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 Scans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5초

Traumatic Posterior Fossa Epidural Hematomas in Children : Experience with 48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 You, Chaoguo;Long, Xiu;Hu, Liuxun;Sheng, Hansong;Zhang, N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2호
    • /
    • pp.225-231
    • /
    • 2019
  • Objective : Epidural haematoma (EDH) most commonly occurs in the supratentorial area, particularly in the temporal region, of the brain. Posterior fossa epidural haematoma (PFEDH) is less frequently observed, accounting for only 1.2% to 12.9% of all EDH cases. Because of the non-specific symptoms and the potential for rapid and fatal deterioration in children, an early computed tomography (CT) scanning is necessary for all suspicious cas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hare the experience of 48 cases and review the literature concerning PFEDH.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48 paediatric cases diagnosed with PFEDH and admitted to Yuying Children's Hospital of Wenzhou Medical University from January 2010 to August 2015.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literature. Results : Seventeen patients were surgically treated in this series and 31 patients received non-operative treatment. The outcomes were good in 46 patients, evaluated using the Glasgow outcome score (GOS), while mild disability was observed in one patient, and only one case showed severe disability. There were no cases of mortality in this series. Conclusion : Posterior fossa epidural haematoma is relatively rare compared with supratentorial epidural haematoma. Early and serial CT scans should be performed for all suspicious cases. The criteria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paediatric patients with PFEDH were concluded. The overall prognosis was excellent in paediatric patients.

후두와 종양의 방사선치료 시 표적용적의 결정을 위한 적절한 치료자세 연구 (Technical Review of Target Volume Delineation on the Posterior Fossa Tumor : An Optimal Head and Neck Position)

  • 윤상민;이상욱;안승도;김종훈;이병용;나영신;김태형;최은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94-99
    • /
    • 2003
  • 목적 :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기를 이용한 후두와(posterio fossa) 종양의 방사선치료 시 어떤 자세로 치료하는 것이 치료범위 결정 및 치료계획에 유리한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후두와 치료의 적절한 치료자세를 설정하고 이를 이용한 치료계획을 소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소뇌 충부에 발생한 수모세포종으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13세 남자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는 두개척수방사선치료를 일일선량 1.8 Gy로 30.6 Gy 시행 받은 후 후두와 영역에 추가방사선치료계획을 위해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를 받았다. 전산화단층촬영 시 복와위로 두부고정틀을 이용하여 자세를 고정하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두개골에서 경부 하방까지 촬영하였다. 단층 영상에 정상조직과 치료영역을 표시하였고 3차원 입체치료계획시스템을 이용해 비동일평면 입체조형 빔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웠다 결과 : 전산화단층영상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환아는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었고, 이 후 치료 중에도 자세를 재현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복와위 자세로 얻은 전산화단층영상에서 천막과일부 정맥동의 조영증강이 잘 관찰되어 후두와의 해부학적 범위를 결정하기가 용이하였다. 또 복와위 자세에서 후두와가 환아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어 3차원 입체치료계획 시 방사선의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았고 치료 침대에 의한 선량분포의 불확실성이 없어서 보다 정확한 치료계획이 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후두와 치료 시 적절한 치료자세는 복와위임을 알 수 있었고, 안정되고 치료계획이 용이한 자세를 찾아내기 위해, 마취(sedation)가 필요하지 않거나 의식상태가 명료한 소아 환자를 통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동맥 화학 색전술에 사용하는 Lipiodol에 의한 감쇠 오차가 PET/CT검사에서 영상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ng the Impact of Attenuation Correc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piodol in PET/CT after TACE)

