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NG Bu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5초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계 성능검토 (Design study of series hybrid propulsion system for a bimdal tram)

  • 배창한;장세기;목재균;이강원;변윤섭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68-1977
    • /
    • 2008
  • A bimodal low-floor tram is designed to provide the flexibility of bus and the punctuality of trains together to the passengers. Its propulsion system is a series hybrid type using a set of CNG engine generator and Li-polymer battery. The present paper describes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pulsion system in the bimodal tram which was drawn by a desirable driving cycle. In addition, it shows how the propulsion system of the bimodal tram can be controlled. With using a computer simulation tool of hybrid vehicles, ADVISOR, the performance of the bimodal tram was verified.

  • PDF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 전원장치 시험 (Test of the Series Hybrid Propulsion Power Unit of a Bimodal Tram)

  • 배창한;장세기;목재균;이강원;김용태;배종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0-939
    • /
    • 2009
  • A bimodal tram is being developed to combine the flexibility of a bus with the punctuality of a train. The propulsion system is a series hybrid type using a set of CNG engine generator and Li-polymer battery.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eries hybrid propulsion power unit using an active loader which can simulate powering and regenerative braking conditions of the propulsion equipments continuously. The power sharing scheme between PWM converter and a battery pack has been observed. The measurement results of DC link voltage and SOC(State Of Charge) of battery pack are presented.

  • PDF

수소 혼합 천연가스 연료 엔진의 아이들 연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Idle Fuel Consumption of a Hydrogen-Blended Natural Gas Engine)

  • 이선엽;김영민;이장희
    • 에너지공학
    • /
    • 제19권3호
    • /
    • pp.171-176
    • /
    • 2010
  • 천연가스-수소 혼합가스를 엔진 연료로 사용하는 방법은 배기가스 저감뿐만 아니라 다가올 수소에너지 시대를 대비하여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도 의의가 있다. 또한 수소 혼합 천연가스 연료 엔진은 천연가스 엔진 보다 더 높은 열효율 확보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한 연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가 가장 많이 운전되는 조건인 아이들 조건을 대상으로 수소 혼합 천연가스 연료가 연료소모량과 배기가스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수소 혼합 천연가스 연료는 천연가스에 비해 아이들 조건에서 연료소비율이 20%이상 저감되었으며 유해 배출가스인 THC, NOx를 근원적으로 저감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수소충전소의 적정 용량 분석 (Study on the Optimum Capacity Analysis for Hydrogen Fueling Station in Korea)

  • 한자령;박진모;이영철;김상민;전소현;김형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49-656
    • /
    • 2017
  • At present, hydrogen is emerging as a future energy source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aspect, creation of new industry, and enhancement of domestic energy security. In accordance with it, the world's leading automobile companies ar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hydrogen electric vehicle technology, and each country is strengthening its hydrogen fueling station deployment strategy for its own country. Furthermore, the supply of hydrogen fueling stations is actively promoting under national support. More than 500 hydrogen fueling stations are being constructed, operated and planned around the world. The introduction of hydrogen energy is also progressing in Korea, by announcing road-map to supply hydrogen electric vehicles and hydrogen fueling stations by year.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 on the capacity of hydrogen fueling station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um capacity of hydrogen fuelling station for domestic hydrogen economy.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을 활용한 도로이동오염원 저감대책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Evaluation of Mobile Emission Reduction Countermeasur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pproach)

  • 박관휘;이규진;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3-105
    • /
    • 2014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기법을 활용하여 도로이동오염원 저감대책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와 그에 기반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현재 시행 중이거나 장래 계획 가능한 도로이동오염원 저감 대책들을 근거로 실효성 높은 자동차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저감 대책 10개를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대기오염물질 4개(CO, HC, NOX, PM), 온실가스 3개($CO_2$, $CH_4$, $N_2O$)물질에 대해 장래 통행패턴을 고려한 교통수요예측모형과 가변적 복합배출계수를 활용하여 2027년도를 최종 목표년도로 저감량을 산정하였다. 저감 대책들 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DEA모형 중 초효율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승용차 요일제 참여 확대 대책이 효율성 점수 1.879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저감대책으로 선정되었으며, 버스전용차로 확대, CNG버스 보급 대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차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저감대책 우선순위 선정 결정 시 절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는 없지만 저감대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향후 자동차 배출량 저감 정책방향 설정 및 체계적인 중장기 저감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연가스자동차 사고사례 및 원인분석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the Causes for Natural Gas Vehicle Accidents)

  • 김영섭;조은구;김래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1-48
    • /
    • 2009
  • 지난 30년 동안 발생한 천연가스자동차 사고사례를 수집하고 사고원인을 용기의 형태별로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6건의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사고원인으로는 열처리 불량으로 인한 용기파열사고가 3건이고 복합재료의 손상에 의한 용기파열과 천연가스자동차 화재로 인한 용기파열, 그리고 정비불량으로 인한 연료배관 가스누출사고가 각각 1건씩을 기록하고 있다. 국외에서 발생한 사고를 용기 형태별로 살펴보면, 전체 사고용기의 약 29%가 Type I 용기에서 발생하였고, Type IV가 약 24%, Type II가 16%, 그리고 Type III가 14%를 차지하고 있다. 사고원인에 있어서는 원재료 및 제조과정의 오류에 의한 용기파열이 37%로 가장 높았고 용기의 반복사용으로 인한 응력부식균열이 16%로 위 두 가지 사고원인이 전체 사고용기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다음은 PRD의 결함과 과충전으로 인한 용기파열사고가 15%이고 그 밖에 화재 및 원인불명 등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용기제조자는 용기형태에 관계없이 원재료 및 용기제조공정의 품질관리와 라이너의 부식을 방지하는 도장을 강화해야 하고, 운송사업자는 연료장치의 일상점검을 통해 천연가스자동차의 시설을 항상 안전한 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요약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이동오염원의 제어기술의 동향과 발전방안 (Air Pollutants Control Technique Trends for Transportation Sources in Korea)

