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Social Distancing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In-depth Correlation Analysis of SARS-CoV-2 Effective Reproduction Number and Mobility Patterns: Three Groups of Countries

  • Setti, Mounir Ould;Tollis, Sylvai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2호
    • /
    • pp.134-143
    • /
    • 2022
  • Objectives: Many governments have imposed-and are still imposing-mobility restrictions to contain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whether policy-induced reductions of human mobility effectively reduce the effective reproduction number (R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Several studies based on country-restricted data reported conflicting trends in the change of the SARS-CoV-2 Rt following mobility restric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t the global scale, the existence of regional specificiti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Rt and human mobility. Methods: We computed the Rt of SARS-CoV-2 using data on worldwide infection cases reported b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Rt and mobility indicators from the Google COVID-19 Community Mobility Reports in 125 countries, as well as states/regions within the United States,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linear modeling, and quadratic modeling.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identified countries where Rt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dential mobility, as expected by policymakers, but also countries where Rt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dential mobility and countries with more complex correlation patterns. The correlations between Rt and residential mobility were non-linear in many countries, indicating an optimal level above which increasing residential mobility is counterproductive.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viral circulation, mobility restriction measures must be tailored by region, considering local cultural determinants and social behaviors. We believe that our results have the potential to guide differential refinement of mobility restriction policies at a country/regional resolution.

스마트 헬스케어: 미래 병원을 위한 AI, 블록체인, VR/AR 및 디지털 솔루션 구현 (Smart Healthcare: Enabling AI, Blockchain, VR/AR and Digital Solutions for Future Hospitals)

  • ;;;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6-409
    • /
    • 2022
  • 최근 몇 년 동안, AI 시스템, 블록체인, VR/AR, 3D 프린팅, 로봇 공학, 나노 기술과 같은 기술의 발전은 바로 우리 눈앞에서 건강 관리의 미래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는 소비자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예방 중심의 의학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습니다. Covid-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으로 의료 및 치료 시설의 정의가 변경되어 병원의 물리적 환경을 재설계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요구사항을 해결하도록 통신 모델을 조정하고 가상 의료 솔루션을 구현하고 새로운 임상 프로토콜을 수립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의료 시스템의 허브 역할을 해 온 병원은 이러한 환경에 맞서 스스로를 재정립하는 것을 추구하거나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건강관리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과 예방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화된 진료에서는 장기적인 예방 전략, 원격 모니터링, 조기 진단 및 탐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현대 기술로 정의되는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정의와 서비스 종류를 조사했습니다. 스마트 병원의 배경과 기술적 측면도 문헌 검토를 통해 탐구했습니다.

  • PDF

Anti-stress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Ziziphus jujuba Against Corticosterone-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 Da Hye Song;Yu Jin Choi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19
    • /
    • 2022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ay be stressful for people. Public health actions, such as social distancing, can make people feel isolated and lonely and can increase stress and anxiety.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towards various materials to relieve stress.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stress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Ziziphus jujuba in PC12 cells treated with corticosterone and its underling mechanisms. Furthermore, the viability of the cells, the apoptosis of the cells, the level of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p-ERKs) expression were measured by MTT assay, LDH assay, Hoechst staining assay and western blotting. Our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 of Ziziphus jujuba reversed corticosterone-induced damage in PC12 cells, which increased cell viability, decreased LDH release, and attenuated corticosterone-induced apoptosis as compared with the corticosterone-treated group.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xtract of Ziziphus jujuba could be a good candidate for development as a functional food supplement in the improve the anti-stress effect.

  • PDF

A Study on Social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Utilizing the sentiment analysis

  • Noh, Younghee;Kim, Dong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41-65
    • /
    • 2022
  •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overall perception of our society about public libraries, analyzing the text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utilizing the semantic connection network & sentiment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last five years with keywords, 'Library' and 'Lifelong Learning Center' from January 1, 2016 through November 30, 2020 through the blogs and cafés of major domestic portal sites. With the collected data, text mining, centrality of keywords, network structure, structural equipotentiality, and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ading' and 'book' were identified as representative keywords that form the soci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ie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keywords related to the use of the library and the untact service due to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Third, in seeking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keywords drawn to have positive meanings,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tinuous services that can form a new image of the librar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ixed role and image of the library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Fourth,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library services were recognized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Fift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ocial distancing, and temporary closure and closure of libraries are negatively related to public libraries, and awareness of librarians has been identified as negative keywords.

