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GR(crop growth rat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Machine Transplanted Rice in Southern Plain Region

  • Kim, Sang-Su;Kim, Bo-Kyeong;Choi, Min-Gyu;Back, Nam-Hyun;Choi, Weon-Young;Lee, Sea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2-128
    • /
    • 1999
  • Three rice cultivars, Namweonbyeo (early maturing), Hwaseongbyeo (medium maturing) and Dongjinbyeo (medium-late maturing) were trans-planted with 3 different seedling ages to investigate their growth habits and to improve the cultural method in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plain area of the Honam region in 1993. The 10-day old seedlings had more vigorous elongation of plant height and higher tillering ability but lower effective tiller rate, when compared with 35-day or 40-day old seedlings. Leaf area index and top dry weight were lower in 10-day old seedlings up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thereafter, were not different among seedlings ages. CGR was later in 10-day old seedlings, up to 30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in 30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it was reversed. RGR was the highest in infant seedlings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while in 50 days after transplanting, it was reversed. Panicle number and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were the highest in 40-day old seedlings, next highest in 35-day old seedlings and the lowest and in adult seedlings up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while spikelet number per panicle was vice versa. Milled rice yield did not vary significantly by seedling ages, but among the varieties, it was less in Hwaseongbyeo compared with Naweonbyeo and Dongjnbyeo.

  • PDF

수도 농녹색엽과 담녹색엽 Near-isogenic 계통의 생장특성 및 수량형질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s between Near-isogenic Lines with Dark and Pale Green Leaves in Rice)

  • 박순직;임병기;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6-230
    • /
    • 1986
  • wx 126조합으로부터 분리된 농녹색업과 담녹색엽 near-isogenic계통의 광합성 정도와 생장특성 및 수량관련형질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녹색엽계통이 담녹색영계통보다 엽록소 a, b 및 총엽록소 함량은 현저히 높았으나 엽록소 a, b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2. 출수기 지엽에 있어서 단위엽면적당 광합성율은 농녹색엽계통이며 높았으나 단위엽녹소당 광합성량은 담녹색엽계통이 더 높았다. 3. 이앙부터 출수기까지의 CGR은 농녹색엽계통이 더 높았으며 이는 NAR이 높은 데서 기인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4. 농녹색엽게통의 주당수수, 주당영화수 및 주당수량은 담녹색엽계통에 비해 각각 높았으나 1,000입중과 등숙율은 두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Italian ryegrass의 추계예취시기가 목초의 재생 , 탄수화물축적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utumnal Cutting Times on the Regrowth , Accumulation of Carbohydrate and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 Loium multiflorum ))

  • 안계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1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추파(秋播)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추계예취시취(秋季刈取時取)가 목초(牧草)의 재생(再生), 탄수화물축적(炭水化物蓄積)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빠른 구(區)일수록 높았고(P<0.05),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제일 늦은 구(區)는 무예취구(無刈取區) 보다도 수량(收量)이 낮았다. 2. 건물중(乾物中) 전수용성탄수화물(全水溶性炭水化物)(TSC)의 함량(含量)은 일번예취직후(一番刈取直後)에 약간(若干) 떨어졌다가 재생장(再生長)에 따라 점점(漸漸) 높아졌으며 이번초(二番草) 예취기(刈取期)에 가까울수록 다시 떨어졌다. 기온(氣溫)이 영하(零下)로 하강(下降)하기 1주일전(週日前)의 TSC 함량수준(含量水準)은 그루터기, 줄기, 잎 별(別)로 모두 예취시기(刈取時期)간 빠른 구(區)일수록 고수준(高水準)이었으며 (P<0.01), 이번초(二番草)와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사이에 상관(相關)이 성립(成立)되었다(P<0.05) 3. 개체군(個體群) 생장속도(生長速度)(CGR)는 평균기온(平均氣溫)이 $8^{\circ}C$에서 하강(下降)할수록 떨어졌으며 상승(上昇)할수록 높았다. 상대엽면적생장율(相對葉面積生長率)(RLGR)과 순동화율(純同化率)(NAR)은 각구(各區) 모두 재생(再生)30일간(日間)이 가장 높았으며 재생후기(再生後期)에는 저하(低下)되었다.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LAI)의 증대(增大)는 각구(各區) 모두 예취후(刈取後) 50일(日)까지는 빨랐으며 그 후(後)에는 완만하였고 최대치(最大値)의 범위(範圍)는 $3.4{\sim}5.8$이었다. 또한 예취후(刈取後) 70일(日)까지의 LAI가 큰 구(區)일수록 이번초(二番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이 높았다. 4.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는 저온기(低溫期)의 TSC, LAI ,CGR, NAR 및 LWR와 이번초건물수량(二番草乾物收量)과의 사이에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엇으며, 그 공헌도(貢獻度)는 LWR>LAI>TSC>NAR>CGR의 순(順)이었다.