  • 차은선;홍건철;박훈;최춘기;석재동
    • 핵의학기술
    • /
    • 제17권1호
    • /
    • pp.67-70
    • /
    • 2013
  • 급증하는 간세포암 환자에게 간동맥 화학 색전술은 효과적인 중재적 시술 방법 중 하나이다. 이때 PET/CT 검사는 색전 후 잔존 암세포의 존재 및 전이여부와 예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간동맥 화학 색전술에 사용되는 색전물질인 Lipiodol은 PET/CT 검사에서 인공물을 생성하고 정량평가에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Lipiodol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방사능 값과 백분율 오차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1994 NEMA Phantom에 Lipiodol과 Teflon, 물을 세 개의 삽입물에 넣고 나머지 부분을 배후 방사능 $20{\pm}10MBq$를 주입하고 충분히 섞은 후 2분 30초/bed data를 획득 하였다. 재구성 방법은 반복 영상 재구성법으로 반복횟수 2회, 부분 집합 수 20을 적용하였으며, Lipiodol과 Teflon, 물, 인공물 발생부위, 배후 방사능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방사능 값과 백분율 오차를 산출 하여 비교하였다. 방사능 값은 Teflon, 물, Lipiodol, 삽입물 사이 인공물 발생 부위, 배후 방사능 부위에서 각 영역 중 방사능 값은 $0.09{\pm}0.04$, $0.40{\pm}0.17$, $1.55{\pm}0.75$, $2.5{\pm}1.09$, $2.65{\pm}1.16 kBq/ml$(P<0.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백분율 오차가 Lipiodol에서 물에 비해 118%, 배후 방사능에 비해서 52%, Teflon에 비해 180%의 차이가 있었다. Lipiodol을 주입한 후 검사에서 감약 보정의 영향을 받아 오차로 인한 방사능 농도 값이 다른 삽입물에 비해 현저히 높고 배후 방사능보다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ipiodol과 같은 조영 물질을 사용한 검사에서는 인공물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임상에서는 감약 보정을 적용하지 않은 영상을 참고해서 검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PDF

국소 진행된 직장암의 $^{18}F$-FDG PET/CT를 이용한 항암방사선치료의 반응성 예측 (The Usefulness of $^{18}F$-FDG PET/CT for Predicting the Response of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to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 강진규;김미숙;최철원;정수영;류성렬;조철구;양광모;유형준;천기정;신영주;서영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111-119
    • /
    • 2009
  • 목 적: 국소 진행된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항암방사선치료 후 정확한 치료 반응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소 진행된 직장암에서 $^{18}F$-FDG PET/CT를 이용한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의 반응성 예측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원자력의학원에서 국소 진행된 직장암으로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한 회에 1.8 Gy씩 하루 1회 주 5회의 일정으로 총 50.4 Gy 시행되었고, 항암 치료는 3주 간격으로 3회 시행되었다. 모든 환자는 치료 전과 항암방사선치료 종료 6주 후에 각각 $^{18}F$-FDG PET/CT 촬영을 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을 시행 받았고 수술 후 절제된 조직을 통해 Dworak 분류에 따른 종양의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20명 중 11명의 환자가 Dworak 분류에 따라 반응군에 속했으며, 나머지 9명은 비반응군으로 분류되었다. 수술 후 $SUV_{max}$값과 metabolic volume (SUV가 2.5 이상인 병변의 용적)은 수술 전 $SUV_{max}$값과 metabolic volume보다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반응군에서 metabolic volume의 변화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치료 후 반응군과 비반응군을 구분하는 cut-off value는 $SUV_{max}$가 67% 감소하는 지점으로 나타났다. 이 cut-off value를 이용하여 반응군과 비반응군을 구분하는 경우 민감도는 45.5%, 특이도는 88.9%였으며,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은 각각 71.4% 및 53.8%였다. 결 론: 비록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다른 연구들을 통해 봤을 때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방사선 및 항암 병합 요법의 효과를 판정하고 예측하는데 있어서 $^{18}F$-FDG PET/CT를 이용한 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기종환자에서 고해상도 CT와 폐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High-Resolution CT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in Patients with Emphysema)

