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X FORES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2초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지수 추정 (The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by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 김광택;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23-728
    • /
    • 2006
  • 산림천이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산림 구조와 기능의 변화 과정이므로 그 진행 과정에 대하여 모델 개발 혹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천이 진행 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의 극성상지수와 구성 비율로 산출되는 천이지수를 추정하였고, 천이의 진행에 따른 군집의 생활형 구성 비율의 차이와 종다양성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의 천이지수가 67.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전나무-틀메나무군집이 67.4로 그 다음 순이었으며, 가래나무-층층나무군집이 60.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을 제외한 대부분 군집에서 미래의 안정상태의 상층 임관천이지수는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의 상층의 수종 구성은 현재 진행천이가 일어나고 있었고, 중층에서는 매체로 천이의 진행과 함께 천이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폭이 미미하여 중층과 하층의 천이 진척은 거의 동일 단계에 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이지수의 값은 생활형 중 풍수산포형과는 유의수준 5%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동물산포형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천이지수와 교목, 관목, 초본 및 전체 종의 종풍부성 그러고 Shannon의 종다양성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천연림의 수종 대치 작용 모델에 의한 산림천이 경향 분석 (The Analysis of Forest Successional Trend by Species Replacement Model in the Natural Forest)

  • 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1-10
    • /
    • 2003
  •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에서 산림 천이 경향과 잠재 산림 식생을 검토 분석한 것이다. 106개의 20m×20m 정방형 표본구를 설치하여 중ㆍ상층목의 아래에서 생육하는 하ㆍ중층목에 의해서 세대 교체되는 과정을 바탕으로 천이 경향을 평가하였다. 조사 대상 산림의 천이 경향분석은 Markov chain의 수학적 이론에서 변형된 추이 행렬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조사 산림은 천이의 중간 단계에 있으며, 수종 구성상 극성상림에 도달하려면 50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42.6%와 8.1%의 높은 상대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신갈나무와 음나무는 극성상의 안정상태가 되면 각각 13.3%와 0.5% 이하로 수종 구성비율이 감소하리라 예상된다. 반면에 전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당단풍의 구성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래 수종 구성 비율의 증감은 내음성 지수를 바탕으로 연구 모델을 검토한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추이행렬 모델의 실제 상황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모델의 가정과 민감도 역시 고찰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결과가 지적하는 바에 의하면 조사 산림의 현재 생태적 동태는 인간에 의한 방해와 교란이 있은 후 천이가 진행 중임을 반영한다.

  • PDF

남강댐의 운영수위 변경에 따른 선버들 군락의 분포현황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n Water Level Change and Salix subfragilis Community Formation in Namgang-dam)

  • 정혜련;김기흥;박재현;이석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5
    • /
    • 2013
  • The present Namgang Dam had been completed in 2000,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began to form in 2003 and their distribution area have been rapidly extended into nine times in 2010. In order to deduce correlation between water level and distribution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under this background in Namgang-dam reservo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widening direction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have been analyzed by aerial photographs and water levels has been reviewed, also heights and ages of Salix subfragilis have been surveyed in field. The water levels of Namgang-dam related germination of Salix subfragilis have been analyzed in May and June from 2000 to 2010, mean water level, minimum water level and maximum water level were 37.87m, 36.99m and 38.82m, respectively. The oldest ages were 9-13 years, average diameters of breast height, average heights, average numbers and average crown area were respectively 3.9-8.8cm, 3.8-7.5m, $0.53/m^2$ and $0.98m^2/m^2$ in sites. Therefore,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recruitment of Salix subfragilis was in May 2002 when water levels have been maintained as 38.76-41.31m and the widening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as in May 2004 and 2005 when mean minimum water levels have been maintained as 38.76-41.31m.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formed climax forest in Namgang-dam shore, this phenomena were different from the succession processes of Salix in rivers appeared landforming by deposition of sediment.

선운산 지역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 Kim, Jeong-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4호
    • /
    • pp.159-164
    • /
    • 1987
  •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In previous two papers the plant communities of actual vegetation of the area is grouped into nine types;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serrata, Camellia japonica (plantation), Quercus aliena, Pinus thunbergii, Zelkova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forest. With the analysis of species richness, age structure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ies, two paths of late stage succession are suggested in climatic climax starting from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area. One is through Quercus variabilis forest to Carpinus laxiflora forest in upper parts of the mountain and the other through Quercus aliena forest to Carpinus tschonoskii forest in lower parts of the mountain. With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and the examination of informations including human activities in the area,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area was inferred.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area was mainly composed of Carpinus laxiflora, Carpinus tschonoskii, Pinus densiflora and Zelkova serrata forest.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scale, 1:25, 000) and other results from this study might be the useful data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vege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current vegetation.

