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I-이온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LC/ESI/MS 와 기능성 화장품 관련 분석에의 응용

  • 이명희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5 no.3
    • /
    • pp.23-46
    • /
    • 1999
  • LC/MS는 HPLC의 분리능과 질량분석기의 화합물의 확인 능력을 결합시킨 기기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온화 방법은 GCJMS에서 사용되어지는 전자이온화법(electron ionization, EI)이나, 화학이온화법(chemical ionization, CI)은 부적당하기 때문에 최근 개발되어진 연성 이온화법의 대표적인 고속원자폭격식(Fast atom bombardment, FAB)이나 전기분무이온화식 (electrospray ionization, ESI)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전기분무이온화법은 고속원자폭격법에서 사용되는 매트릭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트릭스 이온의 부재로 인한 낮은 바탕 신호, 오래 지속되면서 안정된 초기 이온 전류, 샘플링의 용이성, HPLC와의 더 좋은 호환성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기분무이온화 방법은 극성이 매우 크거나 휘발성이 낮은 물질로 보통의 EI나 CI 이온화 방법으로 분석이 어려운 물질들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열에 불안정하거나 분자의 분자량이 다른 단백질 등의 분석도 가능하다. 이러한 LC/ESI/MS 방법을 이용하여 열에 불안정하고 극성이면서 분자량이 커서 GC/MS 펄의 분석이 어려운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주목받고 있고 생체에 존재하는 지질 성분으로 알려진 레시틴과 세라마이드의 분석이 가능함을 소개하고 분리와 동시에 그 분자량과 구조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음을 소개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Micro Structure Change and Corrosion Resistance Improvement of AI Alloy by Nitrogen Ion Implantation (질소이온주입에 의한 AI 합금의 조직변화 및 내식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엄기원;윤주선;한전건;연윤모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4 no.2
    • /
    • pp.183-188
    • /
    • 1995
  • 고에너지(50-200KeV)로 가속된 이온을 모재표면에 물리적으로 투입하므로써 표면의 조성 및 조직을 변화시키는 공정인 이온주입기술을 이용하여 경량고강도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AI2218 합금의 재식성 향상을 연구하였다. 질소이온주입은 DuoPIGatron 이온원을 사용하여 가속전압 100KeV, 조사량 $1{\times}10^{17}ions/\textrm{cm}^2$~$5{\times}10^{17}ions/\textrm{cm}^2$의 조건으로 행하였으며 AI합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편온도를 $60^{\circ}C$이하로 유지하였다. 질소이온 주입재의 재식성 평가를 위하여 3.5% NaCI 용액에서 양극분극시험 및 5% NaCI 용액에서 염수분무시험을 행하였다. Auger Electron Spectroscopy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표면의 질화물형성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부식된 표면을 관찰하였다. AI2218합금에 질소이온을 주입한 결과 표면에 미세한 AIN 석출물을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질화물형성에 의해 공식(pitting)발생을 억제하고 부식전류밀도를 감소시켜 내식성이 향상되었다.

  • PDF

Varietal Difference of Survival Rate of Protoplast and Ion Content of Callus Treated with NaCl in Rice (NaCl처리에 대한 벼 원형질체 생존율과 캘러스내 양이온 함량의 품종간 차이)

  • 이영만;정창남;장미순;신서호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8 no.1
    • /
    • pp.15-20
    • /
    • 2001
  • Protoplast and callus of three rice varieties, CI5309 (salt-tolerant), Dongjinbyeo (moderately tolerant), Nakdongbyeo (salt-sensitive), were cultured on the MS medium containing 0, 0.3, 0.6, and 0.9% of NaCl. The survival rates of protoplast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hours after NaCl treatment, and the survival rates of protoplast differed among three varieties at 9∼l2 hours after treatment. The contents of proline of CI5309 and Dongjinbyeo were almost the same at the different levels of NaCl, and that of Nakdongbyeo, however, was greatly decreased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aCl. The contents of Ca, K and Mg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NaCl concentrations, but the contents of those did not differ among three varieties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aCl. The contents of Na in each varieties were almost the same at the three levels of NaCl.

