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M at Risk Method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4초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of Mother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최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60-75
    • /
    • 1998
  • The parents have much expectation upon the pregnancy and child birth, and in most cases, they expect the healthy parturient child. However, we can be placed on the high-risk conditions which have the physical, social and immature infant, due to the unexpected results, among the new-born. Accordingly, these high-risk newborn and premature infants will be mostly in NICU, which the concentrated medical treatment can be given, upon their conditions. After their birth and during these periods, they will be divided from the parents, and the nurse will accomplish the bringing-up activities which they can take care of the infant, expected by the parents after their birth. The hospitalization of high-risk newborn including these premature infants is the shocking experience to the parents of family, and thus they can feel the fear and uneasiness, and these reactions of parents are troubled in the behavior at the usual days, and cause the disorder and spiritless status, and these results break the supporting ability of parents, and cause the obstruction. Also, the unavoidable divis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as like hospitalization of children can make the parents to feel the alienation emotionally, and this causes the results which the pride on the bringing-up ability of baby gets to be lost. These problems can cause the difficulties on the bonding or the parenting in the further days, and can be related to the neglect and abuse of children. Also, it is gradually increased to study and report which the emotional division by the physical divis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baby obstructs the normal affection course between the parent and the infant. The stress caused by the birth and the hospitalization of high-risk newborn, as like this, is important in the points which it can uncertainly affect the potential energy for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who are finally healthy.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degree of stress which the parents of high-risk newborn including the immature child can be experienced from the hospitalization of ICU for their new borns, and thus to offer the basic program to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s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mother of newborn in NICU of 10 General Hospitals located at the 3one of Pusan, Korea from September 1997 to October 1997, and thus makes the subject of 95 person of pare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e study and it is descriptive study related to the stress of mother having the newborn in NICU. The method is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related to the stress of mother having the experience of child hospitalization and chronic disease child, and then acquires the advice of specialists group as like 5 nursing professors, and then is amended and supplemented. Total number of questions is 43 items and consists of 5 factors as like medical treatment &nursing procedures, disease status & prognosis, role of parents, communication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spital environment, and is 5 point Likert Scale.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method is very highly shown to be Cronbach α=0.95. The collected data is analysed as Average,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Duncan multifulrange test by use of SPSS /PC (V7.5).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under. 1. Every characteristics of subject is which the party of mother is 28.70age(±7.48) in the average ages, 51% in the high-school graduate, 38.5% in the christianity, total monthly income is 212.55 thousand won(±1.971), 74.5% in the housewife, 72.9% in the parents and children together living and the number of children to be 1.48person(± 0.6) in average, the recognition on the prognosis of baby is 74.0% in 'Don't know', the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after the hospitalization of babyis 37.3% in 'More Intim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husband to be 48% in 'No-change', and the degree which is consulted with the husband about the baby is 55% in 'very frequently' and the visiting number per week is 4.59(±1.63) in average and the accompanying person in the time of visiting is which the number of husband is 56.3% and thus is the highest. The characteristics of baby is which the age is 21.88days(±16.47) after the birth in average, the sex to be 50 person in the female 52.1% and the order of birth to be 54.2% in the first chid, and the weight in the birth to be 2770gm(±610) and the height in the birth to be 46.26cm(±7.62) in aver age. The medical diagnosis is 37.5% in the premature infant, the career of hospitalization is 96.9% in 'None', and the operation plan is 90.6% in 'None' and the execution of operation is 88% in 'None' and the nursing of incubator is 55.2% in 'Yes', and the method of feeding is 50.5% in 'Oral' and the contents of feeding is 46.9% in the 'Milk'. 2. The total stress degree of subject is almost highly shown to be as 3.36(±0.86). If it is compared upon each cause, 'stress on disease status & prognosis' is highest 3.79(±1.28), and it is in the order of 'stress on medical treatment & nursing procedures' 3.70(±0.93), 'stress on hospital environment' 3.14(±0.86), 'stress on role of parents' 3.18(±0.92) and 'stress on communication & inter personal relationship' 2.62(± 0.77) 3. As the results of checking the notworthiness of stress degree upon each variable of subject, the variable showing the noted difference was the birth weight(γ=-0.16, P=0.04), birth height(γ=-0.23, P=0.03), nursing in the incubator(F=8.93, P=0.04), feed method(F=2.94, P=0.04). That is to say, it is shown which the smaller the birth weight is, the higher the stress degree of mother is noteworthily. Also, the smaller the birth height baby is, the higher the stress of mother is. In the incubator, it os shown which the mother whose baby is nursing in the incubator is higher in the stress degree than other mothers. Upon the feeding method of baby, that is to say, TPNis the highest, and it is shown in the order of NPO, Tube feeding, and P.O. feeding. When we review the above-mentioned results, as the status is serious, it is thought which we include the supporting nursing for coping with the stress of parents in the setting-up od nursing plan for the baby in the NICU.

