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AT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입학유형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dmission Type in One Nursing School)

  • 한미현;배상목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6-5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dmission type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e nursing school in order to refine the entrance selection system. Methods: Subjects were 405 nursing students (female : male = 385 : 20, first grade = 155, second grade = 138, third grade = 112). They were given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purchased from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 SACQ is composed of 67 questions and subdivided into 4 subcategories: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ttachment. Student college adaptation scores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analyzed with reference to the entrance selection system (rolling admission vs. regular admission) by SPSS 22.0. The rolling admission system recruited students based on high school records only while the regular admission system was based on both high school records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Results: Total College adaptation score,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scor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er in regular-admission students than in those admitted through rolling admission. Academic achievement for first-grade students was higher in regular-admission students than for those admitted through rolling admission, But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came null as students were promoted to the second and third grades. Conclusion: Students recruited using both high school records and the CSAT showed better college adaptation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전근대·근현대사의 비중 문제 (Th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Amount of Modern History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 신유아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1호
    • /
    • pp.17-28
    • /
    • 2017
  • 현재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들은 자국사를 학교 교육과정 속에 편성하고, 이를 가르치고 있다. 과목의 편제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겠으나, 자국사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누구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는 국사가 국어와 함께 자기 정체성의 핵심이고, 통합의 중추가 된다는 사실에 모두가 공감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국사과목은 일시적으로 교육과정상 선택과목에 편제되었던 적도 있었고, 최근까지 수능에서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사실상 학생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던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사교육에 대한 홀대가 상당기간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정서는 언제나 국사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고, 이러한 범국민적 공감대의 형성이 결국 한국사 수능 필수화 조치로 나타나게 되었다. 국사 교육의 필요성이 이처럼 강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국사 교육은 언제나 '위기', '난항'이라는 단어와 함께 언급되었다. 이는 물론 수능에서 굳이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국사를 학생들이 공부할 이유가 없다는 현실이 근본적인 배경이었지만, 국사 교과서의 방대한 분량과 그 내용 구성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에도 원인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구성상의 핵심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Vocabulary Size of Korean EFL University Learners: Using an Item Response Theory Model

  • Lee, Yongsang;Chon, Yuah V.;Shin, Dongkwa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171-195
    • /
    • 2012
  • While noticing that there is insufficient interest in the assessment of EFL learners' vocabulary levels or sizes, the researchers developed two tests identical in form (Forms A and B) to assess the lexical knowledge of Korean university learners at the $1^{st}{\sim}10^{th}$ 1,000 word bands by adapting a pre-established vocabulary levels test (VLT). Of equal concern was to investigate if the VLT was equally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be used on measuring the lexical knowledge of EFL learners. The participants were 804 university freshmen enrolled in a General Education English Course from four different colleges. The learners were asked to respond to either Form A or B. While scores generally fell towards the lower frequency bands, multiple regression found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for predicting the learners' vocabulary size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however,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Forms A and B could be found with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suggestions on how future VLT for testing EFL learners may have to be redesigned.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에 따른 과학적 탐구사고력 평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관심과 필요 사항 (Science Teachers' Concerns and Needs regarding Scientific Thinking Inquiry Testing: One year before First Administra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 명전옥;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7-428
    • /
    • 1995
  •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science teachers' concerns and needs regarding inquiry testing to cope with the innovation called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CSAT), which was officially first administered as the nation-wide college entrance exam in 1994. This study adopted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developed by Hall et al. 60 high science teachers (30 physics, 20 earth science, 10 others) were involved for the main study in August, 1992. In general. science teachers demonstrated a concern profile similar to that of 'nonusers'. They showed high level of concerns on the 'information' and 'personal' stage, while low level of concerns on 'management' and 'consequence' stage. Science teachers expressed their strong needs for knowledge and support to facilitate inquiry teaching and testing, text books written in inquiry mode. It is recommended that in-service trainings be provided based on the concerns and needs of teachers for a better teacher training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innovation.

  • PDF

입학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analysis of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 고정환;송준협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6호
    • /
    • pp.1475-14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입학전형요소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지방 A 대학교에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입학한 학생들의 총 평점평균을 이용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부교과중심으로 선발한 학생보다 수능중심으로 선발한 학생들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입학전형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 입학전형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KoBigBird를 활용한 수능 국어 문제풀이 모델 (Korean CSAT Problem Solving with KoBigBird)

  • 박남준;김재광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7-210
    • /
    • 2022
  •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기계학습 독해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 한국어 기계독해 학습을 통해 문제풀이에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기존 연구에서도 수능 영어와 수능 수학 문제를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하여 문제풀이에 적용했던 사례는 있었지만, 수능 국어에 이를 적용하였던 사례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수능 영어와 수능 수학 문제를 AI 문제풀이를 통해 도출한 결괏값이 각각 12점, 16점으로 객관식이라는 수능의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셋을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 모델에 학습하여 수능 국어 문제 풀이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식으로 이루어진 수능 문항의 각각의 선택지들을 질문 형태로 변형하여 모델이 답을 도출해낼 수 있도록 데이터셋을 변형하였다. 또한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가 가진 입력값 개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큰 입력값을 처리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 중에서 한국어 기계독해 학습에 적합한 KoBigBird를 사전학습모델로 설정하여 성능을 높였다.

  • PDF

공학계열 전공 선택 동기와 후회에 대한 남녀 차이 (Gender Disparity in Engineering: Why Chose an Engineering Major and Why Regret It?)

