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TASK

검색결과 733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driving cognition on paretic side in drivers following stroke

  • Gang, Na Ri;Shin, Hwa-Ky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7권3호
    • /
    • pp.114-118
    • /
    • 2018
  • Objectiv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in has different ro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driving ability between stroke survivors with damage to the left brain and right br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riving cognitive ability of left and right hemispheric drivers following stroke.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SDSA) from the UK was translated to the Korean 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K-SDSA) to meet the specific traffic environments of Korea. The SDSA is composed of 4 tasks :1) a dot cancellation task that measures concentration and visuospatial abilities necessary for driving, 2) a directional matrix task to measure spatio-temporal executive function required for driving, 3) a compass matrix task to measure accurate direction determination ability required for driving, and 4) recognition of traffic signs and reasoning ability to understanding traffic situation. The SDSA assessment time is about 30 minutes. The K-SDSA was used to compare the cognitive driving abilities between 15 stroke survivors with left and 15 stroke survivors with right brain damag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sons with stroke patients with left brain lesions (right hemiplegia) compared to the persons with stroke with right brain lesions (left hemiplegia) (p<0.05).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driving ability of those with right brain dama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of left brain damage. Conclusion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riving cognitive ability of persons with stroke. The therapists can use this information as basis for the driving test and training purposes. It could also be used as a basis to understanding if the cognitive ability of not only stroke survivors but also those with brain damage is adequate to actually drive.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리더의 성격에 따른 모둠내 언어적 상호 작용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 Personality in Small Group Activities of Thinking Science)

  • 김지현;최병순;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364-37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ithin-group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 personality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For this study, 2 homogeneous small groups by cognitive level selected from one class of sixth grader. Each group was comprised of four students. Leaders of two groups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and teacher's observation. One who got high scores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amed a sociable leader, the other who got low scores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amed a taciturn leader. Verbal interactions during small group activities were audio/video taped and students'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into on-task and off-task. On-task included cognitive aspect and affective aspect. Interactions of cognitive aspect were divided into low and high level, also interactions of affective aspect we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rbal interactions in the sociable leader group were more activated than those in the taciturn leader group. Also, interaction level of the sociable leader group in cognitive aspec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group. In affective aspect, interaction pattern of the sociable leader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interaction are as follow. The rates of cognitive aspect in the sociable and the taciturn leaders' interaction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ffective aspect. This tendency was especially remarkable in the taciturn leader's interactions. However, interaction level of the sociable leader in cognitive aspec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taciturn leader. In affective aspect, positive interaction rate of the sociable leader and the taciturn leader were higher than negative interaction rate.

  • PDF

Effects of Dual Tasks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erebellar Ataxia

  • Kang, Bangsoo;Park, Jin-Ho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5호
    • /
    • pp.292-29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ual tasks on balance and postural control during standing in patients with cerebellar ataxia (CA). It was hypothesized that CA patients would exhibit different sway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of mass (COM)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secondary cognitive task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subjects. Methods: A total of 8 patients with CA and age-matched healthy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instructed to perform two balance tasks (non-dual and dual movement) with 3 different complexity of dual tasks. Range, variability, and velocity of COMs were measur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CA patients showed deficits in balance and postural control with increased dual-task complexity during the static balance task in saggital sway movem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in frontal sway. With higher difficulty in the cognitive task, CA patients took longer to stabilize their body center, while normal control subjects showed no change between conditions. In addition, CA patients had a greater COM resultant velocity during recovery in the dual-task condition compared with the single-task condi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A patients had defendable compensatory strategies in performing dual tasks. Conclusion: In conclusion, CA patients appeared to manage the priority to balance and postural control. Particularly in a situation with a postural threat such as when potential consequences of the loss of stability increase, they appeared to prioritize the control of balance and posture over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task.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Motor and Cognitive Function in Focal Ischemic Brain Injury Model of Rat