  • PDF

초등학교내 공기중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사멸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Kill Airborne Bacteria and Viruses in Elementary Schools)

  • 이수연;김창수;곽은미;임종언;전재환;권준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66-573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의 국내 유행 이후 늘어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감염취약계층의 집단감염 위험이 있는 초등학교에서 공기살균기 적용에 따른 공기살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의 교실 및 급식실, 화장실에 공기살균기를 각 1대씩 설치하고 공기살균기와 2m 떨어진 거리에서 표면 및 공기 시료를 채취하여 미설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균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면에서의 살균효과는 대조군 및 시험군 모두 2log CFU/cm2미만의 결과가 나왔으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이 54~87%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기중에서의 살균효과는 공기살균기 설치 위치에 따라 살균능력이 차이 났으며, 벽면 설치는 대조군에 비해 최대 91%의 저감 효과를 보였으며, 중앙 설치는 최대 93%의 저감 효과를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상시적인 소독을 진행하는 초등학교에서 현재의 방역프로그램을 유지하는 한편 공기살균기의 적용하여 상시적인 공기살균을 병행하면 감염병 전파 방지에 상승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기살균기로의 공기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온 열처리 자가 종양골이식을 이용한 이마뼈의 단골성 섬유성이형성증의 재건 (Pasteurized Tumoral Autograft for the Reconstruction of Monostotic Fibrous Dysplasia in Frontal Bone)

  • 이의태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94
    • /
    • 2010
  • 저온 열처리법은 두개안면골 종양의 절제 후 재건에 있어 간단하고, 믿을만하며, 모양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면서 또한 오랫동안 유지가 가능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종양 재발의 걱정없이 생물학적으로 융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적인 강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개안면골의 양성종양뿐만 아니라 절제가 가능한 악성종양의 경우에도 재건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볼 만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Transaxillary Subpectoral Placement of Cardiac Implantable Electronic Devices in Young Female Patients

  • Oh, Joo Hyun;Kim, Chae Min;Song, Seung Yong;Uhm, Jae Sun;Lew, Dae Hyun;Lee, Dong 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34-41
    • /
    • 2017
  • Background The current indications of cardiac implantable electronic devices (CIEDs) have expanded to include young patients with serious cardiac risk factors, but CIED placement has the disadvantage of involving unsightly scarring and bulging of the chest wall. A collaborative team of cardiologists and plastic surgeons developed a technique for the subpectoral placement of CIEDs in young female patients via a transaxillary approach. Methods From July 2012 to December 2015, subpectoral CIED placement via an axillary incision was performed in 10 young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25.9 years and mean body mass index of $20.1kg/m^2$. In the supine position, with the patient's shoulder abducted, an approximately 5-cm linear incision was made along one of the deepest axillary creases. The submuscular plane was identified at the lateral border of the pectoralis major, and the dissection continued over the clavipectoral fascia until the subpectoral pocket could securely receive a pulse generator. Slight upward dissection also exposed an entrance to the subclavian vein, allowing the cardiology team to gain access to the vein. One patient with dilated cardiomyopathy underwent augmentation mammoplasty and CIED insertion simultaneously. Results One case of late-onset device infection occurred. All pati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results and report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procedure to others. Conclusions With superior aesthetic outcome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the subpectoral placement of CIEDs via a transaxillary approach is an effective, single-incision method to hide operative scarring and minimize bulging of the device, and is particularly beneficial for young female or lean patients.