  • PDF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리생태적 특성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omparison of Rice Cultivars Grown in Low Fertilized Condition)

  • 구홍모;유오종;박종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175-185
    • /
    • 2018
  • 개체군생장율(CGR)은 유수형성기와 출수기 사이에 가장 높았는데, 주남벼, 낙동벼, 소비벼 등이 높았으며, 이삭의 등숙속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출수 후 20일까지 가장 많이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주남벼, 소비벼에서 빨랐다. 관행재배에서 수량이 높은 품종은 소비재배에서도 수량이 높았으며, 소비재배시 수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영화수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백미품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소비벼의 품위가 가장 낮았으며, 사미와 분상 질립의 증가가 원인이었다.

멀칭재료가 시설참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in Protected Cultivation)

  • Su Gon Bae;Yong Seub Shin;Il Kweon Yeon;Han Woo D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3
    • /
    • 2001
  • 무가온 촉성재배시 멀칭재료가 참외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 멀칭재료로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 배색 P.E. 필름, 녹색 P.E. 필름과 대조구로 투명 P.E. 필름을 설치하여 지온의 변화와 생육, 과실품질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 5cm 깊이의 일.월중 지온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높았으나 광 투과율이 낮은 녹색 P.E필름에서 낮았다. 토양 심도별 야간지온은 녹색 P.E. 필름은 토양 깊이 20cm에서 나머지 필름은 토양 깊이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멀칭 재료별 지온차는 깊이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되었다. 정식 후 30일의 초장과 절수는 지온이 높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AI, CGR, RGR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30일의 잡초 발생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후 90일에는 투명 P.E.필름에서 많았다. 과실 수확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빨라 투명 P.E.필름보다 2일 단축되었으나, 과중, 과장, 당도 등 과실특성은 큰 차가 없었다.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상품수량은 2,426kg.10a$^{-1}$로 투명 P.E. 필름보다 6% 증수되었다.

  • PDF

동계 Plastic house내 고추(Capsicum annuum L.) 육묘시 온도와 광도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II. 무가온 다중피복 시설내 온도 및 광환경이 고추의 유묘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in Plastic House During Winter. II.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Environment on the Early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under the Multilayered Covering in Non - heated Plastic House)