  • Heo, Myoung;Kim, Gye-Yeop;Kim, Tae-Yeul;Nam, Ki-Won;Kim, Jong-Ma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0-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ask-oriented train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ime with the change of motor and cognition function. Focal ischemic brain injury was produced in Sprague-Dawley rats (20 rats, $250{\pm}50$ g) throug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Before MCAo induction, all rats were trained in treadmill training and Morris water maze training for 1 week. Then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Group I : MCAo induction ($n_1$=5), Grop II: the application for simple treadmill task training after. MCAo induction ($n_2$=5). Group III: the application for Morris water maze cognitive task training after MCAo induction ($n_3$=5). Group IV: the application for progressive treadmill task training and Morris water maze cognitive task training after MCAo induction ($n_4$=5). Modified limb placing tests (MLPTs) and motor tests (MTs) were performed to test motor function and then Morris water maze acquisition test (MWMAT) and Morris water maze retention test (MWMRT) were performed to test cognitive function. For M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with the time (p<.001). Group IV showed the steeper increasing pattern than those in other Groups on the 7th and 14th day. For MLP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with the time (p<.001). The scores in Group III. IV had showed the more decreasing pattern than those in Group I, II since the 7th day and 14th day. For MWM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with the time (p<.001). Group II found the Quadrant circular platform showed the steeper decreasing pattern than that in Group I on the 9th, 10th, 11th and 12th day. Group III. IV found the quadrant circular platform showed the slower decreasing pattern than that in Group I, II, For MWM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p<.001). The time to dwell on quadrant circular platform in Group IV on the 13th day was the longest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bined task training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motor and cognition function for the rats affected on their focal ischemic brain injury.

  • PDF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 수준 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Rhythm Reproduction Tas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ool-Aged Children)

  • 오소영;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8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연령 9세의 초등학생 59명을 대상으로 iPad 기반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색선로 검사(CCTT), 키보드를 활용한 자가탭핑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 리듬 재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는 리듬 수행 검사 1단계 10개 문항은 자가탭핑 평균속도(s)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리듬 수행 검사 2단계에서 측정하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은 CCT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문항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리듬이 두 번 이상 연속으로 반복되어 제공되는 리듬꼴의 정확한 수행은 자가탭핑 속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할박이 많은 리듬꼴의 리듬 수행력은 CCTT, 즉 집행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리듬 재산출 과제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이 산출하는 자가탭핑 속도, 즉 내적 리듬 특성이 인지 기능과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이러한 리듬수행력이 인지 기능의 측정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추후 리듬꼴의 특징 및 리듬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리듬 수행력이 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정서행동적, 음악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제언되었다.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인터페이스의 감각양식 차이가 인지부하와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중 자원 이론과 스레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The Effects of Interface Modality on Cognitive Load and Task Performance in Media Multitasking Environment)

  • 이다나;한광희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39
    • /
    • 2019
  • 본 연구는 빠르게 발전하는 음성 기반의 디바이스가 스크린 중심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했다. 서로 다른 자원 구조를 가진 과업을 동시에 수행할 때 정보 처리 효율이 높아진다는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시각 주의가 필요한 과제와 음성 또는 스크린 기반의 디바이스를 활용해 정보를 검색하는 과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과업수행 환경과 인터페이스 감각양식은 모두 인지부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음성 인터페이스 그룹에서 전반적으로 인지부하 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단독으로 사용된 단일 과업 조건보다 시각 과제를 동시에 수행한 다중 과업 조건에서 시각 인터페이스 그룹과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과업 수행도의 경우 음성 인터페이스 그룹에서 시각 과제에 대한 수행능력이 시각 인터페이스 그룹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음성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을 때 동시적 과업을 청각 경로와 시각 경로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인지부하와 과업수행에 이점이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이는 시각 자원의 충돌이 발생하기 쉬운 스크린 중심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음성 기반의 디바이스가 효율적 정보 처리를 촉진시키는 잠재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함의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중 자원 이론을 통해 자원의 분산처리에 대한 이론적 증거를 제시하고, 스레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음성 인터페이스를 활용했을 때의 이점을 더욱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인지 부하가 분업에 미치는 영향: 작업기억과 결합 사이먼 효과 (Effects of Cognitive Load on the Division of Labor: Working Memory and the Joint Simon Effect)

