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AT Mock Tes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수능 모의평가의 이질성이 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 수학 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eterogeneity between Nationwide Coalition Scholastic Ability Evaluations and CSAT Mock Tests on School Education: Focused on the Mathematics Section)

  • 양성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8
    • /
    • 2017
  • 수능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재학생들은 3학년 1년 동안 두 유형의 모의평가를 통하여 수능을 준비하게 된다. 시 도교육청 주관으로 제작 시행되는 4회의 전국연합학력평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수능 6월 9월 모의평가를 치르게 된다. 그러나 이 두 유형의 시험은 많은 유사성을 내포하는 동시에 상당히 이질적인 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교육청에서 발표한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분석 및 통계 자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발표한 2017학년도 수능 6월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두 유형 간의 이질성을 난이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 소재 2개 고등학교 5학급 161명 학생들이 치른 4회의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와 6월 9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성적을 분석하여 응시집단 변화에 따른 재학생들의 수학 영역 성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개선점과 이와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문항 난이도 예측을 위한 회귀모형 추정 (Estimating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이상하;이봉주;손홍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407-4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tem characteristics that are supposed to affect item difficulty and to estimate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e selected six variables related to item characteristics based on learning theories: contents, cognitive domain, novelty, item type, number of concepts, and the amount of computation. With data of the CSAT mathematics test administered in 2004-2006, item difficulty was regressed on the six variables, the location of an item, and the item writer's judgment on difficulty. The novelty of an item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variable in explaining item difficulty. Four regression equations with different sets of independent variables could explain $70%{\sim}80%$ of the item difficulty variance and were validated as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the mock CSAT in 2006.

  • PDF

수학능력시험 영어 읽기 지문의 응집성과 문항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hesion and Item Difficulty in English Reading Section of CSAT)

  • 황이수;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44-3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문항의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응집성 관련 텍스트 요인을 찾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4~2018학년도 수능 및 수능 모의고사의 읽기 지문 299개를 수집하여 응집성 관련 지표를 코메트릭스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실제 문항 정답률과 상관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 사이의 특정 논항이 반복되어 응집성이 강해지면 학습자의 언어적 부담이 줄어들면서 문항 정답률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잠재 의미 분석의 8개 하위 영역과 문항 정답률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