Seroma prevention with topical Abnobaviscum sclerotherapy following excision of giant cervical lipoma

  • Jun Ho Choi;Seung Yeon Choi;Jae Ha Hwang;Kwang Seog Kim;Sam Yong Lee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7
    • /
    • 2023
  • Background: Lipomas are common benign tumors of mesenchymal origin that are composed of mature adipocytes. Giant lipomas have a diameter ≥ 10 cm in one or more dimensions or weigh at least 1,000 g. The surgical excision of a giant lipoma requires extensive dissection, increasing the risk of a seroma, which can cause surgical site complications such as wound infection and necrosis. Sclerotherapy with Abnobaviscum (Viscum album extract) is a relatively new technique used to reduce malignant pleural effus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prophylactic sclerotherapy using Abnobaviscum to decrease seroma after giant lipoma excis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excision for giant lipoma of the neck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2. Sclerotherapy was performed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in patients who consented to the procedure, and Abnobaviscum was instilled through the existing Hemovac drain. We compared the clinical course between those who underwent postoperative sclerotherapy and those who did not. Results: Among the 30 patients who underwent giant lipoma excision, we applied sclerotherapy with Abnobaviscum to 15 patients. The average time from surgery to Hemovac removal was statistically shorter in patients who underwent sclerotherapy (p= 0.004). Furthermore, seroma form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atients receiving sclerotherapy (p= 0.003). Conclusion: In patients undergoing giant lipoma excision, sclerotherapy using Abnobaviscum helps reduce postoperative seroma formation during the initial postoperative period. It can be an excellent method to reduce complications related to seroma and attenuate patients' postoperative burden.

만성 기도폐쇄환자에서 급성 호흡 부전시 BiPAP 환기법의 치료 효과 (The Effect of Nasal BiPAP Ventilation in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Airway Disease)

  • 조영복;김기범;이학준;정진홍;이관호;이현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90-200
    • /
    • 1996
  • 연구배경 : 장기간 진행된 심한 만성 기도 폐쇄질환 환자에서 합병된 급성 호흡부전의 치료로 기관삽관과 기계호흡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계호흡을 거부하거나 기계호흡의 이탈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에서 기관삽관과 기계호흡을 대신할 수 있는 환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수면 무호흡질환 환자의 치료로 개발되었던 지속적 기도 양압 치료가 급성 혹은 만성 호흡부전의 치료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호흡부전이 합병된 만성 기도 폐쇄환자에서 비강 마스크를 통한 BiPAP 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내원한 만성 기도 폐쇄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BiPAP 치료군으로 10명의 만성 폐쇄성 폐질 환자와 1명의 기관지 천식환자에게는 대증적 치료 및 BiPAP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였고, 대조군으로 11명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에게는 대증적 치료만 시행하였다. 대증적 치료는 산소 요법, 아미노필린, 부신피질 호르몬 흡입, 베타 agonist 등의 약물을 투여하였고 BiPAP 치료시 mode는 spontaneous timed, 호흡 빈도는 분당 12회에서 20회, IPAP는 $6cmH_2O$에서 $8cmH_2O$, EPAP는 $3cmH_2O$에서 $4cmH_2O$로 설정하였고 사용 기간은 3일간이었다. 치료 효과는 호흡 빈도, modified Borg scale 및 동맥혈 가스소견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BiPAP 치료군과 대조군 사이에 나이, 치료 시작전 호흡 빈도 동맥혈 가스소견, modified Borg scale 그리고 안정 상태에서 시행한 환기 기능검사 소견은 양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호흡빈도와 modified Borg scale은 BiPAP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나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동맥혈 산소 BiPAP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다 같이 치료전에 비해 치료 1일 및 3일후에는 시간에 경과에 따라 호전되었으나 BiPAP 치료군에서는 치료 1일후와 치료 3일후의 소견에도 뚜렷한 호전이 있었던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BiPAP치료군에서는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치료전과 비교하여 치료 1일후 및 3일후에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없었다. pH는 BiPAP 치료군에서 치료전과 비교하여 3일후에 의의있게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과 BiPAP치료군의 치료 전후의 평균 동맥혈가스 차이로 두 군간의 비교에서도 동맥혈 산소분압은 치료 3일째,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은 치료 1일째와 3일째, pH는 치료 3일째에 각각 의미있는 (p<0.05)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중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급성 호흡부전이 발생시 BiPAP 치료는 호흡곤란과 동맥혈 호흡성 가스 소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적인 환기법이 될 수 있겠으며 기관 삽관에 의한 인공호흡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보행 환자에서의 위볼기동맥천공지뒤집기피판을 이용한 허리엉치 부위 연부조직 결손의 치료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Turn-Over Flap Coverage for Lumboscaral Soft Tissue Defect in Ambulatory Patient)