  • 김효정;이재윤;이도준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11-22
    • /
    • 2022
  • 사회적인 존재로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위를 빠르고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행위 이해는 여러 수준에서 일어난다. 무심코 타인의 의도를 알아챌 때가 있는가 하면, 그들의 목적을 추론하기 위해 노력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결합 사이먼 효과는 과제를 분업하는 한 쌍의 참가자가 의도치 않게 동료의 행위를 표상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이 효과는 거의 자동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만, 인지부하의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자동적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참가자에게 작업기억 부하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결합 사이먼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이중과제 구획에서 저부하 집단의 참가자들은 한 개의 숫자를 작업기억에 유지한 채로 사이먼 과제를 분업하였고, 고부하 집단의 참가자들은 다섯 개의 숫자를 유지한 채로 사이먼 과제를 분업하였다. 작업기억 부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중과제 구획과 단일과제 구획의 집단별 사이먼 효과를 비교하였다. 반응시간을 분석한 결과, 저부하 집단은 이중과제와 단일과제 구획에서 모두 사이먼 효과를 보였지만, 고부하 집단은 어느 과제 구획에서도 사이먼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결합 사이먼 효과가 인지 자원에 의존한다는 면에서 자동적인 현상을 아님을 의미한다. 즉, 분업 참여자는 인지적 자원이 가용한 경우에만 동료의 행위를 과제 표상에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n Cognitive Load and Related Factors at e-PBL

  • JUNG, Jaewon;JUNG, Hyojung;KIM, Dongsi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79-100
    • /
    • 2012
  •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on identifying the problems that learners experience during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e-PBL)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study is concentrated on learners' cognitive load level at each stage of e-PBL. The research questions are specifically as follows: What is the level of cognitive load at each stage of e-PBL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oad and group performance? What cognitive difficulties are experienced by learners in e-PBL and what causes cognitive difficultie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ognitive load was the highest in stage 1 and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oad at stage 1 and group performance. In addition, learn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ring e-PBL such as the complexity of task, the difficulty in collaboration, and the lack of appropriate references. For further study, we will investigate some strategies regarding adjusting learners' cognitive load in the early stages of e-PBL.

처리깊이에 따른 학습단어의 반복제시가 단어완성검사와 단서 회상검사에 미치는 효과 (The Repetition Effects of LDP Stimulus Words on Word Completion Tasl and Cued-Recall Task)

  • 김미라;이만영
    • 인지과학
    • /
    • 제7권3호
    • /
    • pp.115-134
    • /
    • 1996
  • 외현기억은 의도적 인출을 의미하고 암묵기억은 비의도적 인출을 의미하며 다양한 변인하에서 외현기억과 암묵기억이 상이한 인출형태가 보이는 것을 기억해리현상이라 한다.본 연구에서는 기억해리현상을 설명하는 처리이론중 이중처리이론의 기본 가정을 수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처리깊이에 따른 학습을 실시하면,지각 처리과제의 경우는 단어표상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이는 접속가능성의 증가로 나타나고,의미처리과제의 경우는 목표단어표상 및 관련단어의 표상이 활성화되고 이는 인출가능성의 증가로 나타난다.학습단계에서는 의미처리과제와 지각처리과제를 반복해서 제시하여 접속가능성과 인출가능성의 증가를 조작하였고,검사단계에서는 인출 지시문 종류에 따른 암묵 기억검사와 외현기억검사를 실시하였다.실험결과는 다음과같다. 지각처리과제의 반복은 암묵기억검사와 파지수준에는 영향을 주지만 외현기억검사의 파지수준에는 효과를 미치지 못했고,의미처리 과제의 반복은 암묵기억검사와 외현기억검사 파지 수준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처리깊이에 다른 학습 단어 반복제시의 기억 해리효과는 이중처리이론의 설명틀이 적절하다고 결론지울수 있다.

  • PDF

게임을 읽는 머리, 스포츠 지능이 존재하는가? 스포츠 수행과 관련된 인지기능에 관한 문헌고찰 (Does sports intelligence, the ability to read the game, exist?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s)

  • 용타위 아차랏;박진한;우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25-339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해 스포츠 관련 인지기능과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제안하고, 스포츠 지능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문헌고찰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지침인 PRISMA 연구법에 근거하여 수행되었다. 게재년도 2008-2020년으로 검색기준 설정 후,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총 429편 중 본 연구의 문헌선택 기준을 충족한 45편이 최종 분석되었다. 고찰된 논문 결과를 요약하면, 선수들은 비선수보다 특정 인지기능이 우수하고, 스포츠 전문성이 높을수록 해당 인지기능이 더 높았으며, 종목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편에 대한 종합적 분석결과, 스포츠 수행과 관련된 주요 인지기능은 실행기능(억제능력, 인지유연성), 정보처리속도, 공간능력, 주의력으로 요약된다. 각 인지기능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로 억제능력은 정지신호과제, 인지유연성은 설계유연성검사, 정보처리는 단순반응검사와 선택반응검사, 공간능력은 심적회전검사, 주의력은 주의연합검사가 적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