  • 감지혜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3-10
    • /
    • 2023
  •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engineering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 series of policies and pract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omote gender-balanced participation in engineering. This study focuses on gender disparities in reasons for the choice of engineering majors and regret of that choice.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women are found to select an engineering major primarily based on their high school GPA or CSAT scores rather than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Accordingly, women regret their major choice more than men due to mismatched expectations and abilities or unsatisfactory postgraduate labor market outcomes. The findings provide policy insights to improve gender equity in engineering by further enhancing care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지구과학영역 문항 및 응시자 반응 분석 (Analysis of Test Items of Earth Science and the Applicants' Responses on the Item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이양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69-479
    • /
    • 2001
  • 본 연구는 1999 ${\sim}$ 2001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지구과학 II 선택 경향 및 선택과목간의 점수를 비교하고, 지구과학 관련 문항의 탐구과정 및 내용 요소별 분포와 각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정답률이 낮은 문항에 대한 오답 유형을 추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연계 응시자는 1995학년도에 43.14%이었으나 최근 2년 동안에 급격히 줄어들어, 2001학년도에는 29.51%이었고, 2002학년도에는 26.92%로 감소하고 있다. 자연계 응시자의 지구과학 II 선택 비율은 약 22%로 생물 II(약 38%), 화학 II(약 28%)에 이어 3번째이다. 탐구과정별로는 공통과학 및 지구과학 II 모두 자료 해석에 대해서 가장 많이 출제되고 다음으로 결론 도출 및 평가에 대해서 많이 출제되었다. 내용별로는 공통과학에서는 ‘지각의 물질과 지각변동’(20.83%)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온실효과’와 ‘우주과학’에 대해서는 출제되지 않았으며, 다른 영역에서는 대체로 고루 출제되었다. 지구과학 II에서는 ‘지각의 물질과 변화’ (22.92%)영역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전반적으로 고르게 출제되었으나 ‘환경과 자원’에서 출제되지 않았고, ‘태양계’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게 출제되었다. 문항 난이도 분포를 보면 1999학년도는 예상정답률 40 ${\sim}$ 59%와 60 ${\sim}$ 79%의 문제를 각각 6, 10개 출제하였고, 2000학년도에는 40 ${\sim}$ 59% 1문항, 60 ${\sim}$ 79% 14문항, 80% 이상 1문항 출제하였으나 2001학년도는 16문항 모두를 60 ${\sim}$ 79%에 해당하는 것을 출제하였다.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문제 해결에 지구과학 개념이 요구되지 않고 탐구 과정만 요구되는 문항, 매년 출제되어 학생에게 익숙한 분야, 탐구 능력 없이도 특정 지식만 있으면 해결되는 문항이다. 반면에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지구와 행성의 운동, 해파에 관한 문항이며, 특히 복합개념이 요구되는 문항의 정답률이 낮다. 학생의 오답 반응 분석 결과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주요 내용은 공통과학에서는 변환단층 및 부정합에서 지질학적 현상, 혼합층과 수온 약층의 의미, 온대저기압 통과 전후의 날씨 변화이며, 지구과학 II 에서는 달의 위상과 위치변화, 화성암의 구성광물 ${\cdot}$ 화학조성 ${\cdot}$ 조직 변화와 마그마 분화 및 풍화와의 관계, 지진파 주시곡선, 대기순환의 종류와 규모, 해파, 혼합층과 수온 약층, 서안강화 현상, 행성의 위치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PDF

직업탐구 영역 관련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운용 실태 조사 연구 (Study of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es of opera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e in relation to vocation inquiry section)

  • 이용순;이병욱;배동윤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are applied to the vocation inquiry section-related subject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by the teachers who teach specialized subjec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for us to get the background and feature of establishment in the area of vocation inquiry section of the CSAT,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was analyzed and sample survey on the 600 teachers who teach the vocation inquiry section-related subjects was made.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as shown below; First,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vocation inquiry section-related subjects understand that theory and practice is in the ratio 60.76:39.24 and ratio of theory is higher than that of practice.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is the most relevant to the vocation inquiry section is in the order of lecture(83.9%), experiment & practice(50.4%), computerized learning(41.1%). Thir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is the most used by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vocation inquiry section-related subjects is in the order of lecture(85.8%), computerized learning(50.1%), experiment and practice(44.4%). Forth, the most desir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vocation inquiry section for this subject believe is in the order of lecture(62.7%) experience & practice(47.7%), computerized learning(44.4%). In light of this result, even though there were not so much difference amo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are the most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the subject in relation to the vocation inquiry section, the most used teaching-learning method by the teachers who teach vocation inquiry section-related subjects and the most desirabl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vocation inquiry section believe, the most used teaching-learning method by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vocation inquiry section is le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reinforce the contents in relation to the practice & experiment so that the experience and application can be accumulated and improved through practice which is the specialty of the course of the study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n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contents of the subject, capability & quality of the learners and status of a classroom.

예비 과학교사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와 오답 반응 분석: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Research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Chemistry Concept and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Focus on Middle School Curriculum)

  • 이현정;최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1030-10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화학 개념의 이해도를 조사하고 예비 과학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답지 반응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오답을 선택하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모든 문항에서 나타났으며, 문제를 해결했더라도 각 문항의 해결에 필요한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특정 문항에 대해서는 예비 과학 교사들이 고등학교 시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 과목으로 화학을 선택한 것과 상관없이 정답률이 낮았다. 이 결과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심층질문을 통해 몇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예비 과학 교사들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 선택 과목으로 화학 선택 유무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개념에 대한 본질적 이해 전에 계산을 통한 문제 풀이나 단순 기억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습 습관은 오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형성된 오개념은 대학생이 되어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