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패밀리 레스토랑의 핵심${\cdot}$고품질${\cdot}$기본서비스 요인과 요인 별 고객관리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Core${\cdot}$Quality${\cdot}$Basic Service Factors of Family Restaurants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Customer Service Management)

  • 박정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4-19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tailed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of family restaurants in Korea, and to then classify the factors into 3 groups, inlcuding core service, quality service, and basic service. ‘Core service’ represents the critical factors that generate both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quality service’ generates only satisfaction; and ‘basic service’ generates only dissatisfaction. This categorization is based on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1976) as well as Cadotte & Turgeon (1988).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groups, differentiation strategies in managing customer service were suggested to the family restaurant manager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ermed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 was used in the study. This method helps researchers find new factors or attributes by grouping key issues from the anecdotes (critical incidents) and then categorizing common factors from the key issues. This research categorized key satisfiers and dissatisfiers into 33 factors, which were from 402 critical incidents described by 261 respondents. Eleven factors (response to service failures, food taste and quality, attention paid to customers, coupon/mileage point/discount card, customer’s ordinary requests, waiting, food diversity, food price, facility sanitation, checking out, customer’s special requests) were classified into core service, which required maximum management not regarding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Six factors (employee attitude, event, education and explanation, complementary food, customer’s mistakes, attention paid to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quality service, which required differentiation strategy management. Finally, nine factors (speed of food service, employee’s mistakes, food sanitation, atmosphere and interior, seating, forcing orders, parking, other customers, reservations) were classified into basic service, which required minimum management at the level of the industry standards.

정보화시대의 무인자동화 제품디자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요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lf technological - based product)

  • 박종찬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83-292
    • /
    • 2004
  • 오늘날 세계는 마르게 변모하는 기술기반 처리과정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숫자의 고객들이 서비스회사나 직원이 아닌 기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다. 이렇듯 정보화시대의 무인자동화 제품은 고객 스스로가 독자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인터페이스로서 점차 우리 주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우리가 자주 이용하고 있는 지하철내 무인자동화 제품의 서비스는 더욱 확대되고 다양화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내 설치되어 있는 무인자동화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만족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라는 반 구조화된 면접법을 통해 응답자의 만족요인이나 선호하는 디자인요인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무인자동화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대체로 디자인요인 보다는 신속한 업무처리를 할 수 있는 기능 주의적 사용가치를 더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당 무인자동화 제품의 경험만족은 주로 기본기능 충실, 사용의 편리성이었고, 가장 낮은 항목은 위생적인 측면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소비자들이 쾌적함을 추구하는 반면에 청결치 못하거나 주위환경과 맞지 않게 설치된 시설물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다는 의미라고 보아진다. 이와 함께 기기 별로 제품, 서비스, 환경요소들을 동시에 3D 좌표 상에 포지셔닝 해보았는데 전반적으로 환경(공간)만족요인 보다는 제품(디자인)요소나 서비스(기능)요소에 근접하여 포지셔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무인자동화 제품의 경험만족이유가 주로 시간절약, 즉각적 업무처리, 원하는 시간 내 업무수행 등과 연관되므로 포지셔닝 상에서 환경적 요인보다는 사용용도에 의한 제품 및 기능요인이 더 중요하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한편 고객들이 사용하기 바라는 무인자동화 제품의 선호이미지는 첫째, 제품(디자인)측면에서 직선적이고 간결하며 현대적 이미지를 선호하였고, 둘째, 서비스(기능)측면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자동화기술로 인하여 빠른 시간 내 업무처리를 하는 첨단기능의 이미지를 선호하였으며, 셋째, 환경(공간)측면에서는 최소의 공간으로 쾌적한 효과를 내는 매립형태로서 위생적이며, 주변환경과 이미지가 어울리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서비스 중간고객의 품질, 만족, 신뢰의 인과모형 분석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ies, Satisfaction, and Trust in Public Services: an Intermediary Customer Perspective)

  • 라준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8-390
    • /
    • 2010
  •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working for public service agencies, we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design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in public services. We conduct statistical analyses on the quality attributes we derived from a critical incident technique(CIT) analysis and build a measurement model, which has a second-order hierarchical structur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social work, childcare, and healthcare servic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we identify a causal model and simultaneously estimate factor loadings and path coefficients. We find that all the quality dimensions are antecedents to satisfaction and then satisfaction precedes trust. The results show that service quality and design quality mediate in parallel the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on satisfaction and both relationship and design qualities have stronger effects on satisfaction rather than service quality.

레스토랑 유형별 서비스 인카운터 청사진 설계 및 비교 (The Blueprint of Service Encounter by Types of Restaurants)

  • 조미나;신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88-109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청사진의 개념과 작성 방법 및 그 활용 의의를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서비스 청사진 기법을 활용하여 고급 레스토랑, 패밀리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의 서비스 청사진을 설계하고 각 레스토랑 유형별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분석한 결과, 고급 레스토랑과 패밀리 레스토랑은 유사한 서비스 청사진을 나타낸 반면 패스트푸드점은 다른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급 레스토랑과 패밀리 레스토랑은 풀서비스 레스토랑(full-service restaurant)이지만 패스트푸드점은 셀프 서비스 시스템(self-service system)이므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급 레스토랑과 패밀리 레스토랑에는 전화 예약과 주차 관련 항목이 있고, 그 중 일부 패밀리 레스토랑에서는 테이크아웃을 하고 있는 점이 차이가 있었다. 패스트푸드점은 전화 예약, 주차 등이 서비스 청사진에서 생략되어 상대적으로 간단한 도면으로 나타났으며, 전화 주문 및 배달 서비스가 있는 점이 다른 두 유형의 레스토랑과 다르게 나타났다. 각 레스토랑 유형별로 상호작용선, 가시선, 내부적 상호작용선, 실행선을 중심으로 5개 구간으로 나뉘었다. 상호작용선을 중심으로 고객의 행동과 서비스 인카운터 접점 종업원의 행동으로 나뉘었으며, 가시선을 중심으로 눈에 보이는 부분과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나뉘었다. 내부적 상호작용선을 중심으로 일선과 후방으로 나뉘었고, 실행선을 중심으로 지원 부문과 관리 부문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서비스 청사진 기법을 활용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서비스 인카운터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레스토랑 서비스 인카운터에 청사진 기법을 활용한 초기 연구였기 때문에 가시적으로 레스토랑 유형간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의 성과를 나타냈다. 앞으로 서비스 청사진에 대해 연구할 때 각 스텝 간의 시간을 측정한다면, 어떤 지점에서 서비스 지연이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서비스 청사진과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 방법을 병행하면 서비스 실패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지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