  • 정순주;이범선;권용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9-127
    • /
    • 1994
  • 본 연구는 동계 무가온 3중 및 4중피복 plastic house내에서 고추를 육묘하여 이들 육묘환경조건에서의 고추유묘의 생장반응을 파악하고 육묘환경의 차이에 따른 묘의 소질과 정식이후의 생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엽수, 엽면적 및 각 기관별 건물중은 3중피복구가 4중피복구에 비하여 50%의 감소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는 엽면적으로 육묘기간중 3중에 비해 4중에서는 2-5배의 증가를 보여 육묘 환경의 차이가 고추유묘 생장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2. 3중피복구에서는 4중피복구에 비하여 생장초기부터 엽면적의 확보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고체생장율도 현저히 감소했다. 비엽면적(SLA)은 4중에서 3중에 비하여 엽의 두께가 얇았으며, 순동화율은 4중에서 생장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3중에서는 파종후 6주후에 급격히 증가했다. 3. 엽면적과 전체건물중, 엽건물중간에는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엽면적과 개체생장율간에는 4중에서만 인정되었으며, 엽면적과 순동화율간에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직선적인 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4. 파종후 6주째까지는 3중에서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고, 줄기와 뿌리로의 분배는 적었으며, 4중에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5. 고추의 분지수는 3중과 4중에 관계없이 지수함수적 증가를 보였고, 주당 과중은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4중에서 육묘한 고추의 분지수는 3중에서 육묘한 고추보다 현저히 많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한 경향이었다. 6. 고추유묘의 형질중 정식후 고추수량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서 고추육묘에 있어서 양묘의 기준은 유묘의 지상부 건물중으로 결정되었으며, 또한 묘의 소질과 수량과의 관련성이 크게 인정되어 동계 시설재배시 고추의 다수를 위한 고추육묘는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위한 환경관리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 PDF

배양토(培壤土) 및 질소(窒素) 시비(施肥) 수준(水準)이 모래밭 버섯균(菌) (Pisolithus tinctorius)을 접종(接種)한 해송(海松)(Pinus thunbergii) 묘(苗)의 생장(生長)과 균근(菌根)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Mycorrhizal Development and Growth Stimulation of Pinus thunbergii Seedlings Inoculated with Pisolithus tinctorius at Two Soil Mixtures Treated with Six Nitrogen Levels)

  • 오광인;박화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361-370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해송묘목(海松苗木)에 모래밭버섯(Pisolithus tinctorius) 균(菌)을 인공(人工) 접종(接種)한 후(後) 두개의 혼합토(混合土)와 6개의 질소수준(窒素水準)으로 처리(處理)된 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균근(菌根) 형성(形成) 그리고 양료흡수관계(養料吸收關係)를 추정(推定)키 위(爲)해 실시(實施)되었다. 1) $50-150{\mu}g/ml$ N로 시비(施肥)된 vermiculite에서 자란 실험묘(實生苗)는 pinnate type과 cluster-like type이 잘 발달(發達)하였으나, 사질괴토(砂質壞土)는 monopodial, cluster-like type 그리고 pinnate type 이 발달(發達)하였다. 2) 균근형성(菌根形成)의 과정시비수준(適正施肥水準)은 50 또는 $150{\mu}g/ml$로 균근형성(菌根形成)이 각각(各各) $86.4({\pm}3.14)%$%와 $73.0({\pm}7.21)%$였다. 그러나 질소수준(窒素水準)이 증가(增加)하면 균근형성(菌根形成)이 감소(減少)하였다. 3) $450{\mu}g/ml$N로 시비(施肥)된 실생묘(實生苗)는 순(純) 회수율(同化率)(NAR)과 개체생장율(個體生長率)(CGR)이 생장초기(生長初期)에는 감소(減少)하였으나 질소시비(窒素施肥)가 멈춘 8월(月) 이후(以後)에는 다시 증가(增加)하였다. 4) 실생묘(實生苗)의 무기양료(無機養料) 흡수(吸收)는 질괴토(砂質壞土) 및 무접종구(無接種區)에 비해 vermiculite와 균근처리구(菌根處理區)에서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회수율(回收率)은 $350{\mu}g/ml$ 질소수준(窒素水準)까지는 질소시비(窒素施肥) 증가(增加)에 따라 점진적(漸進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나 $450{\mu}g/ml$ 질소수준(窒素水準)에서는 도리어 흡수(吸收)가 제한(制限)되었다.