  • 문석호;김동석;오득영;이중호;이종원;서제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712-716
    • /
    • 2010
  • Purpose: Extensive lumbosacral defects after removal of spinal tumors have a high risk of wound healing problems. Therefore it is an effective reconstructive strategy to provide preemptive soft tissue coverage at the time of initial spinal surgery, especially when there is an instrument exposure.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of a lumbosacral defect, a variation of the gluteal flap is the first-line choice. However, the musculocutaneous flap or muscle flap that is conventionally used, has many disadvantages. It damages gluteus muscle and causes functional disturbance in ambulation, has a short pedicle which limits areas of coverage, and can damage perforators, limiting further surgery that is usually necessary in spinal tumor patient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turn-over flap that reconstructs complex lumbosacral defects successfully, especially one that has instrument exposure, without damaging the ambulatory function of the patient. Methods: A 67 year old man presented with sacral sarcoma. Sacralectomy with L5 corpectomy was performed and resulted in a $15{\times}8\;cm$ sized complex soft tissue defect in the lumbosacral area. There was no defect in the skin. Sacral stabilization with alloplastic fibular bone graft and reconstruction plate was done and the instruments were exposed through the wound. A $18{\times}8\;cm$ sized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flap was designed based on the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and deepithelized. It was turned over 180 degrees into the lumbosacral dead space. Soft tissue from both sides of the wound was approximated over the flap and this provided in double padding over the instrument. Results: No complications such as hematoma, flap necrosis, or infection occurred. Until three months after the resection, functional disturbances in walking were not observed.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shows the flap volume was well maintained over the instrument. Conclusion: This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turn-over flap,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flap, is a simple method that enabled the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a lumbosacral defect with instrument exposure without affecting ambulatory function.

침윤소화약제의 효과성 증대를 위한 기술기준 개선방안 (The Ways of Improving Technical Standard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Wetting Agent)

  • 장관수;김정민;조영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81-588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석탄 심부 화재 발생 시 대응과 침윤소화약제의 실효성 확대를 위한 기술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석탄 8톤과 침윤소화약제 3종, 소화용수를 활용하여 침투 실험을 수행하고, 국내·외 기술기준 및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화용수는 높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석탄 심부로 침투하지 못하였고, 침윤소화약제는 5~25cm 깊이까지 침투되었다. 국내 기술기준은 침투성에 대한 간접 측정 방식인 표면장력만 언급되어있고, 소화능력시험도 목재를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해외에서는 면직물을 활용한 심부 화재 실험, 헵탄을 이용한 B급 화재 실험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 미 광산국에서는 모세관 상승 시험, 침전시험, 접촉각 측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미국 NFPA 및 광산국의 기준과 사례를 토대로 국내 기술기준도 침투성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추가하여 실효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술 후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Risk Factors for Recurrence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 Early Breast Cancer: Preliminary Report)

