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 images

검색결과 1,652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 흉부 CT 검사에서 재구성 기법에 따른 영상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Images according to Reconstruction Techniques in Pediatric Chest CT)

  • 김구;곽종혁;이승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85-295
    • /
    • 2023
  • 기술의 발전으로 CT 검사에 있어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새로운 재구성 기법 개발과 함께 계속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반복적 재구성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딥러닝 재구성 기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소아 흉부 CT 영상에서 재구성 기법에 따른 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환자 실험은 2021년 1월 2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경상남도 P 병원에서 흉부 조영 CT 검사를 받은 소아 환자 중 8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팬텀 실험에 사용된 팬텀은 Pediatric Whole Body Phantom PBU-70이다. 검사 후 FBP, ASIR-V(50%), DLIR(TF-Medium,High)로 영상을 재구성했고, 동일한 크기의 ROI를 설정하여 HU값, SD값을 획득하여 SNR, CNR 값을 산출하여 영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LIR의 TF-H가 모든 실험에서 ASIR-V(50%)와 TF-M에 비해 잡음 값이 가장 낮았으며, SNR과 CNR의 값이 가장 높았다. 소아 흉부 CT 검사에서 DLIR이 적용된 TF 영상이 ASiR-V 영상보다 잡음이 적었고, CNR과 SNR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LIR이 적용되면 기존의 재구성법에 비해 영상의 질이 더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안면부 골절 수술 전후 다중검출기 전산화 단층촬영의 효용성 비교 (Comparison of the Usefulness of MDCT (Multidetective Computed Tomogram) in Facial Bone Fractures)

  • 홍윤기;김형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1호
    • /
    • pp.28-34
    • /
    • 2006
  • Purpose: In maxillofacial surgery, proper preoperative diagnosis is very important in achieving good postoperative results. Although conventional CT scans are useful for visual representations of fractures, they cannot provide direct guidance for reconstructing facial bone fractures. However, the recent technology of multislice scanning has brought many clinical benefits to CT images. Direct correlations can be made between preoperative imaging data and operative planning.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CT and multidetective three-dimensional CT(3D MDCT) measurements in craniofacial deformities.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November 2005, MDCT scans of 41 patien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m with conventional CT scans. The 3D MDCT images were assessed and reviewed by using a simple scoring system. Results: The 3D MDCT scans offered easy interpretation, facilitated surgical planning, and clarified postoperative results in malar complex fractures, mandibular fractures, and extensive maxillofacial fractures and cranioplasty. However, 3D MDCT images were not superior to conventional CT scans in the diagnosis of blowout fractures. Conclusion: In spite of its limitations, the 3D MDCT provided additional and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n the conventional CT for preoperative assessment of craniofacial deformities. Therefore, the 3D MDCT can be a useful tool for diagnosis and systematic treatment planning in craniofacial skeletal deformities.

반복적 연산으로 얻은 Sparse-view CT 영상에 대한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Sparse-view CT Images Obtained with Iterative Image Reconstruction Methods)

  • 김혜선;;조민형;이수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7-263
    • /
    • 2011
  • Sparse-view CT imaging is considered to be a solution to reduce x-ray dose of CT. Sparse-view CT imaging may have severe streak artifacts that could compromise the image qualities. We have compared quality of sparseview images reconstructed with two representative iterative reconstruction techniques, SIRT and TV-minimization, in terms of image error and edge preservation. In the comparison study, we have used the Shepp-Logan phantom image and real CT images obtained with a micro-CT. In both phantom image and real CT image tests, TV-minimization technique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error reduction and preserving edges. However, the excessive computation time of TV-minimization is a technical challenge for the practical use.

Fast and Accurate Rigid Registration of 3D CT Images by Combining Feature and Intensity

  • June, Naw Chit Too;Cui, Xuenan;Li, Shengzhe;Kim, Hak-Il;Kwack, Kyu-Sung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1-11
    • /
    • 2012
  •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are widely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temporal evaluation or monitoring of the progression of a disease. The follow-up examinations of CT scan images of the same patient require a 3D registration technique. In this paper, an automatic and robust registration is proposed for the rigid registration of 3D CT images. The proposed method involves two steps. Firstly, the two CT volumes are aligned based on their principal axes, and then, the alignment from the previous step is refined by the optimization of the similarity score of the image's voxel. Normalized cross correlation (NCC) is used as a similarity metric and a downhill simplex method is employed to find out the optimal score.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is evaluated on phantom images and knee synthetic CT images. By the extraction of the initial transformation parameters with principal axis of the binary volumes, the searching space to find out the parameters is reduced in the optimization step. Thus, the overall registration time is algorithmically decreased without the deterioration of the accuracy. The preliminary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rigid registration problems of real patient images.