  • PDF

Development of chemical ionization method in a GC-TOF mass spectrometer for accurate mass and isotope ratio measurement (Accurate mass 및 isotope ratio 측정을 위한 GC-TOF 질량분석기에서의 화학적 이온화방법)

  • Chung, Joo-Hee;Na, Yun-Cheol;Hwang, Geum-Sook;Shin, Jeoung-Hwa;Ahn, Yun-Gyo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1
    • /
    • pp.15-23
    • /
    • 2011
  • An accurate mass and isotope ratio were determined using a gas chromatography/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in CI positive mode for the identification of unknown metabolites. High mass tune was used to improve the ion intensity of $[M+H]^+$. Chromatographic resolution and dynamic range enhancement were performed to obtain more reliable accurate masses and correct isotope abundance ratios. Average absolute errors of mass and isotope ratios for 24 reference metabolite -TMS (trimethylsilyl) derivatives were 6.8 ppm, 1.5% of (M+1/M ratio) and 1.7% of (M+2/M ratio), respectively. The correct formulas of twenty one compound were retrieved within top-2 hit from the heuristic algorithm for elemental composition using each accurate mass and isotope abundance ratio.

The Stability Constants of Lead Acetato Complexes as Function of Temperature and Ionic Strength (Pb-Acetato Complexes의 이온强度 및 溫度 變化에 따른 安定度常數에 關한 考察)

  • JUNG UI HWANG;YUNG JOO JU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11 no.2
    • /
    • pp.63-69
    • /
    • 1967
  • The stability constants of lead acetato conplexes were evaluated in various ionic strengths (2.00, 1.00, and 0.75), and at various temperature (15, 20, 25, 30, and $35^{\circ}C$), respectively, by the polarographic and potentiometric method of which Hume and Leden had described. The existence of three complex ions, $PbAc^+$, $PbAc_2$, and $PbAc_3^-$ have been shown in the range of concentration of 0~0.8 mole acetate ion. Referring to values obtained, we have derived the following empirical formula with the stability constant (Kijk), ternperature (Tk) and ionic strength (${\mu}j$). log Kijk = (Ai/${\mu}j^3$+ Bi) / Tk + Ci/${\mu}j^3$ + Di . The deduced and observed stability constants are matched in 5% for the K, and $K_3$, and 20% for the $K_2$.

  • PDF

Bonding Characteristics of GaAs Surface after Wet Cleaning (습식세정에 따른 GaAs표면 결합상태의 연구)

  • Gang, Min-Gu;Park, Hyeong-Ho;Seo, Gyeong-Su;Lee, Jong-Ram;Gang, Dong-Gyu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4
    • /
    • pp.379-38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GaAs 소자제작 및 epi-layer 성장 공정에 있어 이용되어지는 HCI, H3PO4, 탈이온수(de-ionized water:DIW)를 통한 습식제정후 공기중 노출에 따른 오염을 최소화하여 표면상태 변화를 진성적(intrinsic)으로 관찰하고자 모든 세정처리를 아르곤 가스(argon gas)로 분위기가 유지되는 glove box에서 수행하였으며, 표면조성 및 결합상태 변화에 대한 관찰은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통해 이루어졌다. 고진공하에서 GaAs를 벽개하여 관찰함으로써 Ga이 대기중 산소이온과 우선적으로 결합함을 알 수 있었고, 이런 GaAs 표면의 반응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습식세정에 따른 화학반응 기구가 제시 되어졌다. HCI 및 H3PO4/DIW/HCI처리후 CI-이온의 Ga 이온과의 반응에 의한 Ga-CI결합의 형성과 As 산화물의 높은 용해도에 따른 As 산화물의 완전한 제거 및 식각전 초기(bare)GaAsvyaus에 존재하는 원소(elemental)As 상태의 식각후 잔류가 관찰되어졌다. 또 HCI, H3PO4/DIW/HCI 처리하고 DIW로 세척후 표면상태 변화를 관찰한 결과, DIW처리에 의해 elemental As 상태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nfluence of Blending Materials on C1- Diffusion and pH of Pore Solution in Cement Pastes (시멘트 경화체 중에서의 C1-의 확산과 세공용액의 pH에 미치는 혼화재의 영향)

  • 김남중;최상흘;정재동;한기성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4 no.1
    • /
    • pp.97-106
    • /
    • 1992
  •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s of Cl- ions through hardened cement pastes(HCP), which were partly subs¬tituted blast furnace slag, fly ash and silicafume for ordinary Portland cement, were determined. Also. Cl- and OW concentration of pore solutions which were extracted from HCP and the capacities of the HCP to bind CI were determined. Diffusion coefficients of Cl- ions through HCP were increased with water cement ratio(WfC), but decreased with addition of the blending materials. On the contrary, Cl- and OH concentration of the pore solutions were reduced by adding the blending materials.