  • 안중현;박정미;고승현;윤종구;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박성학;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67-376
    • /
    • 1996
  • 연구배경 : 폐기종의 실제적 진단은 환자들의 임상적 소견과 함께 주로 폐기능검사와 방사선학적검사등으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고해상도 CT가 널려 이용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폐기종환자들의 고해상도 CT상 나타나는 질환의 심한 정도가 환자의 폐기능검사나 동맥혈가스검사 및 그외의 환자의 임상적 특성들과 어느 정도나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지 CT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10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가톨릭의대부속 성모병원에서 폐기종의 임상적 증상과 증후를 보인 환자들중에 폐기능검사와 고해상도 CT등을 이용하여 폐기종으로 진단한 20예(남자 16명, 여자4명, 평균연령 62.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해상도 CT(Siemens Somatom plus Vd-30)상 폐기종의 심한정도는 본 대학 방사선과 전문의에 의해 Sakai방법으로 점수를 판정하였고, 폐기능검사(Medical Graphics Cooperation 1082 Series Plethysmography)상의 여러 지표들과 환자의 연령, 성별, 선정, 체중, 흡연력, 동맥혈가스분석결과 및 CBC상 지표등과 고해상도 CT상 폐기종점수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고해상도 CT상 폐기종점수는 폐기능검사상의 지표인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노력성 폐활량(FVC), 폐확산능(DLco), 폐포량에 대한 폐확산능(DLco/VA)등과 각각 의미있는 역상관관계(inverse correlation)를 보였다(각각의 상관계수 r=-0.53 p<0.05, r=-0.47 p<0.05, r=-0.68 p<0.05, r=-0.49 p<0.05). 2) 고해상도 CT상 폐기종점수는 총폐활량(TLC) 및 잔기량(RV)등과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의 상관계수 r=0.50 p<0.05, r=0.64 p<0.05). 3) 고해상도 CT상 폐기종점수는 동맥혈가스분석검사상 동맥혈산소분압(PaO2)과 의미있는 역상관관계 (r=-0.48 p<0.05)를 보였고 폐포-동맥간 산소분압차{D(A-a)O2}와 의미있는 상관관계(r=0.48 p<0.05)를 보였으나,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PaCO2)과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r=-0.32 p>0.05). 4) 고해상도 CT상 폐기종점수는 환자의 연령, 성별, 신장, 체중, 흡연량 및 CBC상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백혈구수등과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폐기종환자에서 고해상도 CT상 폐기종점수는 폐기능검사상의 폐기능장애정도 및 동맥혈가스분석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Clinical Application of Serum Tumor Associated Material (TAM)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 Li, Cheng-Guang;Huang, Xin-En;Xu, Lin;Li, Ying;Lu, Yan-Y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301-304
    • /
    • 2012
  • Objective: To explore the associations of serum tumor associated material (TAM) with other common tumor markers like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arbohydrate antigen 125 (CA125), carbohydrate antigen19-9 (CA19-9)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Methods: A total of 87 patient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all with histologically or cytologically confirmed NSCLC. With the method of chemical colorimetry, the level of TAM was determined and compared, while chemiluminescenc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common tumor markers. Results: The level of TAM decreased after chemotherapy compared with before chemotherapy when CT or MRI scans showed disease control. Furthermore, it increased when disease progesse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itoring of TAM and common tumor markers (P>0.05). Conclusions: Detecting TAM in NSCLC patients has a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so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clinical monitoring of lung cancer chemotherapy.

Pulmonary Nodular Lymphoid Hyperplasia in a 33-Year-Old Woman

  • Park, Ji Ye;Park, Seong Yong;Haam, Seokjin;Jung, Joonho;Koh, Young Wh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2호
    • /
    • pp.133-137
    • /
    • 2018
  • Pulmonary nodular lymphoid hyperplasia is a reactive lymphoproliferative disease. It is very rare, which means that many aspects of the disease are unknown or have not been proven. Pulmonary nodular lymphoid hyperplasia can be symptomatic or asymptomatic, progressive or not, and solitary or multiple, and a surgical approach is the current treatment of choice. We present a case of pulmonary nodular lymphoid hyperplasia that was visualized as multiple ground glass opacities on a computed tomography (C T) scan, and observed for 1 year because the patient was pregnant. Over this period, the number and extent of the opacities progressed, but no symptoms were reported. A surgical biopsy was done and some remaining lesions regressed on follow-up CT scans, while others progressed, without any appearance of symptoms.