위드코로나 정책이 온라인 피트니스 콘텐츠의 시청자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Empirical Research on the Causal Effect of Implementation of "With-COVID19" Policy on the Viewer Engagement of Online Fitness Contents)

  • 안병혁;백지예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1-25
    • /
    • 2023
  •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많은 국가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실시하였고 그로 말미암아 물리적인 제한에 구애 받지 않는 온라인 피트니스 산업이 큰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 우리나라 정부는 2021년 11월 1일 위드코로나 정책을 시행하면서 팬데믹 이전의 일상으로의 회복을 선언하였고, 이에 따라 온라인 피트니스 산업의 성장 동력의 손실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위드코로나 정책의 시행이 온라인 피트니스 콘텐츠 소비 및 참여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준실험 설계를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YouTube의 온라인 피트니스 콘텐츠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위드코로나 정책 시행 감소했을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온라인 피트니스 콘텐츠의 시청 지표는 오히려 약 21% 증가한 양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은 운동 종목의 기회 비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부분 집단 분석을 통해서 고비용 집단의 온라인 콘텐츠의 시청 지표만이 약 32%로 저비용 집단에 비해서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피트니스 콘텐츠의 성격과 강점을 파악하였으며 온라인 피트니스 플랫폼 비즈니스와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실무적인 제언을 제공하면서 포스트-코로나 시기의 "뉴노멀"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and Lifestyle Changes Among Novice Working-From-Home Workers Amid the COVID-19 Pandemic

  • Ekpanyaskul, Chatchai;Padungtod, Chantan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3호
    • /
    • pp.384-389
    • /
    • 2021
  • Background: Social distancing by working-from-home is an effective measure to decrease the spread of COVID-19. However, this new work pattern could also affect the well-being of workers.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study the magnitude of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and lifestyle changes among workers who have only recently started working from home.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onlin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in the Bangkok metropolitan area, Thailand. The participants were from any organization that allowed working from home. The demographic data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from home,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and the lifestyle changes caused by working from home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869 workers were included as study participants. The highest prevalence of physical health problems among all workers was identified to be weight gain at a rate of 40.97% (95% confidence interval = 37.69-44.24), and the highest prevalence of psychosocial problems was identified to be cabin fever at a rate of 31.28% (95% confidence interval = 26.66-35.90%) among full-time working-from-home workers. The health effects tha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sity of working from home (p for trends <0.05),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ncluded body weight changes, ergonomic problems, indoor environmental problems, and psychosocial problems. Meanwhile, the lifestyle changes related to work intensity included eating pattern, sleep habits, and exercise. Conclusions: Working from home can affect workers' well-being in various aspects. Hence,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must prepare for risk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in this "new normal" working life pattern and for future pandemics.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장주연;박소희;설아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711-723
    • /
    • 2021
  •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COVID-19 발생 상황에서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COVID-19)

  • 김웅희;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35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COVID-19 발생 상황에서 장애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2년 2월 21일부터 3월 21일까지 경상지역 3개의 광역도시에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재활병원, 아동발달센터에서 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만 13세 미만 장애아동 자녀를 둔 부모 2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삶의 질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 스트레스는 교육 수준, 월 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불안은 자녀양육시간, 교육 수준, 직업 유무, 교통수단, 월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과 삶의 질은 자녀양육시간, 교육 수준, 직업 유무, 월 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장애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수칙은 장애아동의 교육과 치료의 기회를 제한시켰고 이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친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COVID-19 발생 상황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재난 상황을 대비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원 서비스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When Disease Defines a Place: Batavia in British Diplomatic and Military Narratives, 1775-1850

