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57BL/6 mous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CL57BL/6 마우스의 발모에 미치는 목향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Hair Growth in Depilated CL57BL/6 Mice)

  • 김정희;이승욱;백경연;김극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8-9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모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목향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목향 70% prethanol 추출물(ALD)을 제조하여 추출수율과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27.30±0.01과 28.39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extract로 측정되었다. ALD를 제모된 CL57BL/6 마우스에 6주간 경구 투여하며 관찰한 결과, 식이량과 체중 변화에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ALD의 6주간 반복 투여가 주요 장기인 간과 신장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간기능과 콩팥기능 모두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ALD 투여에 따른 모발 성장 정도를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ALD 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판시딜 투여군(양성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발모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낭수와 진피의 콜라겐 생성 정도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및 판시딜 투여군 대비 ALD 투여군에서 두 항목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ALD의 경구 투여는 제모된 마우스 모델에서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진피내 콜라겐 합성 증가와 모낭수 증가를 유도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는 ALD를 함유하는 경구용 발모 촉진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57BL/96 Mouse의 폐, 간, 신장에서 방사선조사 후 TIMP-1, TIMP-2의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ies for TIMP-1 and TIMP-2 Expression after Irradiation in Lung, Liver and Kidney of C57BL/6 Mouse)

  • 노영주;안승도;김종훈;최은경;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81-189
    • /
    • 2001
  • 목적 : 피부나 폐, 간, 신장 등의 섬유화가 방사선 조사 후 주요한 부작용 중의 하나이나 아직까지 이 과정에서 $TGF-\beta$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는 밝혀진 것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또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및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 유전자 활성 및 발현이 조직의 재구성과 손상,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에 관여하고 있고, 방사선이 종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에도 방사선에 의한 MMP와 TIMP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조사가 TIMP-1, TIMP-2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57BL/6 생쥐를 Varian CL4/100을 사용하여 각각 0, 2, 10 Gy의 조사량으로 전신조사를 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24, 48 시간에 생쥐를 희생하여 폐, 간, 신장을 얻어 paraffin 포매 조직 절편을 만들어 Avidin-Biotin Complex 방법으로 면역 염색을 한 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염색의 강도와 면적에 따라 점수화 하였다. 결과 : TIMP-1은 대조군에 비해 방사선 조사 후 폐조직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에서는 간세포와 Kupffer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신장조직에서는 주로 세뇨관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다. 방사선량에 따른 발현의 정도는 신장을 제외하고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TIMP-2는 폐조직에서는 2 Gy 조사 후 발현이 증가되었고, 간조직에서도 2 Gy 24 시간에는 활성이 증가했으나 10 Gy에서는 대조군 수준이었다. 신장조직에서는 10 Gy에서는 발현의 정도의 변화는 없었고 2 Gy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결론 : 각 장기에서 TIMP-1과 TIMP-2의 발현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각 장기의 특정한 세포에서만 발현이 되었다. TIMP-1의 경우 간과 신장에서는 방사선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폐에서는 발현이 증가되지 않았다. TIMP-2의 경우 폐에서는 방사선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간과 폐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발현의 변화는 불규칙적이었다.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과 방사선량에 따른 발현의 변화도 일정하지 않았다.

  • PDF

Kainic acid로 유도된 생쥐의 간질 발작에 대한 천마 메탄올 추출물의 항경련 효과 연구 (Anti-convulsant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Gastrodia Elata on Kainic Acid-induced Epilepsy Mouse Model)

  • 장정희;배창환;김형우;김승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4-620
    • /
    • 2014
  • Kainic acid (KA) is a excitatory agonist causing epileptic seizure and excitotoxicity in the hippocampus. Gastrodia Elata (GE) is known to have anti-convulsant and anti-oxidant effec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 possible role of GE in suppressing epileptic seizure using KA-induced epilepsy mouse model. Eight-week-old male C57BL/6 mice were administrated GE (50 or 500 mg/kg) once a day for 5 days, and then injected KA (30 mg/kg) intraperitoneally. Behavioral changes in mice by KA were evaluated for 9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KA administration. Six hours after the KA administration, their brains were harvested and the expressions of glutamate decarboxylase 67 (GAD-67) and K+-Cl- cotransporter 2 (KCC2) in the hippocampus of the mice were measured by immunohistochemistry.GE delayed the onset of epileptic seizure after KA administration, suppressed the severity of the seizure and decreased the number of severe seizures dose dependently. Moreover, GAD-67 and KCC2 expressions in the cornu ammonis (CA) 1 and CA3 of 500 mg/kg GE administrated mi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KA-treated mice.GAD-67 and KCC2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GABAergic system. Our results suggest that GE has anti-convulsant effect against KA-induced epileptic seizure through enhancing GABAergic system.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Profiles Reflecting Differences in Drug Sensitivity to Acetaminophen in Normal and Transformed Hepatic Cell Lines In vitro

  • Jeong, Youn-Kyoung;Kang, Jin-Seok;Kim, Joo-Whan;Suh, Soo-Kyung;Lee, Michael;Kim, Seung-Hee;Lee, Sang-Kook;Park, Sue-Nie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5권1호
    • /
    • pp.32-43
    • /
    • 2009
  • Acetaminophen (APAP) overdose is known to cause severe hepatotoxicity mainly through the depletion of glutathion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ytotoxic effects of APAP on both a normal murine hepatic cell line, BNL CL.2, and its SV40-transformed cell line, BNL SV A.8. Gene expression profiles for APAP-treated cells were also obtained using microarray and analyz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genes or profiles that may explain the differences of susceptibility to APAP in these cell lines. These two cell lines exhibited different susceptibilities to APAP (0-$5,000{\mu}M$); BNL SV A.8 cells were more susceptible to APAP treatment compared to BNL CL.2 cells. A dose of $625{\mu}M$ APAP, which produc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ytotoxicity in these cell lines, was tested.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rrespective of APAP treatment. Genes up-regulated in BNL SV A.8 cells were associated with immune response, defense response, and apoptosis, while down-regulated genes were associated with catalytic activity, cell adhesion and the cytochrome P450 family. Consistent with the cytotoxicity data, no significant DEGs were found in BNL CL.2 cells after treatment with $625{\mu}M$ APAP, whil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related genes were up-regulated in BNL SV A.8 cells. Based on the significant fold-changes in their expression, a genes were selected and their expressions were confirmed by quantitative real-time RT-PCR;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e expression profiles may provide a useful method for evaluating drug sensitivity of cell lines and eliciting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We further compared the genes identified from our current in vitro studies to the genes previously identified in our lab as regulated by APAP in both C57BL/6 and ICR mice in vivo. We found that a few genes are regulated in a similar pattern both in vivo and in vitro. These genes might be useful to develop as in vitro biomarkers for predicting in vivo hepatotoxicity. Based on our results, we suggest that gene expression profile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lucidating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of drug susceptibility and for evaluating drug sensitivity in vitro for extrapolation to in viv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