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M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혼합상토의 조성이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Medium Formulations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 최종명;안주원;구자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9-376
    • /
    • 2006
  • 코이어(CO), 피트모스(PM) 또는 코이어+피트모스 (5:5, v/v, COPM)에 펄라이트(PL)를 0, 20또는 40% (v/v) 혼합하여 9종류의 상토를 조제하고, 고추 '녹광'을 플러그 육묘하면서 작물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2공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고 플러그 육묘하면서 파종 35일 및 70일 후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식물 생육 및 무기원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CO는 P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생체중 및 건물중 생산량이 많았으나, PM은 PL를 20% 혼합한 처리에서, 그리고 COPM는 PL 0% 처리에서 파종 35일 후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다. 파종 70일 후의 생육도 35일 후의 결과와 유사였다. CO와 PM은 PL의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파종 3일 후의 식물체내 $P_2O_5$과 K 함량이 감소하고, Ca 및 Mg 함량이 증가하였다. CO 혼합 상토가 동일한 PL 비율의 PM 또는 COPM 상토보다 Ca 및 Mg 함량은 낮았으나, K 함량은 월등히 높았다. 파종 70일 후 CO 또는 PM에 P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P_2O_5$와 K 함량이 감소하였다. 식물체의 Ca및 Mg는 CO의 경우 20% PL, PM은 40% PL, 그리고 COPM은 40% PL 처리에서 각 유기물내의 다른 PL 처리보다 함량이 많았다.

감각통합 기반의 가족중심코칭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amily-Centered Coaching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on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김윤성;김경미;장문영;홍소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25
    • /
    • 2021
  • 목적 : 감각통합기반의 가족중심코칭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아동의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 16일~ 2020년 8월 6일까지 기준에 부합하는 3-6세 ASD 아동 10명과 보호자 10명이 참여하였다.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로 아동의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ing; GAS)로 아동의 작업수행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기존에 받고 있는 감각통합치료와 함께 주 1회 60분, 4주간 가정방문 및 영상통화로 시행되는 목표활동에 대한 개별화된 가족중심코칭을 받았다. 통제군은 기존에 받고있는 감각통합치료와 함께 목표활동에 대한 감각통합기반의 일반적인 상담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집단별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GAS 점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고, 중재 전후 집단 간의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GAS의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Cohen's d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중재 전과 후에 COPM 수행도와 만족도, GAS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집단 간의 중재 전과 후의 COPM 수행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Cohen's d 값의 결과 COPM 수행도(d=.913)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 COPM 만족도와 GAS 점수는 모두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Cohen's d 값의 결과 COPM 만족도(d=2.768), GAS 점수(d=2.786) 모두 큰 효과를 보였다. 결론 : 감각통합기반의 가족중심코칭이 감각통합기반의 일반적인 상담보다 ASD 아동의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Wolf 운동기능검사의 관련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 송창순;이혜선;염희영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3호
    • /
    • pp.445-45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nd investigate the evidence of the WMFT as a clinical tool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Methods: This study applied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design in outpatients at three local rehabilitation units in Seoul. Forty-nine individuals who had a diagnosis of first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r four clinical measures, including the Box and Block Test (BBT), the WMFT, grip strength, an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Results: Upon analys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WMFT scores and BBT scores as well as the grip strength. The WMFT score was statistical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PM satisfaction score; however, it was not related to the COPM performance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WMFT is positively related to simple tasks, such as hand muscle strength and manual dexterity. However, the WMFT does not have a relationship with complex tasks, which are measured by COPM performance abilities.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사례 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Hand Function: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고석범;박혜연;김종배;김정란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63-7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불완전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불완전 경수 손상 진단을 받은 성인 3명으로,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기초선(A1) 5회기, 중재기(B) 20회기, 재기초선(A2) 5회기로 총 3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 동안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제공되었고, 모든 회기에는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측정하였으며, 기초선(A1) 전, 재기초선(A2) 후로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통해 기초선(A1)보다 중재기(B)에서 우세 손 기능이 향상되었고, 재기초선(A2)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재기초선(A2) 후 COPM, JTHFT와 WMFT의 결과, 우세 손 기능의 향상과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선택한 훈련 과제의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기능적 활동의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 in Person With Stroke)

  • 최유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9-3887
    • /
    • 2009
  • 본 연구는 손상된 사지의 기능적 활동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8회로 구성하였으며, 기초선 과정이 5회, 상상연습을 시행한 중재 과정이 10회, 기초선 회귀 과정은 중재 과정을 마친 2주 뒤에 3회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3개의 기능적인 활동(옷 입기, 화장품을 사용하여 화장한 뒤 정리하기, 옷을 개기)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활동에 대해서 5분씩, 1일 총 15분을 상상하도록 하였다. 편측무시는 읽기 검사, 쓰기 검사, Baking Tray Ta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COPM(Canada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상상연습 후 편측무시 검사의 점수가 모두 감소되었고,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검사 점수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ilot Study)