  • PDF

점봉산(點鳳産) 일대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지형적(地形的) 위치(位置)에 따른 천이(遷移) 경향(傾向) 분석(分析) (The Analysis of Successional Trends by Topographic Position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Chumbong)

  • 이원섭;김지홍;김광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55-665
    • /
    • 2000
  • 산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라 수종 구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세가지 지형적 위치(계곡, 산복, 능선)에 대한 천이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계곡, 산복, 능선에서 각각 20개씩 총 60개의 $20m{\times}20m$ 표본구를 설정하여 현재 상층 임관을 형성하는 상층목들의 수종, 수고. DBH를 조사하고 상층목 밑에서 자라는 하층목의 수종을 조사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층목이 그 밑에서 자라는 하층목에 의해서 대치되는 천이 경향을 Markov chain의 통계학적 이론을 응용한 추이행렬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했다. 연구 결과, 계곡에서는 현재 우점 수종인 신갈나무와 물푸레나무가 각각 약 23%와 약 21%의 구성 비율에서 약 200년 후에 이르게될 안정상태에 가면 두 수종 모두 약 4% 정도로 현저히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전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난티나무 동은 안정상태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산복에서는 약 250년 후에 이르게될 안정상태가 되면, 현재 우점 수종인 가래나무, 음나무, 피나무가 현재의 구성 비율인 15%, 8%. 15%에서 각각 2%, 1%, 5%로 현저히 감소할 것이 괄목할 만한 결과였다. 능선에서는 현재의 절대 우점 수종인 신갈나무가 58%의 구성 비율에서 약 200년 후에 이르게될 안정상태에서는 8%로 상당히 감소하고, 고로쇠나무와 피나무가 현재의 4%와 3% 의 구성 비율이 각각 20%와 40%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반적으로 연구대상 산림은 극상 군집이 아닌 천이가 진행 중인 상태이며, 입지 조건과 식생 발달 상황에서 여러 가지의 변수가 작용하겠지만, 상층 임관의 수종 구성 상 안정상태에 도달하려면 약 20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지리산 천연림의 유형 분류 및 천이지수 추정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and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in the Natural Forest of Jirisan(Mt.))

  • 임선미;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68-374
    • /
    • 2015
  • 본 연구는 지리산 일대 천연림에서 점표본법인 사분법에 의해서 수집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법을 이용하여 산림형을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림은 신갈나무림형, 들메나무-거제수나무림형, 중생혼합림형, 구상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 졸참나무림형, 소나무림형, 굴참나무림형 등 8개의 산림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8개의 산림형들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각 산림형별로 천이지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서어나무림형의 천이지수가 219.7로 산출되어 가장 높았고, 미미한 차이의 천이지수 218.3이 산출된 중생혼합림이 그 뒤를 이었으며, 소나무림형의 천이지수가 가장 낮았다. 산림형들의 천이지수와 종다양성지수와의 비례적인 관계는 찾기 어려웠다. 가정적으로, 천이지수가 높은 산림형은 극상림에 보다 가까이 근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추정된 천이지수는 천이 단계를 가늠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지만, 산림형들 간에 천이 계열 상의 위치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참고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산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한 식물생태계의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the Plant Ecosystem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Masan District)