  • PDF

감자 고랭지 재배 시 표고 및 파종시기에 따른 괴경의 비대반응 (Effects of Altitude and Planting Time on Tuber Bulking of Potato)

  • 김충국;옥현충;정진철;허온숙;서종호;정광호;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18-423
    • /
    • 2012
  • 감자 괴경의 비대 반응을 해석하여 재배기술을 개선하고자 2005년에 표고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관령(표고 800 m)과 진부(표고 600 m)에서 수미와 대서 2품종을 노지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구명하고자 대관령(표고 800 m)에서 4월 19일부터 5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시기에 노지에 파종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고에 따른 비대반응을 보면 총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높게 유지되었으며,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총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0~112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08~111일로 표고 및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주당 괴경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7월 6일(파종 후 58일)은 적었으나 7월 21일(파종 후 73일) 이후부터는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었으며, 2지역 모두 7월 6일(파종 후 58일)부터 8월 8일(파종 후 91일)에 주당 괴경 건물중의 증가정도가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5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4일로 표고 간에는 유사하였다. 괴경당 건물중은 표고 600 m에 비하여 표고 800 m에서 증가되었다. CGR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은 괴경 건물중(수확시기)은 총 건물중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미는 4월 2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으며, 대서는 수미에 비해 10일이 빠른 4월 1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다. 괴경의 건물중은 6월 30일부터 8월 8일에 증가정도가 가장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4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39~144일, 5월 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21~126일, 5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11~113일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다.

질소시비수준이 Pioneer 988 ( Sorghum bicolor $\times$ S.Sudanesse ) 의 엽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levels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l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Sorghum bicolor $\times$ S. sudanense ) , Pioneer 988)

  • 김상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8-163
    • /
    • 1983
  •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進行에 따라 증가했는데, 특히 穗孕期까지 그 增加가 급격했으며, 室素施肥水準別로는 幼穗分化期까지 15kg 施肥區에서 컷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컷다. 3. 乾物收量은 穗孕期 以前에는 15kg 施肥區에서 많았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많았다. 4 乾物生産速度는 純同化率 및 平均 葉面積指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生育後期에는 純同化率의 增加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 PDF

수도자포니카 및 통일형 품종의 광합성 및 물질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허훈;양덕조;류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5-53
    • /
    • 1992
  • 우리나라에 육성보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벼품종으로 Japonica$\times$Japonica 교잡인 일반형품종 2품종(추청, 화진)과 Indica$\times$Japonica 원연교잡으로 육성한 통일형품종 2품종(삼강, 칠성)을 공시 하여 광합성 및 물질생산특성과 이와 관련된 주요 생리적특성을 구명코져 온도와 광도 조건을 달리하여 생육특기별로 실험한 결과 그 개요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2. 유묘기에 있어서도 통일형 품종은 일반형품종에 비하여 저온에서 광합성능력이 저하되나 상온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3. 저온에 의한 호흡율의 저하는 유묘기, 분얼기 모두 품종간 차이는 적으나 유묘기보다 분얼기에 저하정도가 큰 특징을 보였다. 4. 생육단계별 specific leaf area는 품종간에 큰 차이없이 분얼기가 가장 높고 유수변화기에서 출수기에 갈수록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5. 출수기의 광합성능력은 7KLx의 저광도에서는 일반형품종이 통일형품종 보다 조해도가 낮으나 60KLx의 광도하에서는 통일성품종이 높았으며 특히 2위엽에서 높은 특성을 보였다. 6. 출수기의 엽위별 광합성에 호흡율(R/P$\times$100)은 3위엽에서 현저히 높았고 품종간에도 그경향은 일정하였다. 7. CGR는 전반적으로 통일형품종이 일반형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RGR는 품종간에 대차가 없었으나 NAR는 통일형인 삼강에서 현저히 높았다. 8. 통일형품종이 일반형품종에 비하여 1수영화수 및 주당 정조중도 많았고 수확지수도 높은 특성을 보여 주었다.

  • PDF