  • 서창옥;정은지;이희대;이경식;오기근;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31-337
    • /
    • 1997
  • 목적 : 연세의대 연세암센터에서는 1991년도부터 조기유방암에 대하여 유방보존술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본원에서 사용하는 치료방법과 치료에 따르는 부작용 등에 대해서는 이미 보고한 바 있다. 아직 추적 관찰 기간이 짧기 때문에 치료결과를 평가하기는 어려운 시점이지만 치료 후 수년 이내에 재발하는 양상을 알아보고 그에 관련되는 위험인자를 알아봄으로써 본원에서 시행 되고 있는 유방보존술을 중간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AJCC 병기 1기, 2기 유방암으로 유방 보존적 수술을 받은 후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2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80세로 중앙값이 44세였으며, 40대가 86명$(39.8\%)$, 30대가 73명$(33.8\%)$, 50대가 38명$(17.6\%)$였다. T 병기 별로는 T1이 117명, T2가 99명이었으며 이 중 Tlc와 3cm 이하의 T2가 전체의 $79\%$를 차지하였다. 액와림프절은 73명에서 양성이었다. 따라서 stage 1이 89명$(41.2\%)$, 113가 81명$(37.5\%)$, llb가 46명$(21.3\%)$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유방부분절제술과 액와림프절 곽청술을 시행받은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96명의 환자들이 방사선치료 후, 또는 방사선치료 전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다. 추적 기간은 3-60개월로 정중앙 추적기간이 30개월이었다. 결과 : 추적 기간 동안에 19명이 재발하였는데 3명은 국소 재발(true recurrence;1, elsewhere; 1, skin;1)만 있었고 13명은 원격전이만 있었으며, 3명은 국소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있었다. 이 외 반대편 유방암이 1예에서 발생하였고, 3예에서 2차 원발암이 발생하였다. 국소 재발을 보인 예들 중, 유방의 피부에서 재발하였던 예는 곧 이어 원격전이를 보였지만, 나머지 2예는 유방전적출술을 받은 후 무병 생존중이다. 원격전이를 보인 예들은 대부분(12/16) 2년 이내에 재발하여 빠르게 진행되어 11명이 사망하였고 원격전이 후 정중앙 생존기간이 8개월이었다. 병기별 5년 생존율은 1기 $96.7\%$, IIa기 $95.2\%$, IIb기 $69.9\%$이었고, 5년 무병생존율은 I기, IIa기, IIb기가 각각 $97.1\%,\;91.7\%,\;59.9\%$이었다. 원격전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연령, 1병기, N병기,AJCC stage가 의미 있었으며, 병리학적 유형, 화학요법 여부, 수술절제연 침범 유무는 원격전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 : 조기유방암의 유방보존술 후 수년 이내에는 유방내 국소재발은 적으나, 원격전이는 주로 3년이내에 발생하였는데 40세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 종양이 클수록, 침범된 액와림프절의 숫자가 많을수록 원격전이율이 높았다.

  • PDF

식도암 수술후 문합부 합병증에 관한 연구 - 경부문합과 흉부문합 간의 비교- (A Study on Anastomotic Complications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 A Comparison of Neck and Chest Anastomosis)

  • 이형렬;김진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99-805
    • /
    • 1999
  • 배경: 식도 및 분문부암에서 식도절제를 시행한 후 문합부에 생길 수 있는 중대한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 양성 협착, 그리고 종양재발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술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그 문합의 위치가 경부 또는 흉부 어디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합의 위치에 따른 합병증을 서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식도암 근치술을 시행 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절개에 의한 식도절제 후 그 문합 위치에 따라 경부 문합군(NA군, 20명) 및 흉부 문합군(C군, 16명)으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식도암환자의 병기는 2A기 13명, 2B기 7명, 3기 16명으로 술후 각각 판정되었고, 종양의 위치별로는 중흉부에 22명, 하흉부 및 분문부에 14명이 각각 위치하였다. 결과: 전체 수술사망률은 8.3%(경부 문합군 5%, 흉부 문합군 12.5%)였다. 문합부 누출율은 경부 문합군 15.0%, 흉부 문합군 12.5%으로 문합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문합 방법상 수봉합(27.3%)과 staple봉합(8.0%)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p<0.05). 종양으로부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9.6 cm(경부문합군) 및 5.8 cm(흉부문합군)였고, 문합부 종양 재발율은 5.3%(경부문합군) 및 28.6%(흉부문합군) (p<0.05)였다. 양성 협착률-중등도 이상의 연하장해로 정의함-은 흉부문합군(21.4%)에 비해 경부문합군 (36.8%)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staple봉합법에 의한 문합시에는 staple의 크기가 작을수록 협착의 빈도는 높았다(25-mm staple에서 41.7%, 28-mm에서 9.1%) (p<0.05). 결론: 근위부 절제연을 크게 할수록 문합부의 종양 재발율을 줄일 수 있었고 staple봉합의 도입후 문합부 누출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양성 협착률은 경부 문합후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작은(25-mm) sstaple이 사용과 술후 문합부 누출의 합병이 중등도 이상의 협착의 더욱 큰 위험 요소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