Distinction of Internal Tissue of Raw Ginseng Root Using a Computed Tomography Scanner

  • Jung, In-Chan;Jeong, In-Soo;Kim, Cheon-Su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469-476
    • /
    • 2012
  • Raw ginseng root of Panax ginseng is graded according to its shape and the quality of its internal tissue. A variety of grades are sold with prices according to grade. If an inferior raw ginseng is purchased, the consumer experience an economic lo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noninvasive method for investigating raw ginseng's internal tissu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computed tomography (CT) scanner images agreed with actual cross-sections of raw ginseng. CT images were obtained to assess the internal portions of raw ginseng, and CT scans of raw ginseng were thoroughly measured using the Hounsfield unit (HU) system, since it allow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compared to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HU is a measure of attenuation used for CT images, with each pixel being assigned a value using a scale on which air is defined as -1000, water as 0 and compact bone as +1000. It takes about one second to process are slice and produce an image of the raw ginseng by a one channel CT scanner. An image good enough to discriminate the internal tissues can be obtained in 1/24 seconds with a one-channel CT scanner. Using this method, images of raw ginseng can be obta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tissues can be observed in a short time.

복부 CT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Methods to Improve Image Quality of Abdominal CT Images)

  • 최석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17-723
    • /
    • 2023
  • 간 질환을 포함한 여러 복부 질환은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복부 질환 진료 시 전산화단층검사는(CT; Computed Tomography)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판독에 유리한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높은 방사선 노출이 따르는데, 이에 대한 화질관리와 환자의 피폭 관리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복부 CT 영상의 화질개선을 위해서 후처리 방식의 웨이블릿(Wavelet)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웨이블릿은 입력 영상의 종류에 따라 역치(Threshold) 값을 설정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역치 값을 실험적으로 제안하였고 화질 평가도 하였다. 실험결과, 복부 CT 영상의 최적 역치 값은 50으로 계산되었다. 실험영상 1의 경우 49%, 실험 영상 2의 경우 29% 노이즈가 개선되었고, 대조도도 크게 상승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저선량 복부 CT 영상을 획득 후 후처리 방법으로 적용한다면,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어 질병 판독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Metal artifact 감소를 위한 CT simulator 영상 재구성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construction of image acquired from CT simulator to reduce metal artifact)

  • 최지훈;박진홍;최병돈;원희수;장남준;구장현;홍주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197
    • /
    • 2014
  • 목 적 : CT simulation 시 고 밀도 인공물에 의해 발생된 metal artifact는 주변조직의 관찰능력 감소 및 CT number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CT 촬영 시 Metal Artifact Reduction for Orthopedic implants(O-MAR)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CT simulator를 이용하여 Gammex phantom과 Rando phantom의 original 영상, 고 밀도 인공물을 삽입 후 획득한 non O-MAR 영상과 O-MAR 적용 영상을 획득하였다. CT 영상 평가를 위해 Gammex phantom CT 영상 내 5개 조직과 artifact 영향을 직접 받는 3개 지점에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각각 설정하고, CT number와 노이즈(standard deviation, SD)를 평균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고 밀도 인공물 주변조직의 CT number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 확인을 위해 전산화치료계획시스템 Eclipse를 이용하여 Rando phantom CT 영상 3곳에 원기둥 체적을 형성하였다. 치료계획은 6 MV 광자선, 7개 조사면, 조사야 $15{\time}15cm$, 1회당 처방선량 100 cGy를 적용하여 수립하고 평균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실험 모두 original 영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Gammex phantom을 이용한 영상평가 실험에서 각 영상별 5개 조직의 CT number 차이는 작았으며, artifact 영향을 직접 받는 3개 지점은 O-MAR 적용 시 original 영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O-MAR 적용 시 8개 지점의 SD는 non O-MAR 영상보다 모두 감소되었다. Rando phantom을 이용한 선량변화 실험 또한 O-MAR 적용 시 original 영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 론 : O-MAR 적용 시 고 밀도 인공물 artifact로 인한 영상 왜곡 및 SD 감소로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CT number 보정에 유용하였다. 이는 체표윤곽도(contour) 생성 및 치료계획 수립에 이점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SPECT/CT에서 CT감쇠보정에 따른 영상의 질 평가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CT Attenuation Correction in SPECT/CT)