  • 이경재;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94
    • /
    • 1985
  • 이상과 같이하여 식물생태계분석기법을 실제 마산지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이 분석결과 및 이를 통한 환경보존지침을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주식생군집의 유형 마산지역의 식생은 주로 대상식생으로서 크게 10개의 군집으로 구분되는데 주요 군집은 곰솔군집, 곰솔-상수리군집, 상수리-갈참군집이다. 이 중에서 곰솔-상수리군집이 전체면적의 29.2%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2) 종구성의 다양도/유사도 식물군의 종다양도는 상수리-갈참군집, 상수리-곰솔군집과 같이 활엽수림위주의 수림이 높았으며 유사도는 곰솔과 곰솔위주 혼효림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천이계열상 특성 곰솔군은 토지적 준극상림의 안정된 상해로 적극적 보호가 요구되나 토양상태가 좋은 곳에는 활엽수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곰솔-상수리군집은 상층 침엽수 불량목을 제거하고 활엽수에 의해 보식이 요망된다. 상수리-갈참군집은 천이계열상 전진적 양상을 보이므로 인간에 의한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 4) 식생자연도 2차림, 자연도 7에 해당되는 지역이 52.8%로 가장 많인 분포되어 있으며 레크레이션적 도시림으로 적극적 보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5) 식물현존량 및 생산량 고산식물현존량은 160,470.95ton으로 1인당 녹지량은 0.40ton이며 생산량은 32,920.64 ton으로 1인당 0.082ton이다. 이 식물생산량에 의한 $O_2$방출량은 34,396 ton/yr 로서 마산지역 전체인구 호흡량의 33.5% 수준 밖에 안되므로 적극적 녹지의 확보는 물론 순생산량을 높이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와같은 기초적연구가 극히 미미하여 실제 합리적인 자연환경보존정책의 수립이 곤란하다. 따라서 서울등을 비롯한 대도시는 물로 전국을 대상으로 이러한 기초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광릉내 용암산 식물군집의 천이와 이질성 (Succession and Heterogeneity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am,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 You, Young-Han;Kwang-Je Gi;Dong-Uk Han;Young-se Kwak;Joon-He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89-97
    • /
    • 1995
  • In order to study the successional trend and the heterogeneity of forest community, we investigated DBH frequency distribution of dominant tree species and the changes of several community indicies including ${\beta}-diversity\;({\beta}_t)$ along a belt transect in Mt. Yongam,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which has been preserved for about 530 years.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C. cordata were the three dominant species and their DBH frequency distribution showed a reverse J-shaped form, so these species seem to maintain by themselves. Dominancediversity curve had a lognormal distribution. d and H'for pooled quadrats were 0.13 and 1.09, respectively, but these indices within each quadiat varied with the range of 0.13 to 0.57 and 0.5 to 1.09, respectively. The value of ${\beta}_t$ along the belt transect ranged from 0.14 to 0.42.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forest community is in the stable climax stage but the components experience a heterogeneous microsuccession.

  • PDF

부산 금정산 범어사계곡 낙엽활엽수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t the Beomeosa(Temple) Valley in Kumjungsan, Busan)

  • 김정호;최송현;최인태;양순자;이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81-589
    • /
    • 2011
  • 부산 금정산 범어사계곡의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군락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단위면적 100$m^2$의 조사구 28개를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기법중의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류한 결과,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군락 I),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군락 II), 개서어나무-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 III), 개서어나무-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군락 IV),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군락 V), 편백-개서어나무군락(군락 VI)의 6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0.3832~1.0450의 범위이었으며 인공식재한 편백나무가 우점하는 군락 VI의 종다양도가 가장 낮았고 개서어나무와 기타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군락 I과 군락 V의 종다양도가 가장 높았다. 단위면적당(100$m^2$) 종수는 6.8${\pm}$3.2종이었다. 금정산 범어사계곡의 개서어나무군락은 기후극상림으로써 보전가치 높으므로 지속적인 보전관리대책이 요구된다.

Community Ecological Revaluation of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Kim, Ji Hong;Kang, Sung Kee;Lim, Seon 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74-81
    • /
    • 2016
  • Classified into sub-tree of the growth-form,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hardly reach the uppermost canopy with limited height growth potentialit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However, the two species usually dominate lower stories of the fores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overall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orest. Based on the vegetation data of 106 $20m{\times}20m$ sample plots in Mt. Jumbong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cological constitution by several quantitative analysis so a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were absent or few in overstory, but emerged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midstory and understory, providing adequate proof of the ecological importance. The comparison of indices of succession between presented and predicted values in midstory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suggesting that the species composition would not change much and come close to steady state in midstory and understory. The pair combination of species association noted that A. pseudosieboldianum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C. cordata,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A. pseudosieboldianum, A. pictum subsp. mono and Fraxinus mandshurica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F. rhynchophylla. Being compared with other major canopy tree species in the study forest, the target species of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had strong regeneration strategies, partially characterized by large number of saplings and pole sized trees and high ratio of live crown, which indicated high shade tolerance to survive in the limited amount of light under the canopy. Even though A. pseudosieboldianum and C. cordata do not reach and occupy the canopy layer mainly due to the inherent growth form, they would have highest competitive potentiality to prosper and dominate in the midstory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