  • Keck, Stephen
    • 수완나부미
    • /
    • 제14권2호
    • /
    • pp.117-148
    • /
    • 2022
  • The full impact of COVID-19 has yet to be felt: while it may not define the new decade, it is clear that its immediate significance was to test many of the basic operating assumptions and procedures of global civilization. Even as vaccines are developed and utilized and even as it is possible to see the beginning of the end of COVID-19 as a discrete historical event, it remains unclear as to its ultimate importance. That said, it is evident that the academic exploration of Southeast Asia will also be affected by both the global and regional experiences of the pandemic. "Breakthroughs of Area Studies and ASEAN in the Era of Homo Untact" promises to help reconceptualize the study of the region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redefined spatial relationships and new potentially depersonalized modes of communication. This paper acknowledges these issues by suggesting that the transformations caused by the pandemic should motivate scholars to raise new questions about how to understand humanity-particularly as it is defined by societies, nations and regions. Given that COVID-19 (and the response to it) has altered many of the fundamental rhythms of globalized regions, there is sufficient warrant for re-examining both the ways in which disease, health and their related spaces affect the perceptions of Southeast Asia. To achieve "breakthroughs" into the investigation of the region, it makes sense to have another glance at the ways in which the discourses about diseases and health may have helped to inscribe definitions of Southeast Asia-or, at the very least, the nations, societies and peoples who live within it. In order to at least consider these larger issues, the discussion will concentrate on a formative moment in the conceptualization of Southeast Asia-British engagement with the region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o that end three themes will be highlighted: (1) the role that British diplomatic and military narratives played in establishing the information prioritie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colonial knowledge; (2) the importance not only of "colonial knowledge" but information making in its own right; (3) in anticipation of the use of big data, the manner in which manufactured information (related to space and disease) could function in shaping early British perceptions of Southeast Asia-particularly in Batavia and Java. This discussion will suggest that rather than see social distancing or increased communication as the greatest outcome of COVID-19, instead it will be the use of data-that is, big, aggregated biometric data which have not only shaped responses to the pandemic, but remain likely to produce the reconceptualization of both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region in a way that will be at least as great as that which took place to meet the needs of the "New Imperialism." Furthermore, the definition and articulation of Southeast Asia has often reflected political and security considerations. Yet, the experience of COVID-19 could prove that data and security are now fused into a set of interests critical to policy-makers. Given that the pandemic should accelerate many existing trends, it might be foreseen these developments will herald the triumph of homo indicina: an epistemic condition whereby the human subject has become a kind of index for its harvestable data. If so, the "breakthroughs" for those who study Southeast Asia will follow in due course.

비대면 가창 수업 방법 고찰 (A Study on Non-Contact Vocal Instruction)

  • 임지현;민경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2021
  •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시작으로 비접촉 사회를 형성하였다. 접촉을 제한하는 언 콘택트 시대가 도달함으로써 우리 사회 및 경제생활뿐 아니라 교육 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여 대학을 비롯한 모든 교육 기관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였다. 특히, 예체능을 비롯한 실무 형태 위주의 학과 수업들은 비대면으로 인한 제한된 환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창 수업은 주로 1:1 대면 개인지도 또는 단체 수업 방법에서 비접촉 시대로 시행된 비대면 수업 전환으로 과도기를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머물러 있던 국내 학교 현장에서 코로나 19 이후 비접촉 시대를 맞이하여 기술을 혁신하는 에듀테크가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속화된 교육 혁신에 대비하여 비대면 실기 수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택트 가창 수업 방법연구를 위해 먼저 비접촉 사회로 인한 국내 대학 현황과 가창 수업 형태를 살펴본다. 그 사례 연구로 가창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비대면 가창 수업의 장단점을 조사하고, 만족하는 수업 방법의 연구결과로 '가창 녹화 모니터링 및 선행학습', '즉각적인 영상자료 보컬 분석 및 보충 음악 이론'이 두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시대적 변화와 함께 효과적인 비접촉 가창 수업을 위해서는 비대면 가창 수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비접촉 가창 수업 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시스템 구축이 더욱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