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USTER분석

검색결과 3,142건 처리시간 0.031초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 연구 -광교테크노밸리 산학협력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Focused on the case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f the Gwanggyo Technovalley-)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77-3485
    • /
    • 2012
  •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 추진의 전략방향 설정을 위해서 클러스터 현황을 클러스터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클러스터 분석은 클러스터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파악하고 정책적인 대안의 도출을 위해 활용되는 실제적인 분석도구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광교테크노밸리의 발전단계에 따른 협력현황 분석을 위하여 산학연협력체계 분석과 진단을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광교테크노밸리내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경험은 67.3%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과 기업과는 연구개발, 연구기관과는 장비활용 중심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또한, 산학연 협력의 지원정책수요는 협력기관 현황제공, 기술별 정보취득 지원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의 수요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혁신클러스터 구성단계를 넘어서 확장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혁신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조속히 제시하고 단지인근에서 입주기업의 산학연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혁신클러스터 단계별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근의 타 혁신거점과 정책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서 타 혁신클러스터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망 구축이 필요하다.

군집분석 기법을 이용한 공공도서관 그룹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ibrary Grouping using Cluster Analysis Methods)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9-9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그룹화를 위해 적합한 군집분석 모델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데 있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공공도서관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군집분석 기법의 3가지 모델을 적용하였다. 공공도서관 규모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가지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의 크기는 크게 한쪽으로 치우쳤다. 그룹화 모델로 도서관 규모를 기준으로 삼으면, 계층적 군집분석의 와드측정법과 k-평균군집분석 모델이 적합하였다. 공공도서관 그룹화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 데이터 외에 도서관 서비스 관련 다양한 데이터 수집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분석 대상이 되는 데이터 세트에 적합한 분석 모델이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군집분석 기법의 다양한 분야 적용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가 있다.

전자상거래 이용시 연관성 분석을 통한 맞춤형 상품추천 모델 설계 (Design of 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model on correlation analysis when using electronic commerce)

  • ;박기용;최상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03-21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COVID-19의 영향과 온라인 시장을 중심으로 구매패턴이 변화하는 현 경영환경의 시대에서 온라인 배송업체의 구매정보와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군집분석과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객군집, 상품군집, 그리고 교차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세분화시켜 결합군집을 생성하여 학문적으로 새로운 방안의 군집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각각의 군집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관성 분석을 하였다. 연관성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결합군집에서 더 많은 연관 규칙이 도출 되었으며, 중복률은 더 적은 것으로 분석되어 효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의 니즈에 맞게 상품을 추천하기 위해서는 결합군집이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판단된다. 결합군집 모델은 소비자에겐 시간 절약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해당 업체에는 판매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과제로써,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는 다수의 온라인 배송업체들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한다면 좀 더 명확하고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조리.외식관련 대학생들의 교육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 a Cooking and Food Service Program)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4-84
    • /
    • 2011
  • 조리 외식전공 대학생들의 교육환경서비스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 외식전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환경서비스와 전반적인 만족도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공자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 SPSS 17.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과 One-Way ANOVA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육환경서비스가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가설검정결과는 교육환경서비스 요인 중 실습시설 만족도와 교수의 친절강의 만족도에서(p<0.01) 부분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시설 만족도와 행정 서비스 만족도에서(p<0.01)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서비스의 군집분류를 보면, 4개의 군집에서 군집 1은 미스트리형, 군집2는 만족형, 군집3은 불만족형, 군집4는 부정형 만족집단으로 분류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고차원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한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the Cluster Validation Methods for High-dimensional (Gene Expression) Data)

  • 정윤경;백장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1호
    • /
    • pp.167-181
    • /
    • 2007
  • 유전자 발현 자료(gene expression data)는 전형적인 고차원 자료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군집 알고리즘(clustering algorithm)과 군집 결과들을 검증하는 군집타당성분석 기법(cluster validation technique)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 군집 타당성을 분석하는 기법의 성능에 대한 비교, 평가는 매우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저차원의 모의실험 자료와 실제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하여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들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내적 측도에서는 Dunn 지수, Silhouette 지수 순으로 뛰어났고 외적 측도에서는 Jaccard 지수가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의 나노기술 분야에서 핵심 연구영역 도출에 관한 연구 -국가 연구개발사업 수준에서 기술군집분석의 적용- (A Study on Selecting the Key Research Areas in Nano-technology Field in Korea: An Application of Technology Cluster Analysis in National R&D Program)

  • 이용길;이세준;이재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5-190
    • /
    • 2003
  •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s for selecting the key research areas, which fit for the large, multi-disciplinary, and long-term programs by making use of Technology Cluster Analysis. This method is applied to mano-technology field at the level of national R&D program. 56 nano-technologies are analyzed and grouped into three main clusters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180 experts. Three main clusters are \circled1 naro-materials related cluster, \circled2 naro-device related cluster, and \circled3 naro-bio related cluster. These three clusters are coincided with the focused areas of nano-technology in Korea. Each cluster is analyzed in view of its competence position.