  • 김정수;엄명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7-485
    • /
    • 2013
  • The major source of harmful air pollutants in Korea have been shifted as economy grows. Particulate matter(PM) and Sulfur dioxide ($SO_2$) emitted from industries and coal-fired domestic sectors were important pollutants in 1970's and later industrializing period of Korea. Then the characteristic of pollution was changed into so-called "developed country type pollution". Vehicles have been responsible for significant amount of Nitric oxide ($NO_x$) pollution and consequent Ozone formation in urban area since 1990's. Variety of control measures have been introduced to deal with the vehicle emiss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Emission control technologies have successfully reduced pollutants from vehicles. Three-way catalyst for vehicles fueled by gasoline and liquefied petroleum gas (LPG), for example, has achieved large amount of pollutants. Compressed natural gas (CNG) urban bus have penetrated existing diesel bus market and reduces PM and $NO_x$ emissions in many Korean cities. However, diesel vehicles are still reaming as a critical emission source of urban area. Diesel vehicles gain more popularity than ever because of their better fuel efficiency and driving power. Unfortunately, it is widely known that the pollutant emissions of diesel vehicles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gasoline and LPG vehicles. In this note, we briefly introduce the trends of emission control strategies which are accomplished by automotive industries for about last ten years. Emission regulation, cleaner fuel,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and other measures are discussed from technical as well as legislative perspectives.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Cognitive Perception of an Eco-friendly Public Transportation :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권영민;김수지;변지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71-82
    • /
    • 2020
  • 교통분야의 환경오염, 석유자원고갈, 지구온난화 문제 등으로 내연기관 중심의 기존 교통시스템은 전기화를 기반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이에 수송효율이 뛰어난 친환경 대중교통수단이 향후 시장에 지속적으로 보급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들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하여 대중교통 수단들의 기술적·사회적 요인들에 대한 이용 승객들의 인지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향 제시를 목표로 한다. 설문조사(N=485)를 통해 7가지 교통수단(전기버스, 수소버스, 경유버스, CNG버스, 지하철, 전기택시, 내연기관 택시)에 대한 7가지 요인(친환경성, 차내 청결성, 혼잡성, 도시 이미지, 가격경쟁력, 좌석 편안함, 승차감)의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이를 주성분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잠재적 이용 승객들은 친환경 버스의 친환경성 및 도시 이미지 상승에 큰 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기존 버스대비 차내 청결성 및 승차감도 뛰어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들에 대한 승객들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들 결과가 친환경 교통수단의 이미지 포지셔닝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공간적 접근성 및 통행비용을 고려한 천연가스 충전소 최적 입지선정 모형 (A Model of Location Decisions of Natural Gas Filling Station Considering Spatial Coverage and Travel Cost)

  • 유정훈;이무영;오세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5-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버스 충전소 위치 선정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간적 접근성과 통행 비용을 고려한 천연가스 충전소 입지선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충전소 입지선정 모형은 고정식 충전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에서는 천연가스버스의 노선 기종점으로부터 이동거리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충전소 입지 대안들을 Heuristic Algorithm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모형의 2단계에서는 변형된 Transportation Problem을 이용하여 충전소 입지대안별 최소 통행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충전소의 설치 및 운영비용과 비교분석하여 충전소 최적 입지대안을 도출하였다. 본 모형의 적용가능성 분석을 위해 수도권내의 대표적 중소도시인 안양시를 대상으로하여 천연가스버스 수요량에 따른 충전소의 입지와 규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천연가스 충전소 입지선정 방법론의 기틀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천연가스버스의 원활한 보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hearography를 이용한 Aluminum Liner 내부 결함의 변형량과 변형율 측정 및 FEM 검증 (Measurement of Aluminum Liner Internal Defect Deformation and Strain Using Shearography and FEM Verification)

  • 최인영;홍경민;고광수;강영준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6-692
    • /
    • 2013
  • Today,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a matter of worldwide concern. In particular, automobile industries engage in considerable research and investment to develop high-efficiency and ecofriendly cars. Most ecofriendly cars use natural gas or hydrogen gas instead of fossil fuels. In this regard, low-weight and high-pressure vessels have gradually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driving distance of a car. However, most pressure vessels installed in cars develop many defects over time owing to shocks sustained when the car is being driven. Such defects can cause the explosion of the pressure vesse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such explosions due to internal defects. The use of shearography for measuring the internal defects of objects afford many advantages. It is a non-contact and non-destructive method, and it is not limited by the object shape. In this study, the internal defect deformation and strain of an aluminum liner that is used in a CNG bus for the fuel storage tank is measured using shearography.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strain and deformation in order to detect defects and repair the pressure vessel.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hearography measurement method, the measurement results of shearography, out-of-plane ESPI, and FEM are compared quantit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