정 방법보다 시간이 소요되며 환자에게 CT 재촬영에 의한 과피폭이 우려되며 Q static scan은 호흡의 기복이 심하거나 통증으로 인해 호흡 주기가 불규칙한 환자의 경우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CTAC Shift 보정 방법의 경우 제한적으로 보정이 가능하며 그 범위 또한 제한적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병원의 시스템을 적절히 이용하고 각 방법의 장점의 여러 요소들을 발전시킨다면 진단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써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골격계 육종에서 관상골MR과 편평골CT의 유용성 (Skeletal Sarcomas Examined with MR in Tubular and CT in Flat Bones)

  • 문태용;이영준;정경화;허진도;설미영;권운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2-168
    • /
    • 2003
  • 목적: 골격을 침해하는 원발성 악성종양으로는 골육종이나 연골육종 같은 간엽성육종과 유윙육종이나 림프종 같은 소원형세포성육종으로 나눈다. 골격육종을 진단하기 위해 관상골 육종은 MR검사를 편평골 육종은 CT검사를 주로 이용한다. MR과 CT는 공히 골파괴병소와 연조직종괴를 잘 나타내지만 무기질침착은 MR에서 식별되기 어렵다. 이에 본저자들은 관상골 MR과 편평골 CT검사의 골파괴 소견으로 간엽성육종과 소원형세포성육종을 감별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적 조직생검술에 의한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되고 관상골 MR 또는 편평골 CT검사를 시행했던 간엽성육종 28례와 소원형세포성육종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골 MR검사 26례와 편평골CT검사 28례에서 골파괴 병소 소견을 각각 편심성과 중심성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관상골 MR검사에서 간엽성육종 16례중 12례(75.0%)가 편심성 골파괴 소견이였고 소원형세포육종 10례는 전례(100.0%)가 중심성 골파괴 소견이었다(p>.01). 편평골 CT검사에서 간엽성육종 12례중 10례(83.3%)에서 편심성 골파괴 소견이었고 소원형세포성육종 16례중 13례(81.3%)가 중심성 골파괴 소견을 보였다(p>.01). 결론: 관상골 MR검사든 편평골 CT검사든 골파괴 양상을 중심성과 편심성으로 나누는 방사선학적 소견은 간엽성육종과 소원형세포성육종을 감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이었다.

  • PDF

CT 및 초음파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체적 측정의 정확도 및 유용성 (Accuracy and Usefulness of Volume Measurement using CT and Ultrasound Scan Data)

  • 김현주;이후민;윤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89-294
    • /
    • 2022
  • 본 연구는 CT와 USG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팬텀 실험과 환자 스캔 데이터를 활용하는 임상실험으로 체적 측정의 정확도 및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CT와 USG 스캔 데이터 모두 다양한 체적의 실제 원형 팬텀의 체적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동일 환자의 방광 체적 측정 결과 CT 데이터는 236.9±2.1, USG 영상은 236.9±1로 측정되어 통계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본 결과의 임상 적용은 추가 임상실험이 필요하지만, 환자 피폭, 검사자의 스캔 기술, 그리고 CT 재구성 경험 등을 고려하여 CT 또는 초음파 장치를 선택 적용한다면 의료영상을 활용한 체적 측정의 유용성 측면에서 기초자료로 적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T/CT 결합영상진단 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T/CT Fusion Imaging)

  • 김종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3-198
    • /
    • 2004
  • PET/CT combines the functional information from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exam with the anatomical information from a computed tomography (CT) exam into one single exam. A CT scan uses a combination of x-rays and computers to give the radiologist a non-invasive way to see inside your body. One advantage of CT is its ability to rapidly acquire two-dimensional pictures of your anatomy. Using a computer these 2-D images can be presented in 3-D for in-depth clinical evaluation. A PET scan detects changes in the cellular function - how your cells are utilizing nutrients like sugar and oxygen. Since these functional changes take place before physical changes occur, PET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enables your physician to make an early diagnosis. The PET exam pinpoints metabolic activity in cells and the CT exam provides an anatomical reference. When these two scans are fused together, your physician can view metabolic changes in the proper anatomical context of your body. PET/CT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including more accurate localization of functional abnormalities, and the distinction of pathological from normal physiological uptake, and improvements in monitoring treatment. A PET/CT scan allows physicians to measure the body's abnormal molecular cell activity to detect cancer (such as breast cancer, lung cancer, colorectal cancer, lymphoma, melanoma and other skin cancers), brain disorders (such a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epilepsy), and heart disease (such as coronary artery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