  • 조성욱;김계환;성용준;이형진;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78-83
    • /
    • 2013
  • SPECT/CT는 SPECT와 CT를 결합하여 감약에 의한 왜곡된 영상을 CT의 감쇠보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쇠보정을 이용한 SPECT/CT 영상은 우수한 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하며 정확한 영상을 비교 및 판독할 수 있어서 영상의 진단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연구에서는 phantom 실험 및 환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CT 감쇠보정 전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2년 7월부터 9월까지 본원 핵의학과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와 phantom을 이용하여 영상의 대조도와 공간분해능, 심근의 관류 점수를 연구하였다. NEMA IEC, Jaszczak phantom으로 영상의 대조도, triple line phantom으로 영상의 공간분해능,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을 사용하여 심근의 관류 점수를 평가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검사 영상을 통하여 CT 감쇠보정 전후를 핵의학 전공의 3명, 5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5명의 blind test를 통하여 영상을 평가해 보았다. IEC phantom에서 각 구별로 CT 감쇠보정 전후의 대조도 분석 결과 감쇠보정 전보다 최소 33.6%, 최대 89.8% 향상되었고, Jaszczak phantom의 경우 대조도가 최소 9.9%, 최대 27.8%, triple line phantom에서 수평의 경우 분해능이 4.4%, 수직의 경우 분해능이 4.6%로 평균 약 4.5%,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의 경우 심근 하벽에서의 관류 점수가 29.4%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131}I$, bone SPECT/CT의 blind test 결과 감쇠보정 후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T 감쇠보정을 통한 SPECT/CT 영상의 질을 평가한 결과 SPECT 영상에서 대조도와 공간분해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CT를 이용한 감쇠보정은 병소의 해부학적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보다 나은 영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뇌출혈 질감특징분석 (Texture Feature Analysis Using a Brain Hemorrhage Patient CT Images)

  • 박형후;박지군;최일홍;강상식;노시철;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69-374
    • /
    • 2015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질감특징분석 알고리즘은 뇌출혈환자의 CT영상을 이용하여 정상영상과 질환영상으로 구분하여, 고유영상 및 실험영상을 생성하고 제안된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에 적용하여 6개의 파라메타로 정량적 분석을 통해 뇌출혈 CT영상의 인식률을 도출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로 뇌출혈 CT영상 40증례 중에서 각각의 질감 특징값에 대한 인식률은 평균밝기의 경우 100%, 평균대조도의 경우 100%, 평탄도의 경우 100%, 왜곡도의 경우 100%로 높게 나타났고, 균일도의 경우 95%, 엔트로피의 경우 87.5%로 다소 낮은 질환 인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영상의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으로 발전된 프로그램을 구현한다면 뇌출혈 CT영상의 질환부위 자동검출 및 정량적 진단이 가능해 컴퓨터보조진단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최종판독에서 정확성과 판독시간 단축에 유용하게 사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Radiographic analysis of odontogenic cysts showing displacement of the mandibular canal

  • Cho Bong-Ha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4호
    • /
    • pp.211-215
    • /
    • 2003
  • Purpose: To assess the radiographic findings of odontogenic cysts showing displacement of the mandibular canal using computed tomographic (CT) and panoramic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 CT and panoramic images of 63 odontogenic cysts (27 dentigerous, 16 odontogenic keratocysts, and 20 radicular cyst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following parameters: the dimension and shape of the cysts, and the effect of the cysts on the mandibular canal and cortical plates. Results: Of the 63 cysts examined in the study, 35 (55.6%) showed inferior displacement of the mandibular canal and 46 (73.0%) showed perforation of the cana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T and panoramic images in depicting displacement and perfor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Cortical expansion was seen in 46 cases (73.0%) and cortical perforation in 23 cases (36.5%). The radicular cysts showed cortical expansion and perforation less frequently than the other cyst groups. Conclusion: Large cysts of mandible should be evaluated by multiplanar CT images inorder to detect the mandibular canal and cortical bone involv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