Effect of NaCl and Fluoride adsorbates on Zircaloy-4 Oxidation in Air. (지르칼로이 피복관의 공기중 산화에 NaCl과 불화물의 영향)

  • 박광헌;김광표;조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9.10a
    • /
    • pp.105-105
    • /
    • 1999
  • 핵연료 피복관은 핵연료에서 방사성 핵분열생성물의 방출을 저지하는 가장 뚱요한 방어막인데, 현재 지르칼로이 4가 피복관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후 핵연료는 원자력발전소내 습식 저장조에 저장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관리와 장소확보의 용이 성으로 인해 건식 저장조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선 건식 저장조에 장 기간 저장되는 핵연료 피복관에 주변 환경으로부터 오염될 수 있는 소금기나 기름 등이 지르칼로이의 공기중 산화에 미치는 영향의 존재를 밝히려 한다. 현재 고리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중인 핵연료 피복관을 1cm정도 높이로 자르고, 피복관 표면 을 ASTM -G2-88 방법으로 처리한 후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산화정도는 간헐적 (intermittent) 방법을 사용하여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여 구하였으며, 산화온도는 $400-500^{\circ}C$로 하였다. 소금이 흡착이 된 경우, 산화 속도는 흡착이 안된 시편보다 가속되었으며, 거의 이차법칙을 따르고 있다. 산화막 위의 흡착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르칼로이를 $500^{\circ}C$ 수증기에 $5g/m^2$ 두께로 산화시킨 후, 다시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흡착물은 LiF, NaF, KF, NaCI 이다. 흡착물들은 산화를 대체로 가속시켰으며, NaF, KF, NaCI 순으로 그 영향력이 컸다. 그러나, LiF는 산화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IMS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두께에 따른 흡착물의 분포 를 알아보았다. 음이온(CI, F)과 양이온(Na, Li, K)이 산화막과 금속 경계면까지 관 찰되었으며, 음이온과 양이온의 분포는 대게 동일하였다. LiF의 경우 산화막에서 이들의 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화막 내에서 이들 흡착물의 확산이 산화속도 가속의 원인이며 이들 흡착물중 CI과 F는 산화막과 금속 겸계면 에서 새로 생성되는 산화막의 강도에 영향을 미쳐, 일찍 미세균열을 만들기 시작하여 산화를 가속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esium Ion-Selective Electrode Based on Upper-rim Calix[4]crown Ionophore (캘릭스 [4]크라운 유도체를 이온선택성 물질로 사용한 세슘이온 선택성 막전극)

  • Namgung, Miok;Ihm, Hyejae;Paek, Kyungsoo;Yun, Youngja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3 no.4
    • /
    • pp.428-432
    • /
    • 2000
  • A PVC membrane electrode based on upper-rim calix[4]crown as ionophore was prepared using dioctyl sebacate (DOS) as a plasticizer. The potential response of this membrane electrode to alkali,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were examined. This membrane electrode exhibited a Nemstian response to $10^{-5}-10^{-1}M$ of CsCI with a slope of 52.3 mV/decade in Tris-buffer(pH 7.20). Its response time ($t_{90%}$) was 10s and it could be used for at least 2 months.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s of Anionic Surfactant (DBS) with Nonionic Surfactnats (Brij 30 and Brij 35) (음이온성 계면활성제(DB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Brij 30과 Brij 35)와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비교연구)

  • Park, In-Jung;Lee, B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3 no.5
    • /
    • pp.491-498
    • /
    • 2009
  •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the counter ion binding constant (B) for the mixed micellizations of DB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with Brij 30 (polyoxyethylene(4) lauryl ether) and Brij 35 (polyoxyethylene (23) lauryl ehter) at 25 ${^{\circ}C}$ in pure water and in aqueous solutions of n-butanol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alpha$1 (the overall mole fraction of DBS) by the use of electric conductivity method. Various thermodynamic parameters (Xi, $\gamma$i, Ci, aiM, $\beta$, and ${\Delta}H_{mix}$)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for each mixed surfactant system by means of the equations derived from the nonideal mixed micellar model. There sults show that the molecules of DBS interact more strongly with Brij 35 than Brij 30 and that the DBS/Brij35 mixed system has greater negative deviation from the ideal mixed micellar model than the DBS/Brij 30mixe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