두개강내로 침윤을 보인 안와 해면상 림프관종 - 증 례 보 고 - (Orbital Cavernous Lymphangioma with Intracranial Extension - Case Report -)

  • 김기현;이성락;조재훈;강동기;김상철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105-109
    • /
    • 2001
  • Lymphangioma is a rare benign developmental vascular tumor that may be found in orbit, skull and elsewhere in head and neck. Few cases of extension of this benign but insidious tumor posteriorly out of the bony orbital cavity have been reported. The patient was 40-year-old man complaining of proptosis of right eye for one month.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severe right exophthalmus, impairment of eyeball movement in all directions. Visual acuity was much impaired and he could percept only light with right eye. CT and MRI scans showed intraconal and extraconal involvement of ill-defined, heterogenous mass with extension of the tumor posteriorly beyond the orbital cavity involving right frontal and temporal lobe, skull and subcutaneous tissue. The tumor was subtotally removed via orbito-frontal approach without damaging vital neural and orbital component. Then, orbital roof reconstruction and cranioplasty were done with resin. Successful surgical removal of lymphangioma is very difficult due to its severe infiltration to surrounding tissue and tendency to bleed during debulking. We report a rare case of orbital cavernous lymphangioma with intracranial extension treated with surgical decompression,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Dosimetric Impact of Ti Mesh on Proton Beam Therapy

  • Cho, Shinhaeng;Goh, Youngmoon;Kim, Chankyu;Kim, Haksoo;Jeong, Jong Hwi;Lim, Young Kyung;Lee, Se Byeong;Shin, Dongho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8권4호
    • /
    • pp.144-148
    • /
    • 2017
  • When a high density metallic implant is placed in the path of the proton beam, spatial heterogeneity can be caused due to artifacts in three dimensional (3D)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These artifacts result in range uncertainty in dose calculation in treatment planning system (TPS). And this uncertainty may cause significant underdosing to the target volume or overdosing to normal tissue beyond the target. In clinical cases, metal implants must be placed in the beam path in order to preserve organ at risk (OARs) and increase target coverage for tumors. So we should introduce Ti-mesh. In this paper, we measured the lateral dose profile for proton beam using an EBT3 film to confirm dosimetric impact of Ti-mesh when the Ti-mesh plate was placed in the proton beam pathway. The effect of Ti-mesh on the proton beam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lateral dose profile calculated from TPS with the film-measured value under the same conditions.

Chondrosarcoma Apoplexy in Thoracic Spine

  • Kim, Sang Woo;Kim, Min Su;Jung, Young 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3권1호
    • /
    • pp.46-48
    • /
    • 2013
  • Chondrosarcoma is a very uncommon malignant primary bone tumor, especially, it occurs extremely rare in the spine. A 52-year-old man was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with sudden paraplegia. Twelve hours prior to a paraplegic event, he visited an outpatient clinic with discomfort and tenderness around the medial border of the right scapular, and his neurologic status was absolutely inta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lobulated soft tissue mass from T3 to T5, which extended to the epidural space. Computed tomography scans showed soft tissue mass on the spinal posterior arch and osteolytic change of the adjacent bony structures. Emergent surgery was performed and the lesion was removed. Dark reddish blood and gel-like material were encountered around the dura and posterior arch during the operation. Multiple pulmonary nodules were found on a chest CT scan and a biopsy of one of them had been proven to be a metastasis of chondrosarcoma. The histologic examination showed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The patient's neurologic deficit was improved slowly from ASIA A to ASIA D. Chondrosarcoma in the spine is extremely rare, even more with acute hemorrhage and sudden expansion into the epidural space. We named it chondrosarcoma apoplexy.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 hemorrhagic event when the patient's neurologic deficit worsens suddenly with spinal bone tum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