  • 김선호;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47-58
    • /
    • 2017
  •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 양측성 상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를 가진 환자 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명)과 대조군(2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 당 총 5주간, 주 3회, 회기 당 60분의 작업기반 양측성상지훈련 중재와 전통적 양측성 상지 훈련을 각 각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로 EMG, 가속도계, ARAT, Y-BAT, SIS, COPM를 실시하여 각 군간 비교 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노쪽 손목폄근과 앞 어깨 세모근의 근 활성도, SIS에서 손 기능(Hand function), 기억력(Memory)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으며, 양손의 사용량을 측정한 가속도계와 COPM, Y-BIT, ARAT평가의 잡기(grasp), 집기(pinch), 대동작 (gross movement)항목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이 신경학적 변화를 통한 상지기능 회복 및 사회참여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해 높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를 통한 효과 검증과 효과지속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roke Arts and Craft Group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 안예슬;김희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67-7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 사전-사후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사전검사 1회, 중재 10회, 사후 검사 1회로 총 12회기로 주 2회 6주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n for Korean: MMSE-K)와 일상생활평가로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thel Index: K-MBI)와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였고, 삶의 질 평가는 한국판 세계 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EF: WHOQOL-BREF)를 중재 전 후에 시행하였다. 기술통계와 비 모수 통계를 이용하여 결과분석을 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 사후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 부분에서 K-MBI의 점수 증진은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COPM은 실험군에서만 수행도 전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 대조군 모두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WHOQOL-BREF에서 실험군에서 실험 전 후 및 집단 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수공예활동을 적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작업수행능력과 삶의 질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O-OP 적용이 ADHD 아동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Effect of the CO-OP Approach on Occupational Performance in ADHD : A Pilot Study)

  • 신민경;조은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2호
    • /
    • pp.51-62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다양한 진단군에서 운동기술이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는 CO-OP접근을 ADHD아동에게 적용하여 기술의 습득 및 변화를 살펴 본 후 ADHD아동에게 CO-OP접근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ADHD진단을 받고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7세 2개월의 남아 1명으로 개별실험연구설계(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로 설계하여 5주간 10회기로 총 7주간 진행되었다. 보호자와 COPM을 통해 목표를 정하였으며 설정된 목표는 아동의 젓가락 질 향상이었다. 중재과정에서 CO-OP의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하였고 젓가락질의 기술을 습득하게 하기 위해 수행에 대한 분석 및 실행을 지속하도록 하였으며, DSS를 가이드 하였다. 수행측정은 젓가락을 들고 시작과 동시에 콩이 담긴 접시에서 다른 접시로 콩을 집어 옮기는 시간으로 하였다. 결과 : 콩을 집는 시간은 중재 전 22.3초 걸렸지만 중재 후 15.1초로 7.2초 단축되었고 부모님의 COPM 점수는 수행도 3점, 만족도 4점의 향상을 보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 결론 : ADHD아동에게 CO-OP접근은 작업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다.

스마트 홈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 Home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Wheelchair Users)

  • 우지희;김정현;김종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42-248
    • /
    • 2019
  • 본 연구는 Electronic Control Unit (EC)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홈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립재활원 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지역 사회 복귀와 집으로 퇴원을 계획하는 대상자 중에서 스마트 홈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사람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15명의 참여자 중 척수손상장애인은 10명, 나머지 5명은 뇌병변 장애인이었다. 스마트 홈은 ECU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가구 및 기반 제품들의 전동화, 기반 시설들의 자동화 그리고 제품과 시설들을 통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와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휠체어 사용자의 일상생활 수행도와 만족도는 캐나다 작업수행평가에 의해 평가되었다. 스마트 홈에서 거주해본 결과 거실과 현관, 침실, 기타(환경적요소) 부분에서 일상생활의 수행도가 3점 이상의 평균값 차이를 보였다. 공간별 수행도 비교 결과, 현재 주거 공간에 비해 스마트 홈 주거 공간별 수행도가 모두 유의미한 차이(p<0.05)로 향상되었다. 만족도 역시, 거실과 현관, 침실, 주방 영역에서 4점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주거 공간별 만족도 비교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p<0.05)로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하이테크 기반의 스마트 홈 적용 가능성의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근거 수준의 질 향상을 위해 다수의 연구 참여자를 확보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신경발달 장애 아동의 지하철 이용하기 작업에 대한 작업기반 중재의 적용 (Application of Occupation-Based Practice for Neurodevelopmental Children's Subway Use)

  • 라대엽;공명자;장기연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41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신경발달 장애 아동들에게 작업기반(occupation-based) 중재를 그룹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작업 수행의 질,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발달 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ADOC-S(Aid for Decision making in Occupation Choice-School) 및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을 사용하여,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고 공통된 작업 목표를 수립 하였다. '지하철 이용' 작업수행 분석한 후에 PQRS(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작업수행의 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작업기반 중재는 가장 자연스럽고 실제생활과 비슷한 상황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며 진행되었다. 실험은 사전 평가 1회기, 중재기는 주 1회, 회기당 100분, 8주간, 총 8회기 진행되었고 사후 평가 1회기 실시되었다. 결과 : 작업수행의 질인 PQRS에서는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38.10의 증가를 보였다. 유지, 보상 및 적응접근을 적용하여 초기 회기(1~4회기)에 큰 증가율이 나타났다. COPM의 수행도는 중재 전에 비해 5.80, 만족도는 7.00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 인터뷰를 통한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론 : 작업기반 중재는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작업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며,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