  • PDF

발의 형태 분석을 위한 군집분석(I) - 19~23세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 (Cluster Analysis for Foot Type(I) - The subject of the college women between the age of 19~23 years -)

  • 문명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1-22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ot type by cluster analysis for footwear. The sample size for the study was 200 college womens between age 19 and 23 in Pusan urban area. There were measured 17 items of the foot for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 was as follows : 1. 1'here were 9 items selected by factor analysis. 2.'rho cluster analysis of the foot must be analyzed by direct and indirect measurement indivisually. 3. The cluster analysis of the direct measurement ; Cluster 1 : 1'he foot length is all much the same to mean value of this age group and the items of width and circumference are relatively small to other clusters. Cluster 2 ; The foot length is relatively small to other clusters and the items of width and circumference are all much the same to mean value of this age group. Cluster 3 ; The foot sine Is relatively large to other clusters. 4. The cluster analysis of indirect measurement ; Cluster 1 ; The (cot print angle is high find Metatarso-Phalanx angle is transformed Cluster 2 ; The foot print angle is low and Melatarso-Phalanx angle is normal. Cluster 3 : Tho foot print angle Is middle and Metatarso-Phalanx angle is all the mush same to mean value of this age group. Cluster 4 . The foot print angle Is the most value and Metatarso-Phalanx angle is normal.

  • PDF

확률적 reduced K-means 군집분석 (Probabilistic reduced K-means cluster analysis)

  • 이승훈;송주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6호
    • /
    • pp.905-922
    • /
    • 2021
  • 라벨 없이 진행되는 비지도 학습 중 하나인 군집분석은 자료에 어떤 그룹이 내포되어 있는지 사전 지식이 없을 경우에 군집을 발굴하고, 군집 간의 특성 차이와 군집 안에서의 유사성을 분석하고자 할 때 유용한 방법이다. 기본적인 군집분석 중 하나인 K-means 방법은 변수의 개수가 많아질 때 잘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군집에 대한 해석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차원 자료의 경우 주성분 분석과 같은 차원 축소 방법을 사용하여 변수의 개수를 줄인 후에 K-means 군집분석을 행하는 Tandem 군집분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차원 축소 방법을 이용해서 찾아낸 축소 차원이 반드시 군집에 대한 구조를 잘 반영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특히 군집의 구조와는 상관없는 변수들의 분산 또는 공분산이 클 때, 주성분 분석을 통한 차원 축소는 오히려 군집의 구조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군집분석과 차원 축소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De Soete와 Carroll (1994)이 제안한 방법론을 확률적인 모형으로 바꿔 군집분석을 진행하는 확률적 reduced K-means를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 차원 축소를 배제한 군집분석과 Tandem 군집분석보다 더 좋은 군집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고 군집 당 표본 크기에 비해 변수의 개수가 많은 자료에서 기존의 비 확률적 reduced K-means 군집분석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확인했다. 보스턴 자료에서는 다른 군집분석 방법론보다 명확한 군집이 형성됨을 확인했다.

발의 형태 분석을 위한 군집분석(II) -19~24세 남자대학생을 중심으로- (Cluster Analysis for Foot Type (II) -The subject of the college men between the age of 19~24 years-)

  • 문명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37-64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n's foot and the foot type by cluster analysis for men's footwear. The sample size for the study was 200 college men between age 19 and 24 in Pusan urban area. There were measured 17 items of the foot for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size of If items of men's foot is larger than women's foot. 2. There were 9 items selected by factor analysis. 3. The cluster analysis of the direct measurement: Cluster 1: The items of the direct measurement is all much the same to mean value of this age group. Cluster 2: The foot size is relatively small to other clusters. Cluster 3: The foot size is relatively large to other clusters. 4. The cluster analysis of indirect measurement: Cluster 1: The foot print angle is the most value and Metatarso-Phalanx angle is nomral Cluster 2: The foot print angle is middle and Metatarso-Phalanx angle is normal. Cluster 3: The foot print angle is high and Metatarso-Phalanx angle is the smallest. Cluster 4: The foot print angle is low and Metatarso-Phalanx angle is all the much same to mean value of this age group.

  • PDF

유전자 발현 자료를 이용한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 비교 (Comparison of the Cluster Validation Techniques using Gene Expression Data)

  • 정윤경;백장선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63-76
    • /
    • 2006
  • 유전자 발현 자료(gene expression data)를 분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군집 알고리즘(clustering algorithm)과 군집 결과들을 검증하는 척도, 즉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cluster validation technique)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틀 군집 타당성을 분석하는 기법들에 대한 성능의 비교 평가는 매우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 생성 자료로 몇 가지 특정 상황을 연출하여 군집 타당성 분석 기법들을 비교해 보고, 실제 유전자 발현 자료 두 가지에 대해서도 이들 기법의 성능을 비교 평가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